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간세포 암종(Hepatocelluar carcinoma)환자 간호사례 연구-
Ⅰ. 일반정보
실습 병동 : 동 16(GI)
환자 이름 : 김○○ (F/63)
재원기간 : 2006년 3월 13일~
진단명 : Malignant neoplasm of liver
and Intrahepatic bile ducts
교육정도 : 초등교육
결혼 상태 : 기혼 직업 : 無 종교 : 無
연구기간 : 2006 3월 20일~ 2006년 3월 25일
연구방법 : 본 사례 연구는 문헌, 간호 기록지 및 Chart, TPR, Cardex 그리고 대상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모아진 자료를 바탕으로 간호 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진단을 모색, 계획, 수행, 평가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Ⅱ. 병력
(1)현병력
본환자는 식욕부진과 쇠약 등의 문제로 본병원의 외래를 통하여 입원하였다. 환자는 10년 전 B형간염을 진단받았으며, 그 후에도 폐암, 간경화, 등을 문제로 6회 입원경험한 경험이 있으며, 간세포암종(HCC)과 담낭암(Cholangiocarcinoma)를 중심으로 치료받고 있다.
(2)과거력
63세의 김씨는 약 10년 전 B형 간염을 진단받고 2003년 3월 간경화 (Liver corrhoid)를 진단받았다. 2004년 폐암(Lung cancer)을 진단받아 우측 폐엽절제수술(RUL Lobectomy)을 시행받았으며, 2005년 6월 HCC를 진단받고 그해 7월부터 항암치료와 절제수술로 다소 호전된 모습을 보여 통원치료를 받았으나 2006년 3월 쇠약상태가 지속되어 입원하였다.
Ⅲ. 간 질환에 대한 고찰
*** 간세포암 ***
간세포암의 초음파 특성은 직경 5cm 이상의 진행 간세포암은 대부분 에코를 동반한 혼합에코가 많은 반면 작은 간세포암에서는 저에코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운륜은 주로 저에코의 종양 주위의 띠로서 섬유성 피막을 나타내며 모자이크상은 종양 내부에 여러개의 결절들이 모여 한 개의 종양을 이루는 것을 말하며 모두 간세포암의 특징들이다.
CT상 간세포암은 조영제 주입 전보다는 조금 낮은 감쇠를 보이나 조영제를 주입하면 동맥기에 주위 간조직보다 높은 감쇠를 보이고 지연기에 낮은 감쇠를 보인다. 그러나 피막은 동맥기에서는 낮은 감쇠, 지연기에서는 높은 감쇠를 보인다. 모자이크 양상도 CT에서 관찰 할 수 있다. 간세포암은 다른 간종양에 비하여 문맥 간정맥, 하부대정맥 등 혈관침범을 잘하며 특히 미만성 간세포암일 경우 더 빈번하다. 따라서 병변의 경계부가 애매모호한 미만성 간 세포암을 혈관침범을 확인함으로써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는 경우도 많다.
※간은 신진대사와 에너지 저장소로서 기능을 하는 가장 중요한 기관이다. 간은 약 500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간기능 장애는 신체 모든 부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1. 구조와 기능
1).구조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기관으로 무게는 약 1.3~1.8kg이다. 간은 겸상인대를 중심으로 좌우 2개의 엽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우측 복강 전면의 횡격막 바로 밑에 위치한다. 해부학적으로는 늑골 아래까지 내려와 있으며 크기는 흉골 중앙선에서는 4~8cm, 우측 중앙쇄골선에서는 6~12cm이다. 정상적으로 간은 우측 다섯 번째 늑간에서부터 우측 늑연골연 아래까지 위치한다.
간은 두 종류의 혈액을 받는데, 한 번에 전신혈액공급량의 약 13%를 받는다. 간동맥은 간에 산화혈액을 공급하고 문맥(portal vein)으로는 위와 장으로부터 영양분이 풍부한 혈액이 들어온다. 간으로 들어오는 혈액량의 약 75%는 문맥으로 오고, 나머지 25%는 간동맥으로 들어온다. 문맥으로는 소화관, 비장, 췌장, 담낭으로부터 정맥혈이 들어온다. 간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교감신경은 간동맥분지와 담관을 지배하고, 부교감신경은 간의 내부와 간 외부 담도계를 지배한다. 교감 및 부교감 신경은 담도내의 혈액과 담즙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만, 간세포나 간 실질세포의 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간의 기능적 단위는 간소엽이다. 간소엽은 수 많은 간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간세포 사이에는 담세관이 있으며 이들은 담관으로 모이게 된다. 담관은 모여서 간관을 형성하고 이는 담낭관과 합하여서 총담관을 형성한다. 간세포의 각 측면에는 정맥동이 있어서 문맥 분지와 간동맥으로부터 혈액이 들어온다. 혈액이 정맥동을 거치는 동안 간세포와 혈액 사이의 물질들이 교환된다.
