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2. 태평천하에 나타난 풍자
2-1. 잘못된 현실에 대한 폭로
2-2. 기법상의 장치들
3. 풍자의 방법이 리얼리즘에 미친 영향
3-1. 단조로운 인물 형상화
3-2. 주인공을 통한 작가의 관념표출
4. 결론
※참고문헌
2. 태평천하에 나타난 풍자
2-1. 잘못된 현실에 대한 폭로
2-2. 기법상의 장치들
3. 풍자의 방법이 리얼리즘에 미친 영향
3-1. 단조로운 인물 형상화
3-2. 주인공을 통한 작가의 관념표출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리 오니라, 응? 그럼 내가 인제 내일이구 모리구, 진고개 데리구 가서 반지 사줄게!”
“일 없어요!......시방가서 사주시믄?”
“시방 이사 밤에 어떻게 갈 수 있냐? 내일 낮에 가서 사주마. 그러지 말구, 이리 오니라!”
“싫어요!” 앞의 책, p.148~150.
이는 판소리의 영향인 동시에 여러 편의 희곡과 희곡형 단편을 써낸 채만식의 극적 재능의 표현이기도 하다. 이런 예는 얼마든지 더 있다. 특히 윤주사가 마작에 미쳐서 아들이 검거됐다는 전보를 받고도 건성으로 대하는 장면은 가히 백미라 하겠다. 또한 마지막 장에서 윤직원이 종수를 훈계하며 종학 칭찬을 하고 있는데 창식이 전보를 갖고 찾아와서 종학이 체포되었다는 소식을 알림으로써 소설이 끝나는 극적인 결말 역시 작품의 재미와 구성상의 통일에 기여하고 있다.
3. 풍자의 방법이 리얼리즘에 미친 영향
채만식의 소설 「태평천하」는 전적으로 긍정해야 할 화자의 관점이 의문의 여지없이 독자에게 받아들여진다. 이것은 화자의 의도가 너무나 분명해서 독자 나름의 능동적인 탐색의 여지를 봉쇄하기 때문인데, 이는 곧 리얼리즘의 정신을 구체화시키지 못한다.
1) 단조로운 인물 형상화
「태평천하」의 인물 형상화를 살펴보면 소설의 세계 안에서 인물들 사이의 진정한 갈등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그 이유의 하나로 윤직원의 아들(창식)이나 그 손자(종수)가 윤직원과는 달리 충분히 역사화 되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그들은 화자의 풍자적인 의도에 얽매인 나머지 부잣집 자식의 일반적인 행태만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개성적인 성격을 지니지 못하고 있다. 정한숙, 「붕괴와 생성의 미학-『태평천하』와 『탁류』의 효과에 관하여」, <현대한국작가론>, 고려대 출판부, 1976, p.127.
윤직원의 자손들은 그들이 어떤 역사 사회적인 맥락에서 부정적인 성격을 지니게 되었는지 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천착이 없기 때문에 화자의 관념과 의도를 입증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는 인상을 준다. 요컨대 풍자하려는 의도가 앞서서 등장인물들에 대한 복합적인 시각을 견지하지 못한 것이다. 이런 점이 「태평천하」의 리얼리즘적 성취를 제한하고 있는 중대한 문제점을 이룬다. 물론 풍자의 방법 자체가 일반적으로 인물의 형상화에 일정한 제한을 가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풍자가 참다운 것이 되려면 무엇보다도 풍자의 대상이 지니는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성질을 제대로 그려내야 된다. 현실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비판의 정당성을 보장해 주기 때문이다. 결국 현실의 복합적인 측면을 제대로 담아내는 리얼리즘이 풍자의 진정한 기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2) 주인공을 통한 작가의 관념 표출
작가의 관념이 주요한 주인공의 관념적 입장으로부터 직접적으로 표현된다는 점을, 이 작품의 주인공이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주요한 인물임이 틀림없는 종학과 관련하여 살펴보기로 하겠다. 물론 종학이 직접적으로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인물’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그렇지만 그가 이 작품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윤직원과 대립하는 사람들을 대표하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사회주의자인 종학은 그의 할아버지 윤직원에게 있어서 아버지 윤용규가 당한 ‘화적패’나 그 자신이 돈을 뺏기게 되는 “양복청년 혹은 권총청년”과 같은 ‘부랑당패’-윤직원은 “옛날 죄선두 활빈당이라넝 게 있었너니. 그런디 그게 시체 그놈의 것 무엇이냐 사회주의허구 한 속이더니……”라고 말하고 있다-라는 점에서 부정적인 현실에 대립하는 세력의 대표자인 셈이고, 윤직원에게는 ‘태평천하’인 현실을 생각하면 종학이 ‘옛날의 드세던 부랑당패’보다 더 무섭기까지 한 것이다.
“재전에 그놈의 부랑당패를 디리
“일 없어요!......시방가서 사주시믄?”
