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Ⅰ. 노인의 안전사고
1.음식 안전사고
2. 냉방 기구의 안전한 사용
3.욕실의 안전한 사용
4. 베란다의 안전한 사용
5. 가스 기구의 안전한 사용
Ⅱ.PRECEDE-PROCEED모델
1. PRECEDE-PROCEED모델에 대하여
2.목적
3.특성
4.개념 정리
1) 1단계 -사회적 진단단계 (Social Diagnosis)
2) 2단계 - 역학적 진단단계(Epidemiological Diagnosis)
3) 3단계 - 행동 및 환경적 진단단계(Behavioral and Environmental Diagnosis)
4) 4단계 - 교육 및 생태학적 진단단계(Educational and Organizational Diagnosis)
5) 5단계 - 행정 및 정책적 진단단계(Administration and Policy Diagnosis)
6) 6단계 - 시행(Implementiation Phase)
7)과정평가
8)영향평가
9)결과평가
Ⅲ.노인의 안전사고 예방교육 사례
1.사회적 진단
2.역학적 진단
3.행동 및 환경적 진단단계
4.교육 및 생태학적 진단단계
5. 행정 및 정책적 진단단계
6. 프로그램 시행
7.과정평가
8.영향평가
9.결과평가
결론
참고자료
Ⅰ. 노인의 안전사고
1.음식 안전사고
2. 냉방 기구의 안전한 사용
3.욕실의 안전한 사용
4. 베란다의 안전한 사용
5. 가스 기구의 안전한 사용
Ⅱ.PRECEDE-PROCEED모델
1. PRECEDE-PROCEED모델에 대하여
2.목적
3.특성
4.개념 정리
1) 1단계 -사회적 진단단계 (Social Diagnosis)
2) 2단계 - 역학적 진단단계(Epidemiological Diagnosis)
3) 3단계 - 행동 및 환경적 진단단계(Behavioral and Environmental Diagnosis)
4) 4단계 - 교육 및 생태학적 진단단계(Educational and Organizational Diagnosis)
5) 5단계 - 행정 및 정책적 진단단계(Administration and Policy Diagnosis)
6) 6단계 - 시행(Implementiation Phase)
7)과정평가
8)영향평가
9)결과평가
Ⅲ.노인의 안전사고 예방교육 사례
1.사회적 진단
2.역학적 진단
3.행동 및 환경적 진단단계
4.교육 및 생태학적 진단단계
5. 행정 및 정책적 진단단계
6. 프로그램 시행
7.과정평가
8.영향평가
9.결과평가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이 배치하지 않는다. 침대나 가구가 창문 가까이 있거나, 침대의 높이가 창문과 같을 때에는 노인들이 침대 위에서 놀다가 창문으로 떨어질 수 있는 위험이 매우 높다. 공기 순환을 위해 창문을 연다면 반드시 위에서부터 열도록 한다. 아래쪽의 창문을 열어야 할 경우에는 밑에서부터 10~13cm 정도만 열리게 하는 안전장치를 한다. 베란다는 밖이 보이는 곳이므로 베란다에서 노인들이 물건을 놓고 올라가는 것을 막기 위해 발판이 될 수 있는 물건을 두지 않는다.
5. 가스 기구의 안전한 사용
가정에서 요리를 하거나 난방을 하기 위해서 요즘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료는 가스일 것입니다. 가스는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하고 쉬워 우리 생활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는 반면 자칫 부주의하게 사용하면 큰 재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가스 기구 사용시 주의할 점을 알아보고 올바른 사용방법을 익혀, 가정에서 보다 안전하게 가스 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합시다.
