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해양오염의 오염원
1. 산업폐수로 인한 해양오염
2. 중금속 및 유기성 독성 물질
3. 기름 유출로 인한 해양오염
4. 폐기물과 쓰레기로 인한 해양오염
5. 연안오염
Ⅲ. 해양오염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
1. 수산생물에 미치는 영향
2.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Ⅳ. 해양환경보전의 문제점과 대책
참고문헌
Ⅱ. 해양오염의 오염원
1. 산업폐수로 인한 해양오염
2. 중금속 및 유기성 독성 물질
3. 기름 유출로 인한 해양오염
4. 폐기물과 쓰레기로 인한 해양오염
5. 연안오염
Ⅲ. 해양오염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
1. 수산생물에 미치는 영향
2.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Ⅳ. 해양환경보전의 문제점과 대책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공장폐수 등의 각종 오염 물질인데 이들을 처리하여 바다로 내보낼 수 있는 하수 처리장, 공단폐수 처리장, 분뇨 처리장 등 환경기초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하수량은 하루에 1천20여만 톤인데 이들 생활하수의 처리 비율은 30%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주요 연안을 끼고있는 배후 지역의 경우는 37개 도시가운데 부산 제주 안산 등 3개 도시만에 5개소만 하수처리장이 가동중이고 다른 지역은 오수와 폐수가 그대로 바다에 흘러 들어가고 있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해양오염 방지를 위해서는 하수처리장을 비롯한 이들 환경기초시설의 확충이 시급히 요구된다.
둘째. 대형기름 오염사고가 발생할 때 아를 방제하기 위한 인력, 기자재, 및 장비가 부족하고 이들 장비가 낙후 하다는 점이다.
셋째. 우리나라 주요항만에 선박의 안전운항과 관련된 현대화된 해상교총관제가장비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시시각각 변하는 해양기상상태에 신속히 대처하고 선박의 안전운항으로 충돌좌초 등 해난서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레이더 시설 등 첨단해상 교통장비시설이 설치되어야한다.
넷째. 해양환경에 대한 국민의 관심결여이다. 특히 해양관련 종사자조차도 해양 보전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폐유 등 유성혼합물을 바다에 마구 배출하는 사례가 많고 해양오염사고만 해도 70~80%가 과실에 의해 발생한다. 환경문제 중에서 지상과 바다를 비교해볼 때 바다오염에 대한 관심이 더낮다는 것도 사실이다. 연안오염도 육지에서의 수질오염과 대기오염과 같은 차원에서 보전되도록 하는 국민적, 정책적 관심의 배려가 요구된다.
다섯째. 해양보전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 현재 환경처를 비롯한 해운항만청, 수산천, 수상경찰청 등 여러 부처에 분산되어 있어 각기 소속기관별로 자신들의 고유업무와 병행하여 해양보전업무를 수행하고 있어 종합적, 체계적인 업무추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해양보전업무를 포괄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행정청의 조직이 필요하다. 먹고사는 그 윗 단계의 생물들을 따라가면서 점차 그 농도가 더욱 높아지는 축적상을 보여 결국에는 수산식품에 의해 사람에게까지 피해를 줄 수 있다. 1950년대 일본 규수 지방에서 발생되어 세계적으로 큰 충격을 주었던 미나마타중독사건은 중금속의 하나인 수은에 의한 해양오염피해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중독사건은 공장에서 합성수지의 원료를 합성하는 과정에 수은을 촉매로 사용하고 이 수은이 극소량의 폐수와 함께 하천과 바다에 흘러들어 감으로써 발생됐다. 바다에 들어간 수은이 해저에서 유독성을 지닌 유기수은인 메칠수은으로 전환됐다. 이것이 고기먹이인 플랑크톤에 흡수되고 다시 고기가 이를 먹고 유기수은이 고도로 농축된 물고기를 어민이 먹어 1953년부터 1963년까지 10년간 7백여 어민이 신경증상을 나타내고 그중 약 1백명이 사망했으며 생존자는 거의 폐인이 됐다. 이것이 이른바 미나마타병이다. 이 중독은 말초신경의 마비, 운동신경, 시신경의 마비로 나타나고 보행이 곤란해지고 말을 못하게 되어 완전히 폐인이 된다. 수은은 촉매로 쓰이는 것 외에도 농약, 화약 등의 제조 과정이나 전기분해 등에도 쓰인다.