“시방 이사 밤에 어떻게 갈 수 있냐? 내일 낮에 가서 사주마. 그러지 말구, 이리 오니라!”
“싫어요!” 앞의 책, p.148~150.
이는 판소리의 영향인 동시에 여러 편의 희곡과 희곡형 단편을 써낸 채만식의 극적 재능의 표현이기도 하다. 이런 예는 얼마든지 더 있다. 특히 윤주사가 마작에 미쳐서 아들이 검거됐다는 전보를 받고도 건성으로 대하는 장면은 가히 백미라 하겠다. 또한 마지막 장에서 윤직원이 종수를 훈계하며 종학 칭찬을 하고 있는데 창식이 전보를 갖고 찾아와서 종학이 체포되었다는 소식을 알림으로써 소설이 끝나는 극적인 결말 역시 작품의 재미와 구성상의 통일에 기여하고 있다.
3. 풍자의 방법이 리얼리즘에 미친 영향
채만식의 소설 「태평천하」는 전적으로 긍정해야 할 화자의 관점이 의문의 여지없이 독자에게 받아들여진다. 이것은 화자의 의도가 너무나 분명해서 독자 나름의 능동적인 탐색의 여지를 봉쇄하기 때문인데, 이는 곧 리얼리즘의 정신을 구체화시키지 못한다.
1) 단조로운 인물 형상화
「태평천하」의 인물 형상화를 살펴보면 소설의 세계 안에서 인물들 사이의 진정한 갈등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그 이유의 하나로 윤직원의 아들(창식)이나 그 손자(종수)가 윤직원과는 달리 충분히 역사화 되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그들은 화자의 풍자적인 의도에 얽매인 나머지 부잣집 자식의 일반적인 행태만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개성적인 성격을 지니지 못하고 있다. 정한숙, 「붕괴와 생성의 미학-『태평천하』와 『탁류』의 효과에 관하여」, <현대한국작가론>, 고려대 출판부, 1976, p.127.
윤직원의 자손들은 그들이 어떤 역사 사회적인 맥락에서 부정적인 성격을 지니게 되었는지 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천착이 없기 때문에 화자의 관념과 의도를 입증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는 인상을 준다. 요컨대 풍자하려는 의도가 앞서서 등장인물들에 대한 복합적인 시각을 견지하지 못한 것이다. 이런 점이 「태평천하」의 리얼리즘적 성취를 제한하고 있는 중대한 문제점을 이룬다. 물론 풍자의 방법 자체가 일반적으로 인물의 형상화에 일정한 제한을 가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풍자가 참다운 것이 되려면 무엇보다도 풍자의 대상이 지니는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성질을 제대로 그려내야 된다. 현실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비판의 정당성을 보장해 주기 때문이다. 결국 현실의 복합적인 측면을 제대로 담아내는 리얼리즘이 풍자의 진정한 기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2) 주인공을 통한 작가의 관념 표출
작가의 관념이 주요한 주인공의 관념적 입장으로부터 직접적으로 표현된다는 점을, 이 작품의 주인공이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주요한 인물임이 틀림없는 종학과 관련하여 살펴보기로 하겠다. 물론 종학이 직접적으로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인물’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그렇지만 그가 이 작품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윤직원과 대립하는 사람들을 대표하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사회주의자인 종학은 그의 할아버지 윤직원에게 있어서 아버지 윤용규가 당한 ‘화적패’나 그 자신이 돈을 뺏기게 되는 “양복청년 혹은 권총청년”과 같은 ‘부랑당패’-윤직원은 “옛날 죄선두 활빈당이라넝 게 있었너니. 그런디 그게 시체 그놈의 것 무엇이냐 사회주의허구 한 속이더니……”라고 말하고 있다-라는 점에서 부정적인 현실에 대립하는 세력의 대표자인 셈이고, 윤직원에게는 ‘태평천하’인 현실을 생각하면 종학이 ‘옛날의 드세던 부랑당패’보다 더 무섭기까지 한 것이다.
“재전에 그놈의 부랑당패를 디리
추천자료
[사회과학] 교육학 개론 [교육학]
공자의 예악사상을 현대적 관점에서 평가하기
상제상서에 대한 분석
[도자기]고려청자의 종류와 문양
술을 도가의 관점에서 해석
중국근대사의 전개과정과 역사적 의의
동양의 신과 데스노트 영화
상감청자의 아름다움
[고려청자][분청사기][백자][도자기 문양기법][도자기][도자기문양][문양]고려청자, 분청사기...
[일본전통가면극 노]일본전통가면극 노의 의미, 일본전통가면극 노의 분류, 일본전통가면극 ...
중국 상인 문화
자원봉사 활동의 이해 (자원봉사의 개념, 자원봉사 활동의 이론, 자원봉사 활동의 현황, 사회...
채동번의 중국역사소설 66페이지 오대사통속연의37회 38회 39회 한문 및 한글번역
채동번의 남북사통속연의 19회 20회 21회 한문 및 한글번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