1)가스의 성질
프로판 가스는 가정 연료 LPG의 주성분으로 42.1℃에서 끓어 액체에서 기체가 된다. 프로판 가스는 공기보다 무게가 무거워 바닥에 가라앉는다. 프로판 가스는 기체 상태로는 부피가 너무 커서 들고 다니기가 불편하기 때문에 8.2mb의 압력을 가해 액체로 만들어 쇠로 만든 가스통에 넣은 것이다.고온으로 가열되고 산소와의 결합이 시작되면 그 발열로 인해 연쇄적으로 주위의 연료 분자가 산소와 결합한다.가스폭발을 일으키는 경우는 프로판 가스가 새어나와 방안에 가득 차서 방안 공기인 산소와 뒤섞인 상태에서이다. 그때 방 어디에서 스위치를 켜다가 불꽃같은 것이 튀면 그 불꽃으로 프로판연소가 시작한다. 그 결과 온도와 압력이 급상승하고 불꽃이 삽시간에 방 전체에 퍼진다.가스와 공기가 합해지면 폭발성 혼합물을 만든다. 그러므로 가스 벨브를 열기 전에 가스 렌지나 난로에 불을 붙일 준비가 되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2)가스 사용 관련 안전 수칙
가. 화기에서 눈을 떼지 않는다.
가스 렌지나 가스오븐을 사용할 때에는 그 곁을 떠나지 않는 것이 대원칙이다. 된장국을 끓이고 있는 냄비에 손을 댔다가 뒤집어엎기라도 하게되면 큰 화상을 입기 때문이다. 또, 가스 렌지의 테이블, 가스오븐의 전면 유리는 온도가 높음으로 손이 닿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도 중요하다.
나. 옷에 불이 붙지 않도록 주의한다.
불을 취급하는 주방에서는 옷에 불이 붙어서 화상을 입는 경우가 있다. 소매가 긴 옷을 입거나 옷을 껴입는 겨울철에 많이 일어나는 사고이다. 특히, 털이 많은 옷에 불이 붙으면 한순간에 온몸에 불이 붙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와 같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소매가 방염 처리 된 옷을 입거나 소매가 달라붙는 옷을 입는 것이 좋다.
다. 온수기에 의한 사고를 조심한다.
순간 온수기는 옥내설치형과 옥외설치형이 있다. 옥외설치형은 문제가 없으나 옥내형 온수기일 경우에 주의할 사항은 환기이다. 왜냐하면 순간 온수기는 가스 렌지 보다도 발열량이 훨씬 많아서 그만큼 산소의 소비량이 많아지므로 산소부족으로 인한 불완전 연소를 일으키기 쉽다. 불완전연소를 일으키면 일산화탄소가 발생하여 사망에 이를 수도 있으므로 충분한 주의가 요구된다
Ⅱ.PRECEDE-PROCEED모델
1. PRECEDE-PROCEED모델에 대하여
PRECEDE-PROCEED모형은 인구집단에 적용 가능한 모형으로서 1980년에 Green과 Kreuter는 보건교육 기획을 위한 PRECEDE모형을 발표하였고, 1991년에 PRECEDE모형의 행정적 사정단계를 확장 발전시켜 PRECEDE-PROCEED모형(Predisposing, Reinforcing, and Causes in Educational Diagnosis and Eval uation - Policy, Regulatory, Organizational, Constructs in Educational and Environmental Development)을 제시하였다. 1999년에는 건강행위에 생태학적 측면이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면서 기존의 교육, 조직적 사정단계를 교육, 생태학적 사정단계로 수정하여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교육적, 생태학적 접근을 통한 건강증진사업의 기획을 위한 모형으로서 건강증진사업의 계획에서부터 실시 및 평가과정까지를 포괄하는 모형이다.
이 모형의 특징은 여러 측면의 사정과정을 통해 건강과 건강행위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복합적으로 분류하여 조직화할 수 있는 접근체계를 제시해 준다. 특히 건강 및 건강행위에 사회적, 생태학적 측면(가족, 지역사회, 문화, 신체적, 사회적 환경)들이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고 있어 건강행위 변화에 대한 책임을 대상자 중심으로 본 다른 건강행위 관련 모형들과 구별된다.
교육적, 생태학적 접근으로서 보건교육의 계획부터 수행평가 과정의 연속적인 단계를 제공하는 포괄적인 건강증진 계획에 관한 모형으로서 PRECEDE는 보건교육사업의 우선순위결정 및 목적설정을 보여주는 진단단계 이며 PROCEED는 정책수립 및 보건교육사업 수행과 사업평가에서의 대상 및 그 기준을 제시하는 건강증진 계획의 개발단계이다.
