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창조신화-이집트 신화.인도신화,그리스신화,북유럽신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의 창조신화-이집트 신화.인도신화,그리스신화,북유럽신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창조신화의 정의와 구분
1. 창조신화의 정의
2. 창조신화의 구분

Ⅱ. 세계의 창조신화
1. 이집트 신화
2. 인도 신화
3. 그리스 신화
4. 북유럽 신화

Ⅲ. 창조신화의 특징
참고문헌 및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적 가치는 영웅 신화를 포함한 창세신화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넷째 세계의 많은 창조신화들이 우주창조 이전이 상태를 혼돈으로 상정하고 있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 중국의 반고의 천지개벽, 헤브라인의 창조신화(구약 창세기) 그리고 우리나라의 제주도의 천지개벽 신화에 관한 신화, 그리스 신화에서의 카오스에 이르기까지 세계의 중요한 여러 신화가 우주창조 이전의 상태를 혼돈으로 상정하고 있다. 우주창조에 선재하는 원질로서 혼돈의 상정은 인류의 근원적이고 보편적인 관념의 하나이자 만물의 시원을 탐구하는 우주론적 철학의 형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우주론적 철학의 배경에는 오랜 신화적인 전통이 깔려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시공의 상격한 거리를 뛰어넘어, 모든 신화가 우주 창조에 앞서는 원질로서 혼돈을 설정하고 있는 이유는 바로 혼돈이 무질서나 혹은 문자 그대로의 혼돈이 아니라, 우주생성의 원동력으로서의 음과 양, 하늘과 땅, 남과 여, 인간과 동물, 악과 선, 성과 속, 문화와 자연 등 양속성이 분화되지 않은 상태인 원초의 합일체로서 완전성을 말하는 것이며, 이러한 관념은 특정한 민족이나 지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인류의 근원적이고 보편적인 관념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창세신화에는 계보가 있다. 누가 누구누구를 낳았다는 식의 계보식 창세신화는 신화적 사유의 각도에서 보면 인류탄생사요 민족형성사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당수 창세사시가 으레껏 자신들의 조상으로 간주되는 창세대신이나 창세거인들에 대한 찬송과 축송으로 시작되는 것은 신화의 역사가 원시 선민들에게는 살아있는 역사, 영원히 존속되어야 할 진정한 역사로 인정되었음을 뜻하는 것이다.
여섯째 창세신화에는 원시 과학이 포함되어 있다. 신화라는 것이 환상과 상상을 통해 자연과 사회를 반영하는 의식 형태라고 한다면, 신화 속에는 (원시)과학이 포함되어 있고 (원시)과학은 신화를 통해 반영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창세신화 특히 문화기원 신화는 천문, 농경, 사육, 의약 등의 지식으로부터 건축, 혼사, 음악 등의 창작과 구체적 절차까지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원시인들이 그들의 생활과 경험을 고사의 형식으로 창세신화에 용해시켰던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여러 과학의 기원은 모두 창세대신이나 혹은 창세거인에 의탁되고, 이러한 창조신은 왕왕 무궁한 힘과 신기막측한 기술의 형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중국 신화의 복희는 중화 민족의 문화의 시조로 팔괘를 만들었고, 신농과 후직은 각기 농업 문화를, 그리고 제준의 여덟 아들은 최초로 가무를 만들었으며, 기와 영윤은 음악을 만들었다.
일곱째 창세신화는 원시종교를 전장화 시키는 동기적 작용을 수행한다. 창세신화에 등장하는 창세대신이나 창세거인은 곧바로 원시종교의 주신이거나 혹은 보호신이다. 때문에 원시종교 의식의 가장 중요한 내용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원시 종교 신앙을 가장 대표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 바로 창세신화이며, 아울러 창세신화는 이러한 원시 종교 신앙을 전장화시키는 절대적 작용을 하고, 또 사회풍속을 규범화하며 사회제도를 확립하고 문화적 전통을 계승시키는 작용을 하고 있다. 나아가 씨족 내부의 단결을 공고히 하거나 강화시키며, 강력한 힘을 가진 생산과 생활의 공동체를 조성하는 가장 중요한 동기적작용을 수행한다.
참고 문헌 및 사이트
김재용. 이종주 , 왜 우리 신화인가, 동아시아, 1999
김형준, 인도신화, 청아출판사, 1994
이경덕, 그리스 신화 명장편100, 가람, 2000
안성찬, 클라시커50 신화, 해냄, 2001
신화아카데미, 세계의 창조신화, 동방미디어, 2001
최은미, 이집트 신화, 청목사, 1993
http://blog.naver.com/namoohwa/80009100435
http://members.nate.com/dahlia27/
http://cogito44.netian.com/
http://kin.naver.com/open100/entry.php?docid=143363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6&dir_id=602&docid=506637
http://blog.naver.com/shinade/60009476093
http://cafe.naver.com/manjyu.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5
http://kin.naver.com/open100/entry.php?docid=109242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4.24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23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