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혈관계와 림프계의 구조
1) 심혈관계 구조
2) 림프계의 구조
2. 심혈관계와 림프계의 방어기구
3. 바이러스 감염질환
1) 백혈병과 암(Leukemia and Cancer)
2) 전염성 단핵구증(infectious mononucleosis)
3)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AIDS)
4) 바이러스성 간염(Viral hepatitis)
(1) B형 간염(hepatitis B virus; HBV)
(2) C형 간염 (hepatitis C virus; HCV)
(3) D형 간염 (hepatitis D virus; HDV 또는 delta agent)
5) 뎅기열 (Dengue virus)
6) 신 증후 출혈열(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 제3군 법정전염병
7) 황열(Yellow fever) : 제4군 법정전염병
8) 마버그 열(Marburg fever) : 제4군 법정전염병
9) 에볼라 열(Ebola fever): 제4군 법정전염병
10) 라싸열(Lassa fever) : 제4군 법정전염병
4. 세균 감염질환
1) 패혈증 (septicemia)
2) 류마티스 열 (Rheumatic fever)
3) 세균성 심장염(Bacterial carditis)
4) 장티푸스(Typhoid fever)
5) 독소성 쇽 증후군(Toxic shock syndrome ; TSS)
6) 산욕열(Puerperal fever)
7) 페스트(Plague)
8) 재귀열(Relapsing fever)
9) 록키산열(Rocky mountain spotted fever)
10) 발진티푸스(Epidemic typhus)
11) 양충병(Scrub typhus)
12) 야토병(Tularemia)
13) 파상열(Undulant fever)
14) Lyme disease
5. 기생충 감염질환
1) 말라리아(Malaria)
2) 상피증 (Elephantiasis)
1) 심혈관계 구조
2) 림프계의 구조
2. 심혈관계와 림프계의 방어기구
3. 바이러스 감염질환
1) 백혈병과 암(Leukemia and Cancer)
2) 전염성 단핵구증(infectious mononucleosis)
3)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AIDS)
4) 바이러스성 간염(Viral hepatitis)
(1) B형 간염(hepatitis B virus; HBV)
(2) C형 간염 (hepatitis C virus; HCV)
(3) D형 간염 (hepatitis D virus; HDV 또는 delta agent)
5) 뎅기열 (Dengue virus)
6) 신 증후 출혈열(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 제3군 법정전염병
7) 황열(Yellow fever) : 제4군 법정전염병
8) 마버그 열(Marburg fever) : 제4군 법정전염병
9) 에볼라 열(Ebola fever): 제4군 법정전염병
10) 라싸열(Lassa fever) : 제4군 법정전염병
4. 세균 감염질환
1) 패혈증 (septicemia)
2) 류마티스 열 (Rheumatic fever)
3) 세균성 심장염(Bacterial carditis)
4) 장티푸스(Typhoid fever)
5) 독소성 쇽 증후군(Toxic shock syndrome ; TSS)
6) 산욕열(Puerperal fever)
7) 페스트(Plague)
8) 재귀열(Relapsing fever)
9) 록키산열(Rocky mountain spotted fever)
10) 발진티푸스(Epidemic typhus)
11) 양충병(Scrub typhus)
12) 야토병(Tularemia)
13) 파상열(Undulant fever)
14) Lyme disease
5. 기생충 감염질환
1) 말라리아(Malaria)
2) 상피증 (Elephantiasis)
본문내용
법 을 사용하도록 한다.
- 반드시 손을 청결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출산 후 올바른 목욕법
산모가 욕실을 사용하기 전에 가족 중 한 사람이 먼저 샤워를 하거나 뜨거운 물을 미리 받아 욕실을 데워두는 것이 좋다. 목욕 시간이 길면 체력 손실이 올 수 있고, 욕실 온도가 내려가면서 산후풍의 위험도 높아지므로 목욕은 5분 내로 짧게 끝낸다.
머리를 감거나 이를 닦을 때도 주의한다. 쪼그려 앉은 자세로 머리를 감으면 자궁이 압박을 받아 출혈이 있을 수 있으므로 출산 후 3주 이내에는 반드시 선 자세로 머리를 감는다. 양치질은 미지근한 물로 한다.
7) 페스트(Plague)
(1) 병원체
원인균 : 페스트균(Yersinia pestis)
* 페스트균이란?
