본문내용
석보상절
종목 : 보물 제523호
분류 : 기록유산 / 전적류/ 활자본/ 금속활자본
수량 : 7책
지정일 : 1970.12.30
소재지 : 경기 용인시 (호암미술관)외
시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국유,사유
관리자 : 국유,사유
\'석보\'는 석가의 일대기, \'상절\'은 중요한 것을 상세하게 쓰고 그렇지 않은 것은 생략한다는 것을 뜻한다. 세종의 비(妃)인 소헌왕후(昭憲王后)가 1446년(세종 28) 세상을 떠나자 그 명복을 빌기 위하여 세종은 석가의 일대기를 엮도록 명했다. 〈월인석보서 月印釋譜序〉에 의하면 승(僧) 우(祐)와 도선(道宣)의 〈석가보〉·〈석가씨보〉를 토대로 책을 만들어 이를 번역했다고 한다. 〈석보상절〉에는 위의 두 책 외에도 〈법화경 法華經〉·〈아미타경 阿彌陀經〉·〈지장경 地藏經〉·〈약사경 藥師經〉 등 여러 불경이 포함되어 있다. 모두 24권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지금 전하는 것으로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는 권6·9·13·19의 4권과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있는 권23·24 2권의 초간본과 복각(復刻)된 중간본인 권3·11의 2권이 있다.
조선 초기 국어와 한자음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며, 유려한 문장으로 다른 불경언해와 달리 문학적 가치가 높다. 최초의 번역불경이며, 또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국문활자본이라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권6·9·13·19는 1955년 한극학회에서 영인했고 권11은 1959년 어문학회에서, 권23·24는 1967년 동악어문학회에서 영인했다.
< 釋譜詳節 第六 >
世尊이 世尊이: 주격조사 ‘이’
조 건
예 문
체언 말음이 자음일 때 : “이”
아리
체언 말음이 ‘이’(i)나 ‘ㅣ’(y) 이외의 모음일 때 : “ㅣ”(y)
부톄(부텨+l), 네(너+ㅣ), 양ㅣ
체언 말음이 모음 ‘이’(i)나 ‘ㅣ’(y)로 끝나고 평성일 때 : 0 (생략)
샹재
체언 말음이 모음 ‘이’(i)나 ‘ㅣ’(y)로 끝나고 거성이나 상성일 때 : 0 (생략)
한자어 일 때 : 음절말음이 자음일 때: ‘이’ 모음일 때 ‘ ㅣ’
세존이, 부인이, 나후라ㅣ, 태자ㅣ, 목련이
▶ 주 격 조 사
象頭山 象頭山애(상두산)애: 인도 중부 가야산. 모양이 코끼리 머리 비슷하다고 함. 석가가 수행한 곳.‘애’-선행체언의 말음절 모음이 ‘이’ 혹은 ‘ㅣ’가 아닌 경우
▶ 처 격 조 사
조 건
예 문
선행체언의 말음절 모음이 ‘이’ 혹은 ‘ㅣ’인 경우 : 예
세세예, 예
선행체언의 말음절 모음이 ‘이’ 혹은 ‘ㅣ’가 아닌 경우 : 애/에
상두산애, 모로매, 세간앳, 전생앳, 묏고래, 나라해, 가비라국에, 불법에, 시절에
속격조사와 같은 형태이나 처격을 나타내 는 특수한 처격조사 : /의
얄, 아,
지
종목 : 보물 제523호
분류 : 기록유산 / 전적류/ 활자본/ 금속활자본
수량 : 7책
지정일 : 1970.12.30
소재지 : 경기 용인시 (호암미술관)외
시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국유,사유
관리자 : 국유,사유
\'석보\'는 석가의 일대기, \'상절\'은 중요한 것을 상세하게 쓰고 그렇지 않은 것은 생략한다는 것을 뜻한다. 세종의 비(妃)인 소헌왕후(昭憲王后)가 1446년(세종 28) 세상을 떠나자 그 명복을 빌기 위하여 세종은 석가의 일대기를 엮도록 명했다. 〈월인석보서 月印釋譜序〉에 의하면 승(僧) 우(祐)와 도선(道宣)의 〈석가보〉·〈석가씨보〉를 토대로 책을 만들어 이를 번역했다고 한다. 〈석보상절〉에는 위의 두 책 외에도 〈법화경 法華經〉·〈아미타경 阿彌陀經〉·〈지장경 地藏經〉·〈약사경 藥師經〉 등 여러 불경이 포함되어 있다. 모두 24권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지금 전하는 것으로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는 권6·9·13·19의 4권과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있는 권23·24 2권의 초간본과 복각(復刻)된 중간본인 권3·11의 2권이 있다.
조선 초기 국어와 한자음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며, 유려한 문장으로 다른 불경언해와 달리 문학적 가치가 높다. 최초의 번역불경이며, 또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국문활자본이라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권6·9·13·19는 1955년 한극학회에서 영인했고 권11은 1959년 어문학회에서, 권23·24는 1967년 동악어문학회에서 영인했다.
< 釋譜詳節 第六 >
世尊이 世尊이: 주격조사 ‘이’
조 건
예 문
체언 말음이 자음일 때 : “이”
아리
체언 말음이 ‘이’(i)나 ‘ㅣ’(y) 이외의 모음일 때 : “ㅣ”(y)
부톄(부텨+l), 네(너+ㅣ), 양ㅣ
체언 말음이 모음 ‘이’(i)나 ‘ㅣ’(y)로 끝나고 평성일 때 : 0 (생략)
샹재
체언 말음이 모음 ‘이’(i)나 ‘ㅣ’(y)로 끝나고 거성이나 상성일 때 : 0 (생략)
한자어 일 때 : 음절말음이 자음일 때: ‘이’ 모음일 때 ‘ ㅣ’
세존이, 부인이, 나후라ㅣ, 태자ㅣ, 목련이
▶ 주 격 조 사
象頭山 象頭山애(상두산)애: 인도 중부 가야산. 모양이 코끼리 머리 비슷하다고 함. 석가가 수행한 곳.‘애’-선행체언의 말음절 모음이 ‘이’ 혹은 ‘ㅣ’가 아닌 경우
▶ 처 격 조 사
조 건
예 문
선행체언의 말음절 모음이 ‘이’ 혹은 ‘ㅣ’인 경우 : 예
세세예, 예
선행체언의 말음절 모음이 ‘이’ 혹은 ‘ㅣ’가 아닌 경우 : 애/에
상두산애, 모로매, 세간앳, 전생앳, 묏고래, 나라해, 가비라국에, 불법에, 시절에
속격조사와 같은 형태이나 처격을 나타내 는 특수한 처격조사 : /의
얄, 아,
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