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동기 및 연구방법
2. 연구 방향
Ⅱ. 본론
1. 이사야서 연구의 접근 방법
A. 전통적 접근 방식
B. 편집 비평적 접근방식
C. 정경적 접근 방식
D. 문학적 접근방식
2. 왜 한권으로 보아야 하는가?
A. 성경의 전체의 조명속에서 이사야 이해하기
B. 저자의 문제에 대해
3. 무엇이 이사야서를 하권으로 묶는가?
A. 정경적 해석방법
a. 차일즈의 방법
b. 브루그만의 방법
c. 콘라드의 방법
B. ‘ ‘하나님의 거룩’또는 ‘이스라엘의 거룩한 자’를 통하여 본 관점
C. ‘정의’의 개념으로 본 관점
D . 바벨론 왕과 고난의 종의 대조를 통해 본 관점
Ⅲ. 결론
1. 연구동기 및 연구방법
2. 연구 방향
Ⅱ. 본론
1. 이사야서 연구의 접근 방법
A. 전통적 접근 방식
B. 편집 비평적 접근방식
C. 정경적 접근 방식
D. 문학적 접근방식
2. 왜 한권으로 보아야 하는가?
A. 성경의 전체의 조명속에서 이사야 이해하기
B. 저자의 문제에 대해
3. 무엇이 이사야서를 하권으로 묶는가?
A. 정경적 해석방법
a. 차일즈의 방법
b. 브루그만의 방법
c. 콘라드의 방법
B. ‘ ‘하나님의 거룩’또는 ‘이스라엘의 거룩한 자’를 통하여 본 관점
C. ‘정의’의 개념으로 본 관점
D . 바벨론 왕과 고난의 종의 대조를 통해 본 관점
Ⅲ. 결론
본문내용
을 확신하였다. 그는 한 선지자의 메시지는 그 시대에만 국한된다는 역사비평학자들의 주장에 대해서 “이사야서의 본질적인 내용은 아모스의 아들 이사야를 통해서 우리에게 전달되었다.”고 진술한다. 위의 책, 23: John N. Oswalt, The Book of Isaiab: Chapters 1-39에서 인용.
예루살렘의 이사야 선지자는 그의 생애에 여러 주제들을 각 시대마다 다르게 표현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이사야서의 편집 가능성은 배제하지 않는다. 그는 이사야서는 자료모음집 형태로 나타나며 이는 이사야는 다른 동료들에 의해 편집되었음을 부인하지 않고 있다. 단일 저작설과 편집가능성을 함께 받아들인다는 것은 모순에 빠지는 일이다. 이러한 논리 전개는 아쉬움을 남게 한다.
알렉 모티어는 오스왈트와 같이 이사야서가 아모스의 아들 이사야에 의해 전체가 기록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단일 저작설을 주장하기위해 가장 오래된 이사야서 사본을 들고 있다. 여기에는 39장과 40장이 어떠한 단절도 없이 서로 연결되었음을 지적하면서 이사야서의 통일서의 정당성을 입증한다. 위의책, 26.
또한 모티어는 예수와 신약 기자들이 이사야서를 인용한 것이 단알 저작설을 확증하는 중요한 단서라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신약에 인용된 이사야의 이름은 8세기 예루살렘의 선지자 이사야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신약의 권위를 강조하면서 아모스의 아들 이사야가 전체 이사야의 저자임을 강력하게 변호한다. 위의 책. Alec Motyer, Isaiab: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34에서 인용.
하지만 그는 사해사본을 증거물로 제시하는데 있어 1-33장과 34-66장을 구분되어 보존한 것에 대한 33장과 34장 사이의 간격을 뛰어넘지 못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모티어의 주장에 따라 39장과 40장 사이에는 간격이 없이 연결되지만 33장과 34장에 새로운 간격이 나타나는 것을 이해시키지는 못했다.
또한 신약의 권위를 통해 단일 저작설의 정당성을 입증하려는 시도는 신약성경을 정뎡으로 받아들이는 기독교인들에게는 매우 설득력 있는 논증이 될 수 있지만, 신약을 정경으로 수용하지 않는 학자들에게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다는 아쉬움을 남겼다. 위의 책, 27.
B. 편집 비평적 접근방식
원 선지자의 의도에 치중한 구 역사비평의 전제를 답습하지 않고 본문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편집자의 의도와 그 신학에 집중하는 접근방식을 의미한다. 특히 그들은 이사야서의 통일성을 편집적 통일성으로 이해한다. 이러한 접근을 시도하는 대표적인 학자들로는 클레멘츠(Ronald E. Clements), 랜돌프(Rolf Rendtorff), 스위니(Marvin A. Sweeney)들을 꼽을 수 있다. 장세훈, “최근 이사야서의 통일성 연구”, http://sehoon.net/iezn/구약자료실.