2.목적
Green과 그 외 학자들이 1980년에 건강교육 요구를 진단하기 위해 만들었으며 건강교육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발달과 평가의 과정을 위한 기구이다. 1991년 PRECEDE 모형을 기본으로 건강증진의 계획과 수행 및 평가를 위한PRECEDE-PROCEED 모형을 발표했다.
3.특성
보건 교육 또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계획의 효과와 효율을 증대시키려고 의도할 경우에 계획은 “무엇을 계획할 것인가” 보다는 “왜 그런 계획을 하여야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건강교육자가 투입(교육중재, 과정)보다 결과(건강, 삶의 질)에 주의를 기울여 목표에 준하여 보건교육 과정을 시작하도록 하였다.
이런 관점 때문에 이 모형은 각 요소의 영향이 왼쪽에서 오른쪽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되나 계획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된다. 즉, 보건교육 사업은 사업 평가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자칫 보건교육사업 활동 자체가 사업의 목표가 되고 사업의 중요성이 부여되기 쉬운데 이에 반하여 성과가 더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5. 가스 기구의 안전한 사용
가정에서 요리를 하거나 난방을 하기 위해서 요즘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료는 가스일 것입니다. 가스는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하고 쉬워 우리 생활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는 반면 자칫 부주의하게 사용하면 큰 재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가스 기구 사용시 주의할 점을 알아보고 올바른 사용방법을 익혀, 가정에서 보다 안전하게 가스 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합시다.
1)가스의 성질
프로판 가스는 가정 연료 LPG의 주성분으로 42.1℃에서 끓어 액체에서 기체가 된다. 프로판 가스는 공기보다 무게가 무거워 바닥에 가라앉는다. 프로판 가스는 기체 상태로는 부피가 너무 커서 들고 다니기가 불편하기 때문에 8.2mb의 압력을 가해 액체로 만들어 쇠로 만든 가스통에 넣은 것이다.고온으로 가열되고 산소와의 결합이 시작되면 그 발열로 인해 연쇄적으로 주위의 연료 분자가 산소와 결합한다.가스폭발을 일으키는 경우는 프로판 가스가 새어나와 방안에 가득 차서 방안 공기인 산소와 뒤섞인 상태에서이다. 그때 방 어디에서 스위치를 켜다가 불꽃같은 것이 튀면 그 불꽃으로 프로판연소가 시작한다. 그 결과 온도와 압력이 급상승하고 불꽃이 삽시간에 방 전체에 퍼진다.가스와 공기가 합해지면 폭발성 혼합물을 만든다. 그러므로 가스 벨브를 열기 전에 가스 렌지나 난로에 불을 붙일 준비가 되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2)가스 사용 관련 안전 수칙
가. 화기에서 눈을 떼지 않는다.
가스 렌지나 가스오븐을 사용할 때에는 그 곁을 떠나지 않는 것이 대원칙이다. 된장국을 끓이고 있는 냄비에 손을 댔다가 뒤집어엎기라도 하게되면 큰 화상을 입기 때문이다. 또, 가스 렌지의 테이블, 가스오븐의 전면 유리는 온도가 높음으로 손이 닿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도 중요하다.
나. 옷에 불이 붙지 않도록 주의한다.
불을 취급하는 주방에서는 옷에 불이 붙어서 화상을 입는 경우가 있다. 소매가 긴 옷을 입거나 옷을 껴입는 겨울철에 많이 일어나는 사고이다. 특히, 털이 많은 옷에 불이 붙으면 한순간에 온몸에 불이 붙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와 같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소매가 방염 처리 된 옷을 입거나 소매가 달라붙는 옷을 입는 것이 좋다.
다. 온수기에 의한 사고를 조심한다.
