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학의 정의, 미생물의 분류 및 분류방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류학의 정의, 미생물의 분류 및 분류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분류학
1. 분류학의 정의

Ⅱ. 미생물
1. 미생물의 정의
2. 분류의 단계
가. 기본적인 분류단위, 종(species)
나. 속(genus)
다. 명명법
3. 미생물의 분류
가. 균류
나. 박테리아
다. 바이러스
- 동물바이러스
- 식물바이러스
- 세균바이러스
4. 미생물의 분류조건
가. 온도
나. 수소이온농도(ph)
다. 수분활성도(aw: water activity)
라. 이용 에너지원
마. 산소이용의 존재유무
바. 포자 생성방법
사. 염색법
아. 형태
5. 미생물의 분류법
가. 자연적 분류법(natural classification)
나. 인공적 분류법(artificial classification)
다. 분자생물학적 분류법(molecular biological classification)
라. 생화학적 분류법(biochemical classification)
마. 수치적 분류법(numberical classification)
6. 세균의 분류
가. 세균의 분류
나. 세균의 분류조건
(1)온도
(2)수소이온 농도 (pH)
(3)이용 에너지원
(4)산소이용의 존재유무
다. 세균의 분류법
(1)계통적 분류법
(2)수치분류법
(3)유전학적 분류법
(4)혈청학적 분류법
(5)화학분류(chemotaxonomy)

