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작동되는 발전기에 의해 발생되는 주파수와 전압을 갖는 전기적 배전 네트워크로 전력을 공급한다. 기존의 주파수와 전압값이 교류기의 주가로 인해 변경될 수는 없다. 이 추가된 교류기는 그 공극(aur-gap)내에 일정한 자속을 갖는다.
자속은 일반적으로 직류 회전자 전류 또는 교정자내의 교류전류에 의해 형성된다. 만일, 직류전류가 필요로 하는 자속을 발생시키기에 충분치 못하면, 고정자는 지연무효전력(lagging reactive power)을 인입(drawing)시킴으로써 그 차이를 보충하여야 한다.
역으로, 만일 직류회전자전류가 필요로 하는 자속보다 크면, 고정자는 진상 무효전력(leading reactive power)을 인입(drawing)하여 교류기는 마치 콘덴서와 같아 보인다. 교류기는 (그 회전자를 일반 무부하위치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유효전력만을 전달한다.
속도와 토크를 곱한 값이 교류기에 전달된 기계적 전력이다.
다시말해, 이 값이 교류기가 전달한 전력이다. 그렇다면, 1차 구동원이 회전자에 토크를 공급해야만 한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더 많은 토크가 공급될수록, 한계점(limit)에 이르기 전까지는 교류기에 의해 전달된 유효전력이 커진다.
1차 구동원이 교류기로의 구동토크 전달을 중지할때, 교류기는 동기전동기로서 작동한다. 사실상 교류기는 1차 구동원에 기계적 전력을 전달한다.
Water turbine에 의해 구동되는 교류기는 (Water pump처럼 Water turbine을 구동하는) 동기전동기가 된다.
[4] 사용 기구 및 재료
(1) 동기 전동기/발전기(EMS 8241).....................................1대
(2) 직류 전동기/발전기(EMS 8211).....................................1대
(3) 동기화 스위치(EMS 8621)..........................................1대
(4) 3상 전력계(EMS 8441).............................................1대
(5) 전원 공급장치(EMS 8821 3 120/208〔V〕D.C 0-120〔V〕)...........1대
(6) 교류 전압계(EMS 8426 A.C 0-250〔V〕).............................1대
(7) 교류 전류계(EMS 8425 A.C 0.5/2.5〔A〕)...........................1대
(8) 직류 전압 전류계(EMS 8412 D.C 0.5/2.5〔A〕)......................1대
(9) 회전 속도계(EMS 8920)............................................1대
(10) 리드선(EMS 8941)...............................................약간
(11) 타이밍 벨트(EMS 8942)...........................................1대
[5] 주의 사항
(1) 전류계 및 전압계를 회로에 접속할 때는 계기의 비례 눈금의 크기가 맞는가
확인한다.
(2) 전원 공급장치의 스위치를 ON을 할 때는 전압 조정 손잡이가 0점에 놓여 있
는가를 확인하고 0점에 놓여 있지 않을 때는 반드시 0점에 맞추고 스위치를
ON으로 한다.
(3) 본 실험은 고전압이 사용되므로 전원을 켠 상태에서 결선하지 말 것이며 가
각의 측정이 끝난 후 즉시 전원을 꺼야 한다.
(4) 배선은 전원부에서 시작해서 전원에 대해 직렬로 되는 부분을 먼저 배선하고
병렬로 되는 부분을 뒤에 배선한다.
(5) 배선은 되도록
자속은 일반적으로 직류 회전자 전류 또는 교정자내의 교류전류에 의해 형성된다. 만일, 직류전류가 필요로 하는 자속을 발생시키기에 충분치 못하면, 고정자는 지연무효전력(lagging reactive power)을 인입(drawing)시킴으로써 그 차이를 보충하여야 한다.
역으로, 만일 직류회전자전류가 필요로 하는 자속보다 크면, 고정자는 진상 무효전력(leading reactive power)을 인입(drawing)하여 교류기는 마치 콘덴서와 같아 보인다. 교류기는 (그 회전자를 일반 무부하위치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유효전력만을 전달한다.
속도와 토크를 곱한 값이 교류기에 전달된 기계적 전력이다.
다시말해, 이 값이 교류기가 전달한 전력이다. 그렇다면, 1차 구동원이 회전자에 토크를 공급해야만 한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더 많은 토크가 공급될수록, 한계점(limit)에 이르기 전까지는 교류기에 의해 전달된 유효전력이 커진다.
1차 구동원이 교류기로의 구동토크 전달을 중지할때, 교류기는 동기전동기로서 작동한다. 사실상 교류기는 1차 구동원에 기계적 전력을 전달한다.
Water turbine에 의해 구동되는 교류기는 (Water pump처럼 Water turbine을 구동하는) 동기전동기가 된다.
[4] 사용 기구 및 재료
(1) 동기 전동기/발전기(EMS 8241).....................................1대
(2) 직류 전동기/발전기(EMS 8211).....................................1대
(3) 동기화 스위치(EMS 8621)..........................................1대
(4) 3상 전력계(EMS 8441).............................................1대
(5) 전원 공급장치(EMS 8821 3 120/208〔V〕D.C 0-120〔V〕)...........1대
(6) 교류 전압계(EMS 8426 A.C 0-250〔V〕).............................1대
(7) 교류 전류계(EMS 8425 A.C 0.5/2.5〔A〕)...........................1대
(8) 직류 전압 전류계(EMS 8412 D.C 0.5/2.5〔A〕)......................1대
(9) 회전 속도계(EMS 8920)............................................1대
(10) 리드선(EMS 8941)...............................................약간
(11) 타이밍 벨트(EMS 8942)...........................................1대
[5] 주의 사항
(1) 전류계 및 전압계를 회로에 접속할 때는 계기의 비례 눈금의 크기가 맞는가
확인한다.
(2) 전원 공급장치의 스위치를 ON을 할 때는 전압 조정 손잡이가 0점에 놓여 있
는가를 확인하고 0점에 놓여 있지 않을 때는 반드시 0점에 맞추고 스위치를
ON으로 한다.
(3) 본 실험은 고전압이 사용되므로 전원을 켠 상태에서 결선하지 말 것이며 가
각의 측정이 끝난 후 즉시 전원을 꺼야 한다.
(4) 배선은 전원부에서 시작해서 전원에 대해 직렬로 되는 부분을 먼저 배선하고
병렬로 되는 부분을 뒤에 배선한다.
(5) 배선은 되도록
추천자료
여자정혜` 에서 여자주인공의 심리 및 사회적 위치..등등..
[일본문학A+] 아베코오보의 모래의여자『砂の女』작가분석 및 작품분석
[전기회로실험] 전압분할 및 전류분할 회로 설계 결과보고서
책 읽는 여자는 위험하다를 읽고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견해, 나의 ...
건강한 대학생 성문화 만들기 프로젝트! - 건강한 피임문화 정착을 위한 정보전달과 동기부여...
[물리] 자기력 측정 - 자기장 속에 있는 전류가 흐르는 도선에 작용하는 자기력을 측정하여 ...
[공학 물리학 및 실험 2] 2.04 (결과) 자기력 측정 (전류천칭)
전기동차-속도제어법
[전기회로 설계 및 실험] 전압, 전류계 사용법 : 전기량을 측정하기 위해, 시각적으로 표현하...
[구약신학 舊約神學] 창세기 2장 주해와 적용 ‘인간 창조와 에덴 동산’ - 최초의 안식일(2: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