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저케이블조사하기(fiber optic cable)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 해저케이블조사하기(fiber optic cabl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국내 시설 현황
2 해저케이블재원.
3. 해저 광케이블 정의
4. 우리나라의 해저케이블(fiber optic cable) 현황
1). 해저통신 케이블의 역사
2). 해저 전력케이블 공사

결론

본문내용

해저전신케이블망을 완성시켰다.
1920년대에서 국제 장거리 통신은 해저전신케이블에서 장파 무선통신으로 바뀌고 또 단파 무선통신으로 발전되었다.
해저전신케이블은 1924년의 대서양 횡단 케이블을 최후로 건설하지 못하게 되어 해저전신케이블 시대는 종결하게 되었다. 그러나 단파 무선 통신은 불안정한 전리층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현상의 영향을 받기 쉽고, 또한 수요증가에 따라 단파주파수의 부족, 혼신 등의 문제점을 타파하기 위하여 육상전송로용으로 개발한 동축반송 전화방식을 해저 케이블 통신에 적용 하도록 연구개발 추진, 동축해저케이블 전송방식을 실용화 하였다.
2). 해저 전력케이블 공사 (Submarine Power Transmission & Distribution System)
전 세계는 점진적으로 소폭의 경제 성장률을 보이며 향후 안정된 상승곡선을 그릴 것으로 조심스럽게 전망되고 있는 현재 , 중국의 가파른 성장세와 맞물려 동남아시아의 개발도상국의 처지에 있는 몇몇 국가의 활발한 개발 움직임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전력 수요 역시 전 세계적으로 날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로 여기에 연관된 해저 전력시스템(Submarine Power System) 역시 차세대 대체전원 못지않게 그 수요와 필요성이 국내외로 중요시되어 병행 증가되는 실정이다.
당사의 제 2 주력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해저 전력케이블 공사는 해저 전력케이블 건설공사 뿐만 아니라 이에 부응하는 22.9KV 급 배전망과 송전망에 이르기 까지 관련 시스템 전체를 Full-Turn Key 방식에 의한 설계, 시공한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점진적인 기술력과 시공품질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특히 2003년도 진해 해군 프로젝트에서와 같이 해저 전력케이블 설치를 기본으로 22.9KV CNCV 특고 케이블과의 직선접속, 설치와 특고압 수변전설비 및 한국전력공사 취급품인 리클로우저(RECLOSER)의 해군기지내 배전선로 최초 도입 설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변전설비 및 배전설비를 육상 , 해상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고객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결론
세계에서 해저케이블을 매설할수 있는 나라는 우리나라을 포함하여 5개국밖에 없다. 우리나라의 위상을 높이고 있는 서브마린회사도 대단하고 내가 대한민국국민이라는 점이 자랑스럽다.
이 조사로 인해 해저케이블을 대해 알았고 매설작업이 보통 힘든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다.
<참고자료>
서브마린 http://www.ktsubmarine.co.kr/
네이버 백과사전
한국전기공사협회
http://www.keca.or.kr/kp-1/pds/emagazine/magazine_view.jsp?year=2001&month=11&contents=%ED%95%B4%EC%A0%80%EC%BC%80%EC%9D%B4%EB%B8%94(%EC%83%9D%EC%9D%BC%EB%8F%84~%EC%A1%B0%EC%95%BD%EB%8F%84)&file_path=/data2/upload/home/1_magazine/0111011.html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4.08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03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