정맥동 안쪽에는 쿠퍼(Kupffer) 세포라 칭하는 망상내피세포계의 식균세포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 세포는 혈액내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와 이물질들을 잡아들인다. 문맥의 혈류는 위장관계로부터 오는 혈액이므로 박테리아나 이물질들이 반드시 제거되어야 한다.
정맥동을 거친 혈액은 중심정맥을 거쳐서 간정맥으로 합해져 하대정맥으로 들어간다.
2). 간조직의 생화학적 특성
생체내 여러 장기들 중 간은 어느 장기보다도 그 생화학적 기능이 다양하고 활발하다. 첫째로 간은 소화흡수된 음식물, 약물 및 기타 여러 외부물질들이 체내에 들어와 반드시 거치는 기관으로, 모든 외부에서 들어온 물질들은 이곳에서 기본적인 대사경로를 밟아 정리 축적되거나 재분배해 준다. 간은 따라서 다른 여러 장기들의 대사기능과 연관하여, 이를 총괄하여 주는 기능이 있다. 둘째 간조직은 그 고유의 기능으로 albumin 및 여러 단백질들을 생합합성하여 보급해 주고 기타 생체활성물질들의 생성 및 처리 기능이 있다. 셋째 간은 모든 외부, 내부의 독성물질들을 수용성 형태로 번화하여 체외로 배출
Ⅰ. 일반정보
실습 병동 : 동 16(GI)
환자 이름 : 김○○ (F/63)
재원기간 : 2006년 3월 13일~
진단명 : Malignant neoplasm of liver
and Intrahepatic bile ducts
교육정도 : 초등교육
결혼 상태 : 기혼 직업 : 無 종교 : 無
연구기간 : 2006 3월 20일~ 2006년 3월 25일
연구방법 : 본 사례 연구는 문헌, 간호 기록지 및 Chart, TPR, Cardex 그리고 대상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모아진 자료를 바탕으로 간호 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진단을 모색, 계획, 수행, 평가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Ⅱ. 병력
(1)현병력
본환자는 식욕부진과 쇠약 등의 문제로 본병원의 외래를 통하여 입원하였다. 환자는 10년 전 B형간염을 진단받았으며, 그 후에도 폐암, 간경화, 등을 문제로 6회 입원경험한 경험이 있으며, 간세포암종(HCC)과 담낭암(Cholangiocarcinoma)를 중심으로 치료받고 있다.
(2)과거력
63세의 김씨는 약 10년 전 B형 간염을 진단받고 2003년 3월 간경화 (Liver corrhoid)를 진단받았다. 2004년 폐암(Lung cancer)을 진단받아 우측 폐엽절제수술(RUL Lobectomy)을 시행받았으며, 2005년 6월 HCC를 진단받고 그해 7월부터 항암치료와 절제수술로 다소 호전된 모습을 보여 통원치료를 받았으나 2006년 3월 쇠약상태가 지속되어 입원하였다.
Ⅲ. 간 질환에 대한 고찰
*** 간세포암 ***
간세포암의 초음파 특성은 직경 5cm 이상의 진행 간세포암은 대부분 에코를 동반한 혼합에코가 많은 반면 작은 간세포암에서는 저에코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운륜은 주로 저에코의 종양 주위의 띠로서 섬유성 피막을 나타내며 모자이크상은 종양 내부에 여러개의 결절들이 모여 한 개의 종양을 이루는 것을 말하며 모두 간세포암의 특징들이다.
CT상 간세포암은 조영제 주입 전보다는 조금 낮은 감쇠를 보이나 조영제를 주입하면 동맥기에 주위 간조직보다 높은 감쇠를 보이고 지연기에 낮은 감쇠를 보인다. 그러나 피막은 동맥기에서는 낮은 감쇠, 지연기에서는 높은 감쇠를 보인다. 모자이크 양상도 CT에서 관찰 할 수 있다. 간세포암은 다른 간종양에 비하여 문맥 간정맥, 하부대정맥 등 혈관침범을 잘하며 특히 미만성 간세포암일 경우 더 빈번하다. 따라서 병변의 경계부가 애매모호한 미만성 간 세포암을 혈관침범을 확인함으로써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는 경우도 많다.
