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O (Arteriosclerosis Obliterans) 환자의 case study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SO (Arteriosclerosis Obliterans) 환자의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관신경병증)
【용 법】1회 400mg씩 1일 2-3회 식후 경구투여
【부작용】발진, 소양증, 위장장애, 간장애, 혈압저하, 발한, 두통, 현기증, 불면 등
8.간호 과정
2006.9.11
#1.하지부종으로 인한 통증
간호진단 및 자료
ⓢ:”걸어댕기라고 하는데 다리가 아퍼서 그렇게는 잘 못했지“
ⓞ:오늘 기분이 어떠시냐고 물어보면 “다리가 많이 아파서 별루야“라고 말씀하실때가 많으시다.
목표
통증호수의 횟수가 줄어든다.
안위와 통증완화를 표현한다.
대상자는 통증이 있을 때 스스로 적절히 완화할 수 있다.
계획 및
수행
①통증의 위치, 강도, 특성을 사정하고 효과적인 통증완화방법을 알고 있는지 파악한다.
②겪고 있는 동통에 대해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안위를 증진시키는 간호를 수행한다.(이완요법)
④방해받지 않은 휴식시간을 지속하도록 환경조성을 한다.
③대상자가 편안함을 느끼도록 자세를 취해준다.
⑥통증의 원인에 대해 알려주어 통증이 이상소견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 정서적인 안정을 갖게 한다
평가
환자는 통증의 완화를 표현하였다.
2006.09.12
#2.입원으로 인한 환경적 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진단 및 자료
ⓢ:“병원이라 그런지 자다가 자꾸 깨”
“잠은 역시 집에서 자야지”
ⓞ:하품을 자주하시며, 오후에 간간히 낮잠을 주무신다.
목표
환자는 정상적인 수면양상을 확립한다.
계획 및
수행
ⓛ대상자의 수면양상에 대해 사정한다. (수면시간, 자다가 깨는 빈도, 숙면여부 등)
②취침시간 전에 vital sign이나 IV site관찰 등의 모든 간호를 제공하도록 한다.
③취침 한 시간 전에 피곤을 풀기 위한 마사지를 제공한다.
④주위의 환경을 통제하여 소음을 줄이고, 문을 조용히 닫고 변기 물을 내리기를 지연하고 밖에서 조용히 대화하는 것을 취함으로서 소음을 줄인다.
⑤금기가 아니라면 취침 30분전에 따뜻한 우유를 제공한다. (NPO D/C 후)
⑥대상자가 원하는 수면에 필요한 보조품을 제공한다. (베개, 쿠션 등)건강한 수면 양상을 확립한다.
평가
환자가 정상적인 수면양상으로 회복하였다.
2006.09.12
#3.통증으로 인한 잠재적인 운동 부족의 위험성
간호진단 및 자료
ⓢ:“운동 뭐 하라고는 하던데... 말이 쉽지 그게 뭐 다리가 아파서 되겠어?”
ⓞ:간간히 ward ambulation하시는 모습이 보이나, 대부분의 시간을 침상에 누워서 지내신다.
목표
환자는 운동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퇴원 후에도 평소 운동하는 습관을 갖게 된다.
계획 및
수행
①환자의 운동에 대한 의지의 정도를 사정한다.
②환자에게 운동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교육한다.
③환자의 운동시간을 조정하기 위해 보호자와 일상생활 활동의 재배열에 대해 의논한다.
④환자와 함께 환자의 일상생활을 검토한다.
평가
환자가 퇴원 후의 일상생활을 재배열하고 운동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를 세움으로서 잠재적으로 발생 가능한 운동 부족의 위험성을 경감하였다.
2006.9.13
#4.건강관리에 대한 노력 결핍
간호진단 및 자료
ⓢ:“나야 뭐 병걸리는게 예사인걸,..”,
ⓞ:질병치료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환자 자신의 근본적인 건강관리에 대해서는 다소 관심이 결여되어있다.
목표
환자는 건강한 삶에 대한 목표 의식을 갖고 자가 건강관리를 위해 노력한다.
계획 및
수행
①환자의 자가 건강관리에 대한 노력 정도를 사정한다.
②자가 건강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③개방적인 의사소통으로 신뢰를 형성하도록 한다.
④환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가능한 많은 대화를 시도한다.
⑤환자와 함께 환자의 일상생활을 검토한다.
평가
환자가 스스로 자신의 건강관리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퇴원 후의 건강관리에 대한 계획을 세우기도 하셨다.
2006.09.12
#5.보호자 역할 부담감의 위험성
간호진단 및 자료
ⓢ:“(보호자가 환자를 보고)저렇게 웃고 그래도 중환잔데 내가 보면은 가슴만 답답하고....”
“(환자가 ) 안사람한테 이야기해주면 뭐 아나? 그냥 내가 알아서 하는게 편하지”
ⓞ:환자보다 보호자가 환자의 병을 심각하고 부정적으로 인지하며 예민하다.
목표
보호자의 불안감의 정도가 감소한다.
환자가 심리적 지지처가 필요한 경우 보호자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계획 및
수행
①보호자가 느끼는 불안의 정도를 사정하고 그 원인을 분석한다.
②환자 및 보호자와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시도하여 신뢰를 형성한다.
(보호자와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중요시 하고 보호자의 이야기를 경청한다.)
③보호자에게 환자의 질병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교육한다.
④환자와 보호자 간에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촉진한다.
(환자는 병에 대한 스트레스나 불안을 보호자에게 잘 표현하지 않으려고 한다. 이로 인해 부부관계의 단절이 초래될 수 있다.)
평가
보호자는 환자의 병에 대해 새롭게 인지하고, 환자와의 대화를 시도하였다.
환자는 자신이 느끼는 불안에 대해 보호자에게 표현하였다.
Ⅳ. 결론
이상의 간호사례 연구를 통하여 본 학생은 흉부외과에서 전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간호의 내용을 학습하고, 그에 따른 여러 가지 간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나름대로의 간호계획을 세우고 실천하였다. 그 결과 외적으로는 흉부외과계 관련의 수술과 질병 간호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알 수 있었고, 내적으로는 지식 이외에 간호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인격과 정도에 대해 조금이나마 근원적인 접근이 가능하였다.
1주일이라는 짧은 실습기간 동안에 환자를 얼마나 이해하고 신뢰를 얻을 수 있는가하는 것에 대해 불안감을 느꼈지만, 환자 및 가족들의 기쁜 모습을 보면서 짧은 기간이나마 도움이 되는 것을 느낄 수 있어 좋은 기회가 되었다.
Ⅴ.참고문헌
성인간호학下, 신재신외, 도서출판 정담, 1996
성인간호학上-2, 김조자외, 현문사, 2000
성인 간호학 실습 지침서, 현문사 , 2005
http://cafe.naver.com/hupanze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993
http://kshp.or.kr/drugInfo/aList.asp?page=101&sColumn=&sText=
http://www.kmle.co.kr/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05.06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37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