참고문헌
* 강성현 외, 2005, 해양오염과 지구환경 - 한국해양연구소
* 안산 - 한국해양연구소
* 이민부, 2003 - 환경교육
* 이창섭, 1995, 유류오염의 현황과 대책, 해양오염 방지를 위한 대토론회
* 이종화 편저, 해양오염
* 해양오염 - 동화출판
* 환경오염 - 바다출판사
* R.B Clark 저 윤이용 옮김, 2003, 「 해양오염 」- 서울 : 동화기술교역
* http://www.momaf.go.kr - 해양수산부
둘째. 대형기름 오염사고가 발생할 때 아를 방제하기 위한 인력, 기자재, 및 장비가 부족하고 이들 장비가 낙후 하다는 점이다.
셋째. 우리나라 주요항만에 선박의 안전운항과 관련된 현대화된 해상교총관제가장비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시시각각 변하는 해양기상상태에 신속히 대처하고 선박의 안전운항으로 충돌좌초 등 해난서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레이더 시설 등 첨단해상 교통장비시설이 설치되어야한다.
넷째. 해양환경에 대한 국민의 관심결여이다. 특히 해양관련 종사자조차도 해양 보전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폐유 등 유성혼합물을 바다에 마구 배출하는 사례가 많고 해양오염사고만 해도 70~80%가 과실에 의해 발생한다. 환경문제 중에서 지상과 바다를 비교해볼 때 바다오염에 대한 관심이 더낮다는 것도 사실이다. 연안오염도 육지에서의 수질오염과 대기오염과 같은 차원에서 보전되도록 하는 국민적, 정책적 관심의 배려가 요구된다.
다섯째. 해양보전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 현재 환경처를 비롯한 해운항만청, 수산천, 수상경찰청 등 여러 부처에 분산되어 있어 각기 소속기관별로 자신들의 고유업무와 병행하여 해양보전업무를 수행하고 있어 종합적, 체계적인 업무추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해양보전업무를 포괄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행정청의 조직이 필요하다. 먹고사는 그 윗 단계의 생물들을 따라가면서 점차 그 농도가 더욱 높아지는 축적상을 보여 결국에는 수산식품에 의해 사람에게까지 피해를 줄 수 있다. 1950년대 일본 규수 지방에서 발생되어 세계적으로 큰 충격을 주었던 미나마타중독사건은 중금속의 하나인 수은에 의한 해양오염피해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중독사건은 공장에서 합성수지의 원료를 합성하는 과정에 수은을 촉매로 사용하고 이 수은이 극소량의 폐수와 함께 하천과 바다에 흘러들어 감으로써 발생됐다. 바다에 들어간 수은이 해저에서 유독성을 지닌 유기수은인 메칠수은으로 전환됐다. 이것이 고기먹이인 플랑크톤에 흡수되고 다시 고기가 이를 먹고 유기수은이 고도로 농축된 물고기를 어민이 먹어 1953년부터 1963년까지 10년간 7백여 어민이 신경증상을 나타내고 그중 약 1백명이 사망했으며 생존자는 거의 폐인이 됐다. 이것이 이른바 미나마타병이다. 이 중독은 말초신경의 마비, 운동신경, 시신경의 마비로 나타나고 보행이 곤란해지고 말을 못하게 되어 완전히 폐인이 된다. 수은은 촉매로 쓰이는 것 외에도 농약, 화약 등의 제조 과정이나 전기분해 등에도 쓰인다.
참고문헌
* 강성현 외, 2005, 해양오염과 지구환경 - 한국해양연구소
* 안산 - 한국해양연구소
* 이민부, 2003 - 환경교육
* 이창섭, 1995, 유류오염의 현황과 대책, 해양오염 방지를 위한 대토론회
* 이종화 편저, 해양오염
* 해양오염 - 동화출판
* 환경오염 - 바다출판사
* R.B Clark 저 윤이용 옮김, 2003, 「 해양오염 」- 서울 : 동화기술교역
* http://www.momaf.go.kr - 해양수산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