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Schizophrenia정의
2. Schizophrenia원인
1)생물학적요인
2)유전적요인
3)신경화학적요인
4)신경해부학적요인
5)면역학적요인
6)정신사회적요인
3.행동특성
1)양성증상
2)음성증상
3) 임상유형별 행동 특성
4. 간호
1)분안정기환자의 간호
2)안정기 환자의 간호
3)복지 실현기 환자의 간호
Ⅲ.간호사례
1. 간호력
2. 진단적 검사
3. 투약
4. 임상심리검사 5.간호과정 적용
Ⅳ. 참고문헌
1.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Schizophrenia정의
2. Schizophrenia원인
1)생물학적요인
2)유전적요인
3)신경화학적요인
4)신경해부학적요인
5)면역학적요인
6)정신사회적요인
3.행동특성
1)양성증상
2)음성증상
3) 임상유형별 행동 특성
4. 간호
1)분안정기환자의 간호
2)안정기 환자의 간호
3)복지 실현기 환자의 간호
Ⅲ.간호사례
1. 간호력
2. 진단적 검사
3. 투약
4. 임상심리검사 5.간호과정 적용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3단계: 출현기(disinhibition)
첫 정신병양상이 나타난다. 경조증 환자의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대개 환자의 조
절할 수 있는 환각과 망상도 포함된다. 이전에 성공적인 방어기전이 붕괴한다.
4단계: 정신병적 붕괴기(psychotic disorganization)
환각과 망상은 더욱 강화되고 세가지의 명백한 시기로 나누어진다.
* 외부세계의 파괴기(destructuring of the external world): 가정 환경이나
가족원을 몰라보고, 가족원을 tkrlRNs이라고 비난하고 극도로 초초해 한다.
* 자기파괴기: 환자는 주체성을 상실하고 자기를 제삼자로 언급하기도한다.
* 완전한 분열기(total fragmentation): 정신병과 혈실을 구분하는 능력을 완전히
상실하고 철저한 조절상실이 있다. 이시기에는 입원이 필요하고 가족은 병원으로
환자를 데리고 가기 위해 구급대를 불러야 한다.
5단계: 정신병 해소기(psychotic resolution)
환자는 벼원에서 투약을 받고 증상은 있지만 조용해지고 로봇처럼 지시를 따르며
멍하게 지낸다. 미국에서는 대부분이 이 시기에 더 이상 보험적용이 안 되어 퇴원하
게 된다.
② 재발의 관리
재발의 핵심은 재발을 나타내는 행동을 파악하는 것이다. 환자와 가족들은 재발전구증상
과 재발증상을 알 수 있으며 증상을 파악하고 관리하면 재발회수와 심각성을 감소시킨
다. 다음과 같은 증상관리 기법 또는 환자나 타인에게 해롭지 않은 기법이 유용하다.
기분전환: 친구와 이야기하고 음악을 듣거나 춤을 춘다.
도움요청: 병원에 가서 병원직원들과 이야기하고 가족원의 지지를 받는다.
격 리: 누워서 쉬거나 잔다.
격 퇴: 긍정적 독백과 긍정적 사고, 소리를 지러거나 생각을 정리하거나 증상을 악
화시키는 상황을 피한다.
기분호전법: 먹고싶은 것을 먹고 목욕, 사우나하기, 이완법, 베개나 동물인형 끌어안
고 놀기 등이 있다.
③ 재발과 투약
투약중기는 재발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투약을 않았을 때 진단 후 최초 재발률은
60~70%이고, 투약시는 40%, 지지요법, 집단용법과 투약을 병용치료시는 15%로 보고되고
있다. 알코올, caffeine과 담배는 항정신병약물의 작용에 미칠 수 있다. 이일 250mg 이 상의 카페인 섭취는 대부분의 항정신병약물과 항불안제 및 lithium의 효과를 감소시키고 하루 10~20개피의 흡연은 항정신병약물의 효과를 극적으로 감소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 결과는 환자교육시에 포함시켜야 한다. 입원 전 카페인 사용과 흡연량을 사정하고 사 용중지시 영향과 투약에 대한 반응을 평가해야 한다.
④ 건강관리
개인위생/건강관리, 영양, 수면/휴식양상, 운동에 대해 교육한다.