☞ 그람음성단간균, 생체 내에서만 협막을 형성, 내독소(endotoxin) 생성
· 독성이 강해서 적은 양으로도 실험동물을 치사시킴. 55℃에서 5분 이 면 사멸
(2) 역학 및 임상증상
Yersina pestis균에 의하 급성 열성 전염병
치사율이 매우 높으며 사람은 쥐벼룩에 물려서 감염.
감염된 야생동물을 취급하거나 페스트 환자가 배출하는 비말을 통해 감염될 수 잇음
① 선 페스트 또는 림프절성 페스트
쥐 벼룩에 물린다음 1~6일 후에 물린 자리에 통증을 동반한 림프절 종창, 발열, 오한, 근육통, 두통, 빈맥, 저혈압 등이 나타남
② 폐 페스트 : 패혈증 페스트에 의해 2차적으로 나타나거나 폐 페스트 환자가 배출하는 비말을 통해 감염(잠복기 : 1~3일)되며 폐렴증세와 오한을 동반한 발열, 두통, 객혈 ③ 패혈증 페스트 : 1~6일의 잠복기 후에 구역,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으로 시작하여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에 파종성혈관내응고, 급성호흡부전, 신 부전,
의식저하, 쇼크로 진행하는 치명적인 결과를 보임
(3) 검사실 진단
림프절, 혈액, 객담 등을 도말하여 Giemesa 또는 Wayson 염색 검경하여
양극성(bipolar staining reaction)의 특이한 형태의 페스트균을 발견하거나, 배양해서
페스트균을 동정하면 확진 가능
(4) 치료 및 예방
입원 격리대상
항생제처방 : trimethoprime-sulfamethoxazole, strepto-mycin, tetracycline, chloramphenicol등
페니실린에는 저항성이 높고, 스트렙토 마이신에 대해서는 감수성이 높음
구서작업
8) 재귀열(Relapsing fever)
(1) 정 의
재귀열균은 길이 10-30㎛, 폭 0.3-0.5㎛인 그람음성의 약간 만곡한 5-10회의 완만한 회선으로 된 나선형이다. 원형질 피막이 있고, 파상의 회전운동을 하며, 다른 스피로헤타 보다 염색성이 좋다. 배양은 가능하지만 어렵고, 내독소(endotoxin)와 비슷한 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이 있다. 재귀열은 이매개성 재귀열(louse-borne relapsing fever)과 참진드기 매개성 재귀열(tick-borne relapsing fever)로 구분할 수 있다.
(2) 원 인
- 위생상태가 좋지 않으면서 사람이 밀집해 있는 경우 에 유행
- Borrelia중 Boreelia recurrentis만이 옷이에 의해 전파
- 재귀열에 이환된 환자의 혈중에 borrelia가 있는 시 기에 옷이가 흡혈하게되면 옷이가 감염
- 옷이는 평생 전파력이 있으며 옷이 내에서 borrelia는 식도를 거쳐 midgut에서 장상피를 뚫고 들어가 hemolymph에서 증식
- 이동해온 노동자나 전쟁 중의 군인에서 많으며, 여자보다는 남자에서 많음
- 추운 계절에 빈도가 많음 ⇒ 옷을 많이 있고 사람이 밀집되기 때문
- 감염된 진드기는 타액을 통해 borrelia를 전파
- 진드기에 물리는 것은 비교적 동통이 없을 수 있어 환자 자신은 알지 못할 수 있음
- 환자 발생은 산발적이거나 작은 유행 정도
- 참진드기는 마루나 벽의 틈이나 동물의 굴에 살고 밤에 사람을 뭄
(3) 증 상
- 고열, 두통, 근육통 및 관절통
- 종종 몸에 홍반성 발진
- 빈혈, 각혈, 토혈, 혈뇨
- 간비종대, 림프절 종대
(4) 잠복기
5-11일이다
(5) 진 단
특징적인 임상 진단으로 추정 진단이 가능하며, 급성기에 말초혈액 도말표본의 Giemsa 또는 Wright 염색에서 스피로헤타균(spirochetes)을 발견하여 확진할 수 있다
(6) 치 료
Tetracycline, Erythromycin(12세 이하 소아) 등의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다.
