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영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영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릿말

본문
1.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탄생의 사회적 배경
Ⅱ.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의 탄생
Ⅲ.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인과 영화작품
Ⅳ. 대표적 특징, 기법
Ⅴ. 사회에 끼친 영향
Ⅵ.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의 쇠퇴

맺음말

본문내용

구두닦이
1948년 아카데미 특별상 - 자전거 도둑
1964년 아카데미 특별상 -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1970년 아카데미 최고 외국어상 - 핀지 콘티니의 정원
작품경력
1939 \"Rose Scarlatte\" (붉은 장미)
1940 \"Maddelena, Zero in Condotta\" (마들레나, 완성을 위한 제로)
1941 \"Un Garibaldino al Convento\" (수도원의 가리발디인)
1942 \"I Bambini ci Guardano\" (아이들이 우릴 보고 있다)
1946 \"Sciuscia\" (구두닦이)
1946 \"La Porta del Cielo\" (천국의 문)
1948 \"Ladri di Biciclette\" (자전거 도둑)
1951 \"Miracolo a Milano\" (밀란의 기적)
1952 \"Umberto D\"(움베르토 D)
1953 \"Stazioni Termini\" (미국인 아내의 경솔)
1954 \"L\'Oro di Napoli\" (나폴리의 황금)
1956 \"Il Tetto\" (지붕)
1960 \"Anna di Brooklyn\" (부루클린의 안나)
1961 \"Il Giudizio Universale\" (최후의 심판)
1961 \"La Ciociara\" (두 여인)
1962 \"Boccaccio \'70\" (보카치오 70)
1963 \"I Sequestrati di Altona\" (알토나의 죄수)
1964 \"Matrimonio All\'Italiana\" (이탈리아식 결혼)
1964 \"Ieri, Oggi, Domani\"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1966 \"Le Streghe\" (마녀들)
1966 \"Un Monde Nouveau\" (신세계)
1966 \"Caccia alla Volpe\" (여우 뒤에)
1967 \"Sette Volte Donna\" (여인 7세대)
1969 \"Amanti\" (연인들을 위한 장소)
1970 \"I Girasoli\" (해바라기)
1970 \"The Garden of the Finzi-Continis\"(핀지 콘티니의 정원)
1970 \"Le Coppie\" (커플들)
1972 \"Lo Chiameremo Andrea\" (우리는 그를 안드류라 부르련다)
1973 \"Una Breve Vacanza\" (짧은 휴가)
1974 \"Il Viaggio\" (여행)
대표작
자전거 도둑
1) 연출가 비토리오 데 시카
루키노 비스콘티, 로베르토 로셀리니와 함께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을 이끈 비토리오 데 시카는 어려서부터 무대에 서는 것을 지망하여 1920년대 인기 무대 배우가 되기도 하였다. 그는 파시즘 정권이 영화정책을 펴고 있던 40년대 초반에는 평범한 멜로드라마를 만들다가 1943년 시나리오 작가 세자르 자르비티와 공동 작업한 아이들은 보고있다를 시작으로 네오리얼리즘 계열의 작품들을 함께 만들어 나가기 시작한다. 대표작들인 <구두닦이>, <자전거 도둑>, <밀라노의 기적>, <움베르토 D> 등을 세자르 자바티니와 함께 작업한다. 특히 네오리얼리즘 영화의 대표작이랄 수 있는 <자전거 도둑>은 전후 이탈리아 사회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품으로 영화사에 남는 명작이 되었다. 이 영화는 동시대 네오리얼리즘 영화들에 비해 덜 정치적이고 드라마적 성향이 짙은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런 점에서 <자전거 도둑>은 네오리얼리즘 영화 가운데 드물게 널리 성공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영화사의 10대 걸작을 꼽을 때면 빠지지 않고 <자전거 도둑>이 들어 있다. <자전거 도둑>은 세자르 자바티니가 루이지 바르톨리니의 원작을 시나리오로 각색하여 나온 영화이다. <자전거 도둑>은 민중적인 그리고 포퓰리즘 식이기도 한 줄거리, 즉 한 노동자의 일상생활에서 우연히 일어난 한 사건에 대한 이야기이다.
비토리오 데 시카는 이러한 네오리얼리즘 영화에서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미국자본에 의존하여 만들었던 <종착역> 이래로 1960년대의 <어제, 오늘, 내일과 연인들의 장소>에서는 다시 이전의 멜로적 속성이 짙어 지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토리오 데 시카는 이탈리아 영화사에 있어 가장 뛰어난 영화감독 중 하나임에는 이론이 없다 하겠다.
비토리오 데 시카는 네오리얼리즘이라는 차갑기까지 한 현실성을 보여주면서도 그 속에서 사랑과 부드러움을 간직하고 있다. 그의 영화들에서는 네오리얼리즘의 계몽성과 달리 약간의 감동을 느끼게 하는 무언가가 있는 것이다. 비스콘티의 영화에서 볼 수 없었던 역할에 대한 애정이 조금은 어려울 수도 있는 네오리얼리즘 영화에서 관객들은 감동을 포착해 내는 쾌거를 이루기도 한다. <자전거 도둑>은 그런 면에 있어서, 그의 특징이 잘 묻어나는 영화라 할 수 있다.
2) 자전거 도둑
비토리오 데 시카 감독의 1947년 작품인 <자전거 도둑>은 네오리얼리즘 영화중에서도 걸작으로 손꼽히는 영화의 하나이다.
2차 세계대전이 막 종전을 맞은 이탈리아는 독재체제하의 파시즘 정권이 무너지고, 경제적 사회적으로 가장 빈곤한 시기를 겪고 있었다. 영화는 일을 구하기 위해 직업소개소 앞에 개미떼처럼 모인 사람들을 보여주면서 시작한다. 주인공인 안토니오는 이 직업소개소에서 영화사의 벽보를 붙이는 일자리를 얻는다. 2년 만에 얻은 일자리의 필수 조건은 자전거. 그러나 이미 안토니오는 자전거를 저당 잡혀버렸고, 이에 침울해 하던 아내 마리아는 침대보를 벗겨 저당 잡히고 자전거를 되찾아 온다. 자전거를 되찾은 안토니오와 아들 브루노는 기뻐하며, 아침부터 일어나 자전거를 닦는다.
그러나 안토니오가 출근하여 기쁨을 느끼던 것도 잠시 벽보를 붙이는 사이에 한 사내가 자전거를 타고 도망친다. 주위에 있었던 한 패의 방해로 도둑을 놓친 안토니오는 절망하며 집으로 돌아온다. 2년 만에 구한 직장은 자전거 도둑으로 인해 날아가게 생겼다. 이튿날부터 안토니오는 어린 브루노를 데리고 자전거를 찾기 위해 로마거리를 배회한다. 아는 사람을 다 동원해 자전거 고물상을 뒤져보고, 도둑맞은 자전거가 나타날 만한 곳을 다 찾아보지만 헛수고다. 망연자실해 있는 부자는 갑자기 퍼붓는 소나기를 피한다. 그때 어제의 자전거 도둑이 눈앞에 나타나 한 노인과 이야기를 하고 자전거를 타고 가는 광경을 보게 된다. 자전거 도둑을
  • 가격3,000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08.04.17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16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