※간은 신진대사와 에너지 저장소로서 기능을 하는 가장 중요한 기관이다. 간은 약 500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간기능 장애는 신체 모든 부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1. 구조와 기능
1).구조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기관으로 무게는 약 1.3~1.8kg이다. 간은 겸상인대를 중심으로 좌우 2개의 엽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우측 복강 전면의 횡격막 바로 밑에 위치한다. 해부학적으로는 늑골 아래까지 내려와 있으며 크기는 흉골 중앙선에서는 4~8cm, 우측 중앙쇄골선에서는 6~12cm이다. 정상적으로 간은 우측 다섯 번째 늑간에서부터 우측 늑연골연 아래까지 위치한다.
간은 두 종류의 혈액을 받는데, 한 번에 전신혈액공급량의 약 13%를 받는다. 간동맥은 간에 산화혈액을 공급하고 문맥(portal vein)으로는 위와 장으로부터 영양분이 풍부한 혈액이 들어온다. 간으로 들어오는 혈액량의 약 75%는 문맥으로 오고, 나머지 25%는 간동맥으로 들어온다. 문맥으로는 소화관, 비장, 췌장, 담낭으로부터 정맥혈이 들어온다. 간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교감신경은 간동맥분지와 담관을 지배하고, 부교감신경은 간의 내부와 간 외부 담도계를 지배한다. 교감 및 부교감 신경은 담도내의 혈액과 담즙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만, 간세포나 간 실질세포의 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간의 기능적 단위는 간소엽이다. 간소엽은 수 많은 간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간세포 사이에는 담세관이 있으며 이들은 담관으로 모이게 된다. 담관은 모여서 간관을 형성하고 이는 담낭관과 합하여서 총담관을 형성한다. 간세포의 각 측면에는 정맥동이 있어서 문맥 분지와 간동맥으로부터 혈액이 들어온다. 혈액이 정맥동을 거치는 동안 간세포와 혈액 사이의 물질들이 교환된다.
정맥동 안쪽에는 쿠퍼(Kupffer) 세포라 칭하는 망상내피세포계의 식균세포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 세포는 혈액내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와 이물질들을 잡아들인다. 문맥의 혈류는 위장관계로부터 오는 혈액이므로 박테리아나 이물질들이 반드시 제거되어야 한다.
정맥동을 거친 혈액은 중심정맥을 거쳐서 간정맥으로 합해져 하대정맥으로 들어간다.
2). 간조직의 생화학적 특성
생체내 여러 장기들 중 간은 어느 장기보다도 그 생화학적 기능이 다양하고 활발하다. 첫째로 간은 소화흡수된 음식물, 약물 및 기타 여러 외부물질들이 체내에 들어와 반드시 거치는 기관으로, 모든 외부에서 들어온 물질들은 이곳에서 기본적인 대사경로를 밟아 정리 축적되거나 재분배해 준다. 간은 따라서 다른 여러 장기들의 대사기능과 연관하여, 이를 총괄하여 주는 기능이 있다. 둘째 간조직은 그 고유의 기능으로 albumin 및 여러 단백질들을 생합합성하여 보급해 주고 기타 생체활성물질들의 생성 및 처리 기능이 있다. 셋째 간은 모든 외부, 내부의 독성물질들을 수용성 형태로 번화하여 체외로 배출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AGE case study (급성위장염)
Pneumonia간호과정 적용 Case Study
아동간호 CASE STUDY (가와사키병)
성인간호실습 case study (colon cancer)
모성간호학 제왕절개 case study
<성인간호실습> 폐암 case study
Case Study Intussusception 아동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장중첩증
모성간호학 IIOC STUDY CASE - 자궁목 무력증 ; 자궁경부 무력증 ; 자궁경관 무력증 (Incompe...
정신간호 case study - 치매,파킨슨, 우울증 A+자료입니다.
간호,case study,성인(응급실),대상 포진 Herpes zoster
지역사회간호학 CASE STUDY
정신간호학 CASE STUDY [조현병][정신분열]
정신간호학 case study-Alcohol dependence(AD)
모성간호학 case study-자연분만(NSVD No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