순간 온수기는 옥내설치형과 옥외설치형이 있다. 옥외설치형은 문제가 없으나 옥내형 온수기일 경우에 주의할 사항은 환기이다. 왜냐하면 순간 온수기는 가스 렌지 보다도 발열량이 훨씬 많아서 그만큼 산소의 소비량이 많아지므로 산소부족으로 인한 불완전 연소를 일으키기 쉽다. 불완전연소를 일으키면 일산화탄소가 발생하여 사망에 이를 수도 있으므로 충분한 주의가 요구된다
Ⅱ.PRECEDE-PROCEED모델
1. PRECEDE-PROCEED모델에 대하여
PRECEDE-PROCEED모형은 인구집단에 적용 가능한 모형으로서 1980년에 Green과 Kreuter는 보건교육 기획을 위한 PRECEDE모형을 발표하였고, 1991년에 PRECEDE모형의 행정적 사정단계를 확장 발전시켜 PRECEDE-PROCEED모형(Predisposing, Reinforcing, and Causes in Educational Diagnosis and Eval uation - Policy, Regulatory, Organizational, Constructs in Educational and Environmental Development)을 제시하였다. 1999년에는 건강행위에 생태학적 측면이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면서 기존의 교육, 조직적 사정단계를 교육, 생태학적 사정단계로 수정하여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교육적, 생태학적 접근을 통한 건강증진사업의 기획을 위한 모형으로서 건강증진사업의 계획에서부터 실시 및 평가과정까지를 포괄하는 모형이다.
이 모형의 특징은 여러 측면의 사정과정을 통해 건강과 건강행위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복합적으로 분류하여 조직화할 수 있는 접근체계를 제시해 준다. 특히 건강 및 건강행위에 사회적, 생태학적 측면(가족, 지역사회, 문화, 신체적, 사회적 환경)들이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고 있어 건강행위 변화에 대한 책임을 대상자 중심으로 본 다른 건강행위 관련 모형들과 구별된다.
교육적, 생태학적 접근으로서 보건교육의 계획부터 수행평가 과정의 연속적인 단계를 제공하는 포괄적인 건강증진 계획에 관한 모형으로서 PRECEDE는 보건교육사업의 우선순위결정 및 목적설정을 보여주는 진단단계 이며 PROCEED는 정책수립 및 보건교육사업 수행과 사업평가에서의 대상 및 그 기준을 제시하는 건강증진 계획의 개발단계이다.
2.목적
Green과 그 외 학자들이 1980년에 건강교육 요구를 진단하기 위해 만들었으며 건강교육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발달과 평가의 과정을 위한 기구이다. 1991년 PRECEDE 모형을 기본으로 건강증진의 계획과 수행 및 평가를 위한PRECEDE-PROCEED 모형을 발표했다.
3.특성
보건 교육 또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계획의 효과와 효율을 증대시키려고 의도할 경우에 계획은 “무엇을 계획할 것인가” 보다는 “왜 그런 계획을 하여야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건강교육자가 투입(교육중재, 과정)보다 결과(건강, 삶의 질)에 주의를 기울여 목표에 준하여 보건교육 과정을 시작하도록 하였다.
이런 관점 때문에 이 모형은 각 요소의 영향이 왼쪽에서 오른쪽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되나 계획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된다. 즉, 보건교육 사업은 사업 평가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자칫 보건교육사업 활동 자체가 사업의 목표가 되고 사업의 중요성이 부여되기 쉬운데 이에 반하여 성과가 더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추천자료
[보건교육E]중.고등학생의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 [그린의 PRECEDE-PROCEDE 모...
(보건교육) 그린의 PRECEDE-PROCEDE 모형을 적용 중년 여성에 대한 유방자가검진교육 및 1시...
(보건교육A형)그린의 PRECEDE-PROCEDE 모형을 적용한 중년 남성의 운동증진교육 및 1시간 분...
[2012-보건교육D]초/중/고등학생의 다이어트에 대한 보건교육 - 그린의 PRECEDE-PROCEDE 모형...
흡연청소년의 금연교육-개별적으로 개인이나 집단을 정하고,선택대상에 대한 인사회적특성을...
흡연여성의 금연교육-보건교육B형 그린의 PRECEDE-PROCEED모형적용,개별적으로 개인이나 집단...
장기흡연중년남성의 금연교육-보건교육C형개별적으로 개인이나 집단을 정하고,선택대상에 대...
장기흡연노인의 금연교육-보건교육D형 개별적으로 개인이나 집단을 정하고,선택대상에 대한 ...
2017년 보건교육B형) 초/중/고등학생의 집단따돌림에 대한 보건교육 -초/중/고등학생집단따돌...
<보건교육 A형> 노인의 안전사고예방에 대한 보건교육/그린의 PRECEDE-PROCEED 모형을 적용하...
보건교육 A형 아동의 안전사고 예방 보건교육계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