본문내용

니아를 산화시켜 에너지를 얻어 증식하기 때문이다. 물론 여기에는 이들 균을 제어하는 시스템이 추가되어야 하는 점을 배제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세균의 자연적인 대사 기능을 가지고는 대량으로 처리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탄수화물을 발효시켜 요구르트와 같은 발효식품을 만들고자 할 때는 화학합성 종속영양균인 Lactobacillus속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왜냐하면 이 균은 혐기적 조건하에서 유기태 탄소를 이용하여 발효산물을 생산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세균을 이용하고자 할 때는 이용되는 분야의 제반 특성과 세균의 생리적 기작을 일치시켜야 한다.
(4)산소이용의 존재유무
세균 분류에 있어 중요한 지표가 되는 것은 산소이용성이다. 산소이용성에 의해 세균을 분류해 보면 생육에 산소가 반드시 필요한 호기성세균(aerobes), 산소존재 유무에 관계없이 생육하는 통성혐기성 세균 (facultatives), 산소가 있으면 생육할 수 없는 혐기성 세균(anaerobes)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사상균과 방선균은 절대 호기성 미생물이다.
호기성 세균에는 Pseudomonas속, Bacillus속, Azotobacter속, Rhizobium속, Azospirillums속 등이 있으며, 통성 혐기성균에는 E. coli 등 대장균류가 속한다. 한편 혐기성균에는 Clostridium속, 황환원균 등이 있다.
미생물인 세균의 생육에는 산소 종류에 따라서 저해작용을 하므로, 세균을 이용하고자 할 때는 세균의 호흡능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어떤 세균의 최대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산소 혹은 이산화탄소 등을 적정농도가 될 수 있게 공급하여야 한다. 집적배양기 (bioreactor)와 같이 유입량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토양내에서는 매우 어렵다. 아무리 좋은 호기성 세균을 대량 접종한다 해도 토양내에는 산소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짧은 시간 안에 산소가 고갈되어 토양은 생물적으로 산소 결핍상태가 된다. 이렇게 되면 혐기성 세균이 급속히 증식하게 되며, 인위적으로 접종된 호기성 미생물은 휴면상태가 되거나 사멸하여 단지 유기물원이 되어버리게 된다.
다. 세균의 분류법
  세균 분류는 많은 성상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하여 유사한 것을 모아 그룹을 만드는 것이다. 분류체계의 기초가 되는 체계이론을 연구하는 학문을 분류학(Taxonomy)이라 한다.
(1)계통적 분류법
세균의 분류기초는 Cohn(1872)에 의하여 만들어졌으며, Lehmann과 Neumann의 분류도 이용된 시기가 있지만, 그들은 형태를 주로 한 분류법이다. 그러나 세균에서는 일반 고등생물의 경우와는 달라, 형탸가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이것만으로는 분류기초가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 밖의 여러 가지 생물학적 성상, 병원성, 면역학적 성상들도 첨가하여 분류에 응용한다. 세균은 원핵생물에 들어가지만, 어떻게 보면 식물에 가깝다. 이런 점에서 엽상식물문(뿌리, 줄기, 잎이 분화되지 않는 식물)에 속한다고 생각되기도 한다,
세균을 분류하는 기본이 되는 개체를 균주라 한다. 균주란 하나의 세균세포가 분열한 세균의 집단이다. 생물 분류의 기본은 종이다. 미생물에 있어서는 다수의 균주에 대하여 형태학적, 생리학적 성상을 조사하고, 동일한 또는 근사한 성상을 가지고 있는 최소 분류학적 군을 종이라 정의하고, 분류의 최소단위로 한다. 그래서 분류체계로서는 종은 속으로, 속은과로 과는 목으로 목은 강으로 모으게 된다, 종은 더욱 아종, 변종 및 균형으로 나누는 것도 있다.
세균의 명명법은 국제세균명명규약에 따라 이명법으로 하며 라틴어 또는 그리스어로 표시한다. 즉 종명은 속명과 그것을 형용하는 형용구를 나란히 기재한다. 균종이 국제적으로 승인 받기 위해서는 표준주(기준주)가 있어야 하며, 국제적인 균주보관기관에 등록하여야 한다. 어떤 하나의 생물개체가 어떤 종류에 속하는 것을 경절하는 과정을 동정이라 부른다. 동정작업은 어떤 정하여진 방법에 따라 검사하고, 많은 데이터를 모아 이것들을 정리하여, 신뢰성 있는 분류체계 및 분류기준에 맞추어 보아 차이가 있음을 분명히 하고, 종합판단하는 것이다.
세균을 분류 및 동정하기 위하여 세계각죽에서 널리 이용하는 Bergey\'s manual은 1923년 Society of American Bacteriologist에서 Bergey를 중심르로 한 위원회에서 출판한 것으로 Bergey\'s manual of Determinant Bacteriology란 이름으로 분류체계로 개선과 개정을 하여, 1994년까지 9판을 만들었다.
(2)수치분류법
고전적인 계통적 분류법은 학자들의 주관에 의하여 크게 좌우된다. 이러한 주관적인 분류에 대하여 균에서 관찰된 모든 성상을 동등하게 다루어, 그들 전체로부터 판단한 상관성을 기초로 하여 객관적인 분류를 세균 분류학에 도입한 것으로 표현분류법, 통계학적 분류법 또는 computer 분류법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 방법은 Adanson(1757)에 의하여 그 원리가 처음으로 제창되어 Adanson분유법이라고도 하며, 근대적 분류법으로서 급속하게 확산되었다. 다행히도 이 방법으로 설정한 분류군은 계통적 분류법의 사고방식으로 만든 것과도 대부분의 경우 잘 일치한다.
수치분류법에서는 관찰한 모든 성질을 동등하다고 간주하여 비교하고 공통 성질을 많이 갖고 있는 세균, 즉 전체 형질을 기본으로 하는 overall similarity가 많은 세균을 모아 분류군을 만들고 차차로 상사도가 낮은 큰 군과 모은다. 높은 상사도를 나타내는 것은 근연성이 높다고 간주된다. 수치분류를 실질적으로 하는 방법으로는 대상균주에 대하여 가능한 많은 형태학적, 생물학적, 생화학적 검사를 하고 그 결과를 양성과 음성으로 기재하고 유사도를 나타내는 유사계수(similarity index) 또는 S치(similarity value)라 한다.
(3)유전학적 분류법
수치 분류법은 객관적분류법으로 우수한 방법이지만, 결점은 다음과 같다. 즉 분류대상이 되는 군성상을 가능한한 자세하게 조사하여도 지놈의 모든 정보 중 어느만큼의 정보를 조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7.06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94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