클레멘츠는 보수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이사야 선지자의단일 저작설을 받아들이지 않고, 이사야 전체를 익명의 편집자들, 혹은 서기관들의 편집작품으로 이해한다. 그는 이사야서 전체가 편집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진 통일된 본문으로 이해한다.
렌돌프는 최근들어 정경비평을 저극적으로 수용하여 주요 해석학적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의 성경신학적 관심이 본문의 편집 구성 자체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이 이사야서 연구이다.
스위니는 주로 편집 비평에 의존하여 이사야서를 연구하고 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이사야서의 구조적, 문예적 통일성은 후기 포로기 시대에 신앙개혁을 지지하는 익명의 편집자 또는 편집자들의 창조적 능력에 따라 성립된 것이다. 위의 책, 33-45.
C. 정경적 접근방식 위의 책, 51-62.
1970년대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역사 비평의 한계를 인식한 몇 몇 신학자들이 시도한 새로운 해석방법이다. 이는 본문의 정격적 맥락을 강조한다. 특히 본문의 최종 정경형태를 집중하면서 본문의 통일성을 살피려 한다. 이 접근방식의 대표자들은 차일즈(Brevard S. Childs), 샌더스(J. A. Sanders), 세이츠(Christopher R. Seitz), 하우스(Paul R. House)등을 꼽을 수 있다. 장세훈, “최근 이사야서의 통일성 연구”, http://sehoon.net/iezn/구약자료실.
차일즈는 새로운 성경 해석방법론의 출발점으로 정경적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사야서를 연구하는데 있어 제1이사야, 제2이사야, 제3이사야는 모두 최종 정경 형태의 맥락에서 일관된 뚜렷한 신학적 결론들이나 메시지들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차일즈에 따르면 최종 정경 형태의 관점에서 볼 때 제2,3이사야는 제1이사야와 비슷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 세들은 분리해서 취급해서는 안된다. 함께 읽고 해석하여야 한다.
세이츠는 이사야서 연구에 있어 정경비평적 방법을 사용하지만 차일즈와는 차이점이 있다. 그는 내부에는 여러개의 방이 있지만 오랜 세월동안 지어지는 과정에서 하나의 건물로 지어졌기에 하나의 건물로 보는 것처럼 이사야도 ‘역사적 과정’을 통하여 나타난 결과물이라고 말한다. 이사야서는 원래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역사적, 신학적 영역으로 발전하면서 마침내 1-66장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우스는 이사야서 전체가 신앙공동체의 정경으로 받아들였다는 사실과, 이러한 정경의 맥락에 근거한 본문의 통일성을 강조한다. 더욱이 하우스는 유일신론적 관점에 근거하여 이사야서의 정경신학적 통일성을 전개해 나간다.
하우스는 이사야서 전체에 그려진 하나님의 영상을 살피면서 그 중심 메시지를 전달한다.
첫째, 1-12장은 이스라엘 백성의 언약 파괴와 그로 인한 피할 수 없는 심판을 선포하시는 하나님을 소개한다. Paul R. House, 장세훈 역, 『구약신학』,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1), 492-506. 역자의 서적 『한권으로 읽는 이사야서』에서 재인용.
둘째, 13-27장은 이스라엘 백성뿐 아니라 여호와를 인정하지 않는 교만한 열방을 심판하시는 하나님을 묘사한다. 위의 책.506-509.
셋째, 28-39장은 여호와를 신뢰하는 남은 자들을
예루살렘의 이사야 선지자는 그의 생애에 여러 주제들을 각 시대마다 다르게 표현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이사야서의 편집 가능성은 배제하지 않는다. 그는 이사야서는 자료모음집 형태로 나타나며 이는 이사야는 다른 동료들에 의해 편집되었음을 부인하지 않고 있다. 단일 저작설과 편집가능성을 함께 받아들인다는 것은 모순에 빠지는 일이다. 이러한 논리 전개는 아쉬움을 남게 한다.
알렉 모티어는 오스왈트와 같이 이사야서가 아모스의 아들 이사야에 의해 전체가 기록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단일 저작설을 주장하기위해 가장 오래된 이사야서 사본을 들고 있다. 여기에는 39장과 40장이 어떠한 단절도 없이 서로 연결되었음을 지적하면서 이사야서의 통일서의 정당성을 입증한다. 위의책, 26.
또한 모티어는 예수와 신약 기자들이 이사야서를 인용한 것이 단알 저작설을 확증하는 중요한 단서라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신약에 인용된 이사야의 이름은 8세기 예루살렘의 선지자 이사야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신약의 권위를 강조하면서 아모스의 아들 이사야가 전체 이사야의 저자임을 강력하게 변호한다. 위의 책. Alec Motyer, Isaiab: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34에서 인용.