(7) 예방법
이 매개성 재귀열의 예방법은 DDT, 기타 살충제를 살포하는 것이며, 유용한 백신은 없다. 전쟁, 기근 등으로 생활환경이 악화되고 이 서식이 많을 때 대유행을 일으키므로 환경위생을 깨끗이 유지해야 한다. 감염 경과후에는 면역이 생기지만 단기간(2-5년)동안 지속된다. 그러나 때로는 상당히 강한 면역이 성립되어 오랫동안 재감염이 방어될 때도 있다.
9) 록키산열(Rocky mountain spotted fever)
원인균 : Rickettsia rickettsii에 의해 발생하는 절지동물매개질병
과정 : 다음 세대로 번식한 진드기에게 사람이 물림으로써 R.rickettsii의 숙주가됨
진드기와 사람이 접촉하기 좋은 봄과 여름에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
증상 : 혈관장애 발생, 피부발진, 심한 두통과 정신혼란
치료 : chloramphenicol 과 tetracycline같은 항생제로 거의 치료
10) 발진티푸스(Epidemic typhus)
(1) 정 의
발진티푸스는 Rickettsia prowazekii에 의한 급성 열성 전염병으로, 40°C 이상의 고열이 나면서 발병 후 4-6일경에 몸통에서 시작하여 사지에 퍼지는 발진이 생긴다. 비 위생 지대에 폭발적으로 발생하며, 주로 이가 많은 겨울철에 유행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67년 이후, 발진티푸스 환자가 발생 보고된 예가 없다.
(2) 발진티푸스균
발진티푸스 균은 0.25-0.3㎛ × 0.4-0.45㎛ 크기이며, 다핵성으로 구상, 단간상, 때로는 장간상이다. 마키아벨로 염색법에서 세포는 청색, 리켓치아는 적색으로 염색되며, 세포의 대사율이 떨어졌을
- 반드시 손을 청결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출산 후 올바른 목욕법
산모가 욕실을 사용하기 전에 가족 중 한 사람이 먼저 샤워를 하거나 뜨거운 물을 미리 받아 욕실을 데워두는 것이 좋다. 목욕 시간이 길면 체력 손실이 올 수 있고, 욕실 온도가 내려가면서 산후풍의 위험도 높아지므로 목욕은 5분 내로 짧게 끝낸다.
머리를 감거나 이를 닦을 때도 주의한다. 쪼그려 앉은 자세로 머리를 감으면 자궁이 압박을 받아 출혈이 있을 수 있으므로 출산 후 3주 이내에는 반드시 선 자세로 머리를 감는다. 양치질은 미지근한 물로 한다.
7) 페스트(Plague)
(1) 병원체
원인균 : 페스트균(Yersinia pestis)
* 페스트균이란?
☞ 그람음성단간균, 생체 내에서만 협막을 형성, 내독소(endotoxin) 생성
· 독성이 강해서 적은 양으로도 실험동물을 치사시킴. 55℃에서 5분 이 면 사멸
(2) 역학 및 임상증상
Yersina pestis균에 의하 급성 열성 전염병
치사율이 매우 높으며 사람은 쥐벼룩에 물려서 감염.
감염된 야생동물을 취급하거나 페스트 환자가 배출하는 비말을 통해 감염될 수 잇음
① 선 페스트 또는 림프절성 페스트
쥐 벼룩에 물린다음 1~6일 후에 물린 자리에 통증을 동반한 림프절 종창, 발열, 오한, 근육통, 두통, 빈맥, 저혈압 등이 나타남
② 폐 페스트 : 패혈증 페스트에 의해 2차적으로 나타나거나 폐 페스트 환자가 배출하는 비말을 통해 감염(잠복기 : 1~3일)되며 폐렴증세와 오한을 동반한 발열, 두통, 객혈 ③ 패혈증 페스트 : 1~6일의 잠복기 후에 구역,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으로 시작하여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에 파종성혈관내응고, 급성호흡부전, 신 부전,
의식저하, 쇼크로 진행하는 치명적인 결과를 보임
(3) 검사실 진단
림프절, 혈액, 객담 등을 도말하여 Giemesa 또는 Wayson 염색 검경하여
양극성(bipolar staining reaction)의 특이한 형태의 페스트균을 발견하거나, 배양해서
페스트균을 동정하면 확진 가능
(4) 치료 및 예방
입원 격리대상
항생제처방 : trimethoprime-sulfamethoxazole, strepto-mycin, tetracycline, chloramphenicol등
페니실린에는 저항성이 높고, 스트렙토 마이신에 대해서는 감수성이 높음
구서작업
8) 재귀열(Relapsing fever)
(1) 정 의
재귀열균은 길이 10-30㎛, 폭 0.3-0.5㎛인 그람음성의 약간 만곡한 5-10회의 완만한 회선으로 된 나선형이다. 원형질 피막이 있고, 파상의 회전운동을 하며, 다른 스피로헤타 보다 염색성이 좋다. 배양은 가능하지만 어렵고, 내독소(endotoxin)와 비슷한 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이 있다. 재귀열은 이매개성 재귀열(louse-borne relapsing fever)과 참진드기 매개성 재귀열(tick-borne relapsing fever)로 구분할 수 있다.
