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기업 애플의 아이팟 마케팅전략과 성공요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혁신기업 애플의 아이팟 마케팅전략과 성공요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업소개

2. SWOT분석

3. STP분석

4. 4P분석

5. 마케팅전략

6. 성공요인분석

7. 결론

본문내용

디자인 업무의 대부분을, 혹은 전부를 아웃소싱한다. 그들은 주로 자사의 제품 라인에 어울릴 제품을 공급하려고 외부 디자인 제조업체들에 의존한다. 그러나 애플은 그렇지 않다. 애플, 즉 ‘스티븐 잡스’는 제품 디자이너뿐 아니라, 산업 엔지니어, 기계 전문가, 전자 전문가, 소프트웨어 전문가 등 모든 전문가들을 한자리에 모아놓는 것이 더 전체주의적인 시각에서 제품을 개발하는 길이라 믿는다. 비판력을 갖춘 인재 집단이 기존 제품들을 개선시키고, 전적으로 새로운 제품을 공급할 기회를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2002년에 i-Pod이 독일 에센의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 디자인센터( Design Zentrum Nordrhein Westfalen )에서 ‘베스트 어브 베스트’로 뽑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기능적이고 논리적이며 인간공학적이다. 스크롤 휠을 이용하여 재생목록, 노래, 혹은 음악가별로 제목을 선택할 수 있다.”라는 이유였다.
- 디자인 발전 방향
1세대부터 출발한 i-Pod은 배터리 능력의 향상 등을 통해 세대별 제품 수중의 향상을 꾀하였으며, 전면의 투명아크릴과 후면의 크롬도금으로 제품의 고급스러움과 깔끔함을 부각시켰다. 또한 다음 세대로 넘어갔을 때 전 세대의 제품과 동조 시킬 수 있는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다음 세대에 대한 기대치를 높이기도 하였다.
애플은 최대한 심플하고 세련된 디자인을 주도함으로써 소비자들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는데 타사제품에 비해 특유의 미니멀리즘(Minimalism) 디자인을 앞세워 많은 사용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데 성공하였으며, 제품 전면의 휠, 외형 디자인을 꾸준히 업그레이드해 나갔다. 한 제품 전체에 덮인 원색의 단일 색상구조는 물론 제품의 외관 역시 커다란 스크롤 휠 외에는 딱히 이렇다 할 버튼이 없다. i-Pod은 그만큼 심플하면서도 독특한 디자인을 자랑한다. 더욱이 i-Pod은 기기뿐 아니라 제공되는 액세서리 하나하나에도 심혈을 기울여서 아무도 쳐다보지 않는 케이블에조차 세심한 디자인이 돋보인다. 또한 세련된 박스디자인, 현재 애플의 모든 제품이 갖는 디자인의 통일성도 i-Pod 디자인의 강점이다.
② 1000여개가 넘는 다양한 i-Pod 액세서리i-Pod은 타 DMP와는 다르게 액세서리가 존재한다. 심지어 i-Pod의 액세서리에 반해서i-Pod을 구입하는 소비자들도 상당수 존재하고 있다. 실제로 i-Pod의 액세서리만을 취급하는 전문 쇼핑몰까지 존재하고 있으며, 명품 브랜드 업체들도 자사의 i-Pod용 액세서리를 내놓고 있는 실정이다.경쟁의 격화와 함께 i-Pod 액세서리 시장 규모도 점점 확대되고 있다. 조사회사 NPD에 의하면 i-Pod의 액세서리 시장 규모는 작년 8억 5000만 달러를 웃돌았다고 한다. 참고적으로 이 숫자에는 온라인 매출은 포함되지 않았다.
(2) Price
애플의 저가 정책은 이제 MP3플레이어 시장이 ‘규모의 경제’가 필요한 대량생산 구조로 바뀌었음을 의미한다. 애플은 시장 확대를 위해 공격적으로 가격을 인하하면서, 경쟁자들을 멀찍이 떨어뜨리고 독주하고자 하는 저가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경쟁사들이 시장에서 애플보다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는 것은 실제로 거의 불가능하며, 이러한 저가 정책을 통해 애플은 현재와 같은 시장에서의 지배적인 위치를 계속 유지하기를 원하고 있다. 특히, MP3 플레이어 시장을 장악하고 있던 애플이 파격적인 가격에 i-Pod shuffle을 내놓았던 이유는 아이포드 하드디스크 타입이 비싸다는 인식이 있었던 상황에서 대중 친화적 모델인 i-Pod shuffle로 많은 소비자들에게 i-Pod을 사용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해 주기 위해서였다. 결국 애플이 노렸던 것은 플래시 시장 진출 그 자체보다는 i-Pod shuffle로 i-Pod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인지도가 높아진 뒤에는 경쟁력이 강한 하드형 MP3 플레이어 제품으로 국내 시장을 확대해 나가기 위해서였다고 생각해 볼 수 있겠다.
(3) Place
마케팅 활동의 효율적 관리측면에서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유통경로는 마케팅 활동의 장애 요소가 되며, 소비자들로 하여금 혼란에 빠지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유통 경로들이 오히려 기업과 브랜드의 컬러 및 메시지를 각각의 임의대로 소비자들에게 전달함으로서 브랜드 가치를 오히려 떨어뜨리고 기업에게는 고비용의 관리가 요구 됐기 때문이다.
소매점 진열대에 제품들이 쌓여 있도록 하는 것은 좋지 못한 방법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재고품들은 할인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심지어는 폐기 처분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애플은 유통 채널을 통해 상품들이 더 빨리 유통되도록 해야 했다. 애플은 그들과 소매업체 사이를 이어주는 중간상으로 고용했던 유통업체를 다섯에서 둘로 줄였다. 또한 유통경로를 Compusa라는 가전 판매점과 자신의 직접 판매로 정리하였다. 유통업체가 적으면 더 효율적으로 매출 계획을 세울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국내의 경우 MP3 구입 경로는 온라인이 60%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i-pod의 경우 홈쇼핑 채널과 온라인 판매가 거의 100%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는 생산 공장과 수리 공장이 없기 때문에 제품을 수리하기 위해서 해외에까지 반송해야 하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4) Promotion
1) 인지도 향상 전략
① 간접광고
- 주요 고객연령층의 절대적 지지를 얻는 가수와의 연계(SG WANNA BE)M/V에 i-Pod를 끼워 넣어 간접광고
- M/V이외에도 가수에게 I-Pod를 실제로 제공하여 간접광고 효과 극대화
② i-pod 체험단
- i-Pod 인지도를 상승 & 직접 사용 경험을 확대함으로써 입소문의 효과를 누리기 위해 I-Pod 체험단 이벤트를 기획
- Main Target : 20대 초반 여대생들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 지면 및 TV광고 병행, 인터넷 광고를 통한 홍보
- 100명에게 i-Pod 100일 체험기회 제공
- 체험단 행사 종료 후 구매 희망 시 50%의 가격으로 제품구매
③ 준오헤어와 제휴
Main Target이 주로 이용하는 장소에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국내 유명 헤어
  • 가격1,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05.05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36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