하지만 그는 사해사본을 증거물로 제시하는데 있어 1-33장과 34-66장을 구분되어 보존한 것에 대한 33장과 34장 사이의 간격을 뛰어넘지 못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모티어의 주장에 따라 39장과 40장 사이에는 간격이 없이 연결되지만 33장과 34장에 새로운 간격이 나타나는 것을 이해시키지는 못했다.
또한 신약의 권위를 통해 단일 저작설의 정당성을 입증하려는 시도는 신약성경을 정뎡으로 받아들이는 기독교인들에게는 매우 설득력 있는 논증이 될 수 있지만, 신약을 정경으로 수용하지 않는 학자들에게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다는 아쉬움을 남겼다. 위의 책, 27.
B. 편집 비평적 접근방식
원 선지자의 의도에 치중한 구 역사비평의 전제를 답습하지 않고 본문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편집자의 의도와 그 신학에 집중하는 접근방식을 의미한다. 특히 그들은 이사야서의 통일성을 편집적 통일성으로 이해한다. 이러한 접근을 시도하는 대표적인 학자들로는 클레멘츠(Ronald E. Clements), 랜돌프(Rolf Rendtorff), 스위니(Marvin A. Sweeney)들을 꼽을 수 있다. 장세훈, “최근 이사야서의 통일성 연구”, http://sehoon.net/iezn/구약자료실.
클레멘츠는 보수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이사야 선지자의단일 저작설을 받아들이지 않고, 이사야 전체를 익명의 편집자들, 혹은 서기관들의 편집작품으로 이해한다. 그는 이사야서 전체가 편집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진 통일된 본문으로 이해한다.
렌돌프는 최근들어 정경비평을 저극적으로 수용하여 주요 해석학적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의 성경신학적 관심이 본문의 편집 구성 자체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이 이사야서 연구이다.
스위니는 주로 편집 비평에 의존하여 이사야서를 연구하고 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이사야서의 구조적, 문예적 통일성은 후기 포로기 시대에 신앙개혁을 지지하는 익명의 편집자 또는 편집자들의 창조적 능력에 따라 성립된 것이다. 위의 책, 33-45.
C. 정경적 접근방식 위의 책, 51-62.
1970년대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역사 비평의 한계를 인식한 몇 몇 신학자들이 시도한 새로운 해석방법이다. 이는 본문의 정격적 맥락을 강조한다. 특히 본문의 최종 정경형태를 집중하면서 본문의 통일성을 살피려 한다. 이 접근방식의 대표자들은 차일즈(Brevard S. Childs), 샌더스(J. A. Sanders), 세이츠(Christopher R. Seitz), 하우스(Paul R. House)등을 꼽을 수 있다. 장세훈, “최근 이사야서의 통일성 연구”, http://sehoon.net/iezn/구약자료실.
차일즈는 새로운 성경 해석방법론의 출발점으로 정경적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사야서를 연구하는데 있어 제1이사야, 제2이사야, 제3이사야는 모두 최종 정경 형태의 맥락에서 일관된 뚜렷한 신학적 결론들이나 메시지들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차일즈에 따르면 최종 정경 형태의 관점에서 볼 때 제2,3이사야는 제1이사야와 비슷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 세들은 분리해서 취급해서는 안된다. 함께 읽고 해석하여야 한다.
세이츠는 이사야서 연구에 있어 정경비평적 방법을 사용하지만 차일즈와는 차이점이 있다. 그는 내부에는 여러개의 방이 있지만 오랜 세월동안 지어지는 과정에서 하나의 건물로 지어졌기에 하나의 건물로 보는 것처럼 이사야도 ‘역사적 과정’을 통하여 나타난 결과물이라고 말한다. 이사야서는 원래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역사적, 신학적 영역으로 발전하면서 마침내 1-66장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우스는 이사야서 전체가 신앙공동체의 정경으로 받아들였다는 사실과, 이러한 정경의 맥락에 근거한 본문의 통일성을 강조한다. 더욱이 하우스는 유일신론적 관점에 근거하여 이사야서의 정경신학적 통일성을 전개해 나간다.
하우스는 이사야서 전체에 그려진 하나님의 영상을 살피면서 그 중심 메시지를 전달한다.
첫째, 1-12장은 이스라엘 백성의 언약 파괴와 그로 인한 피할 수 없는 심판을 선포하시는 하나님을 소개한다. Paul R. House, 장세훈 역, 『구약신학』,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1), 492-506. 역자의 서적 『한권으로 읽는 이사야서』에서 재인용.
둘째, 13-27장은 이스라엘 백성뿐 아니라 여호와를 인정하지 않는 교만한 열방을 심판하시는 하나님을 묘사한다. 위의 책.506-509.
셋째, 28-39장은 여호와를 신뢰하는 남은 자들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