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반우파 투쟁의 원인
2. 반우파 투쟁의 진행
3. 반우파 투쟁의 결과
4. 반우파 투쟁 중국 공산당은 반성하나?
결론
느낀점
본론
1. 반우파 투쟁의 원인
2. 반우파 투쟁의 진행
3. 반우파 투쟁의 결과
4. 반우파 투쟁 중국 공산당은 반성하나?
결론
느낀점
본문내용
나오기도 했다. 심지어는 공산당의 지배권을 비판하는 사람도 나오게 되었다. 민주 제당파의 지도자 중 한 사람이 교통부자 장백균 등은 공산당의 지도권 자체를 부인하고 신문의 자유 및 양당제의 아래의 정당정치적인 체제로의 변화까지도 주장하고 나섰다. 많은 수의 지식인들과 학생들이 이러한 견해에 동조했다.
공산당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강도 높은 비판이 제기되자 1957년 6월부터 반대 세력에 대한 전면적인 공격을 가하기 시작했으니 그것이 바로 반우파 투쟁 이라는 것이다. 결국 체제를 공고화 하기위해 기획된 백화제방 백가쟁명 운동 (쌍백운동)이 공산주의 체제 자체에 대한 공격으로 비화된 데 대한 강한 위기의식에서 반우파 투쟁을 실시하게 된다.
반우파 투쟁의 진행
이러한 위기를 느꼈던 마오쩌둥은 각급 조식 및 각급 교육기관에 대해 비공산 반동분자들은 물론 당원 및 공청단원 중에서도 동요분자와 사상적 반역자들을 색출하라고 지시했다.
그는 투쟁의 방법으로서 대자보를 이용할 것을 제시하였고 반동적 교수, 조교 및 학생 등 우파분자들이 일체의 독소를 표출하도록 유도한 뒤 좌파와 중간파로 하여금 이를 공격하라고 말했다.
이 지시를 계기로 중국 전역에서 반우파 투쟁이 전개되었으며 비공산당원 외에 상당수의 공산당원이 숙청되었다. 주룽지 전 중국 총리가 공산당원으로 반우파 투쟁 와중에서 숙청된 인물 중의 한 사람이다. 또한 국무원 고위관직에 있던 장백균과 자융기는 그들의 대표적인 표적이 되었고 여류시인 정령 등 많은 문예인들이 된서리를 맞았으며 중당당의 고위간부, 당원작가, 예술가 등 7천여 명이 우파로 지목되어 당에서
공산당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강도 높은 비판이 제기되자 1957년 6월부터 반대 세력에 대한 전면적인 공격을 가하기 시작했으니 그것이 바로 반우파 투쟁 이라는 것이다. 결국 체제를 공고화 하기위해 기획된 백화제방 백가쟁명 운동 (쌍백운동)이 공산주의 체제 자체에 대한 공격으로 비화된 데 대한 강한 위기의식에서 반우파 투쟁을 실시하게 된다.
반우파 투쟁의 진행
이러한 위기를 느꼈던 마오쩌둥은 각급 조식 및 각급 교육기관에 대해 비공산 반동분자들은 물론 당원 및 공청단원 중에서도 동요분자와 사상적 반역자들을 색출하라고 지시했다.
그는 투쟁의 방법으로서 대자보를 이용할 것을 제시하였고 반동적 교수, 조교 및 학생 등 우파분자들이 일체의 독소를 표출하도록 유도한 뒤 좌파와 중간파로 하여금 이를 공격하라고 말했다.
이 지시를 계기로 중국 전역에서 반우파 투쟁이 전개되었으며 비공산당원 외에 상당수의 공산당원이 숙청되었다. 주룽지 전 중국 총리가 공산당원으로 반우파 투쟁 와중에서 숙청된 인물 중의 한 사람이다. 또한 국무원 고위관직에 있던 장백균과 자융기는 그들의 대표적인 표적이 되었고 여류시인 정령 등 많은 문예인들이 된서리를 맞았으며 중당당의 고위간부, 당원작가, 예술가 등 7천여 명이 우파로 지목되어 당에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