(2) 원 인
- 위생상태가 좋지 않으면서 사람이 밀집해 있는 경우 에 유행
- Borrelia중 Boreelia recurrentis만이 옷이에 의해 전파
- 재귀열에 이환된 환자의 혈중에 borrelia가 있는 시 기에 옷이가 흡혈하게되면 옷이가 감염
- 옷이는 평생 전파력이 있으며 옷이 내에서 borrelia는 식도를 거쳐 midgut에서 장상피를 뚫고 들어가 hemolymph에서 증식
- 이동해온 노동자나 전쟁 중의 군인에서 많으며, 여자보다는 남자에서 많음
- 추운 계절에 빈도가 많음 ⇒ 옷을 많이 있고 사람이 밀집되기 때문
- 감염된 진드기는 타액을 통해 borrelia를 전파
- 진드기에 물리는 것은 비교적 동통이 없을 수 있어 환자 자신은 알지 못할 수 있음
- 환자 발생은 산발적이거나 작은 유행 정도
- 참진드기는 마루나 벽의 틈이나 동물의 굴에 살고 밤에 사람을 뭄
(3) 증 상
- 고열, 두통, 근육통 및 관절통
- 종종 몸에 홍반성 발진
- 빈혈, 각혈, 토혈, 혈뇨
- 간비종대, 림프절 종대
(4) 잠복기
5-11일이다
(5) 진 단
특징적인 임상 진단으로 추정 진단이 가능하며, 급성기에 말초혈액 도말표본의 Giemsa 또는 Wright 염색에서 스피로헤타균(spirochetes)을 발견하여 확진할 수 있다
(6) 치 료
Tetracycline, Erythromycin(12세 이하 소아) 등의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다.
(7) 예방법
이 매개성 재귀열의 예방법은 DDT, 기타 살충제를 살포하는 것이며, 유용한 백신은 없다. 전쟁, 기근 등으로 생활환경이 악화되고 이 서식이 많을 때 대유행을 일으키므로 환경위생을 깨끗이 유지해야 한다. 감염 경과후에는 면역이 생기지만 단기간(2-5년)동안 지속된다. 그러나 때로는 상당히 강한 면역이 성립되어 오랫동안 재감염이 방어될 때도 있다.
9) 록키산열(Rocky mountain spotted fever)
원인균 : Rickettsia rickettsii에 의해 발생하는 절지동물매개질병
과정 : 다음 세대로 번식한 진드기에게 사람이 물림으로써 R.rickettsii의 숙주가됨
진드기와 사람이 접촉하기 좋은 봄과 여름에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
증상 : 혈관장애 발생, 피부발진, 심한 두통과 정신혼란
치료 : chloramphenicol 과 tetracycline같은 항생제로 거의 치료
10) 발진티푸스(Epidemic typhus)
(1) 정 의
발진티푸스는 Rickettsia prowazekii에 의한 급성 열성 전염병으로, 40°C 이상의 고열이 나면서 발병 후 4-6일경에 몸통에서 시작하여 사지에 퍼지는 발진이 생긴다. 비 위생 지대에 폭발적으로 발생하며, 주로 이가 많은 겨울철에 유행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67년 이후, 발진티푸스 환자가 발생 보고된 예가 없다.
(2) 발진티푸스균
발진티푸스 균은 0.25-0.3㎛ × 0.4-0.45㎛ 크기이며, 다핵성으로 구상, 단간상, 때로는 장간상이다. 마키아벨로 염색법에서 세포는 청색, 리켓치아는 적색으로 염색되며, 세포의 대사율이 떨어졌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