진단 치료에 대해 교육하고 투약관리를 도와준다.
효율적인 치료계획을 파악하고, 증상인식 및 증상관리를 교육한다.
⑤ 환경관리
가족의 대응방법을 도와준다.
효율적 의사소통과 인간관계를 촉진한다.
일상생활활동 등의 생활기술을 발전시키도록 격려한다.
⑥ 태도/행동관리
문제해결술을 배워서 이용하도록 도와준다.
환자가 그의 병을 관리하도록 격려한다.
환자행동에 대해 적적한 정도의 책임을 지도록 도와준다.
⑦ 사회적 지지
가족, 친척의 지지를 받고 지역사회에 활동을 원활히 하도록 돕는다.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고 중요한 문화적 가치를 확립하며 영적 욕구 충족계획수립을
도와 준다.
증상 유발용인에 대한 대응전략을 파악한다.
3) 복지 실현기 환자의 간호
이 시기는 재발예방과 조기중재를 촉진시키기 위한 증상관리교육에 집중해야 한다.
① 건강관리
개인이 발전시키기를 바라는 기술/능력이 성취교육을 도와준다.
겅간유지에관한 교육을 한다.
인지기능수준에 맞게 교육하고 중재한다.
② 환경관리
작업재활을 도와준다.
인간관계기술의 개선을 도와준다.
지역사회 활동을 원활히 하도록 촉진한다.
③ 태도/행동관리
자신들에게 유리한 복지실현을 결정하도록 돕는다.
태도 및 행동측면의 발병요인들에 더 잘 대응하도록 돕는다.
정신병자라는 낙인에 대처하게 한다.
④ 사회적 지지
적절한 지역사회자원을 이용하도록 도와준다.
가족지지를 적절히 받도록 도와준다.
문화생활 선택을도와준다.
⑤ 가족치료
대부분의 부모나 가족들은 환자에 대해 자책과 죄책감을 가진다. 이것은 가족 내 의사소 통과 건강요인관의 의사소통을 차단한다. 동시에 환자와의 의사소통도 상실하게되고 환자 를 두려워한다. 이것은 다가올 환자치료의 복잡한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지 못함으로 사족 치료로써 도움을 준다. 아울러 증상관리나 투약이행에 관한 환자, 가족 동시교육이 꼭 이 루어 져야 한다.
Ⅲ.간호사례
1.간호력
▶이름: 김 00 ▶나이: 26세 ▶성별: 남
▶최초입원일자: 1998년 2월 11일(2번퇴원하시고 2006년 3월 12일 4번째 입원하심)
▶결혼상태: 미혼 ▶학력 : 고2중퇴 ▶직업 : 없음
▶BP: 120/80 ▶P: 76 ▶R: 20 ▶체중 : 59kg
▶주소 :김천시 부곡동
▶진단명 : paranoid schizophrenia ▶입원시 동반자 : 외할머니, 복지관 직원
▶입원동기 : 2월 2일부터 잠안오고 돌아다니고 주먹으로 벽치고 “옆동 이야기가 다들려요”등 횡설수설
▶입원방법 : 가족의뢰 입원
▶지남력: 0 ▶의식상태 : 명료 ▶의사소통 : 원만 ▶ 위생상태 : 양호
▶ 배변상태 : 양호▶alcohol : (-) ▶smoking : (-)
혈액검사
수치
정상치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WBC
5.74
N
4.5-11 K/L
심한 설사, 탈수, 급성약 증독, 폐섬유증
빈혈, 골수기능부전, 용혈성빈혈
RBC
5.15
N
4.5-5.9 M/L
급성감염, 외상, 악성종양, 순환장애
세균감염, 투약, 급성백혈병
Hematocrit
46.2
N
41.5-50.4%
울혈성 심부전, 적혈구 증가증, 탈수
빈혈, 백혈병, 용혈, 임신
Platelet
132
L
150-450 K/L
암, 외상, 만성백혈병, 심장병
감염, 폐렴, 알러지, 빈혈
2.진단적검사
생화학검사
수치
정상치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Albumin
4.3
N
3.8-5.3 g/dl
첫 정신병양상이 나타난다. 경조증 환자의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대개 환자의 조
절할 수 있는 환각과 망상도 포함된다. 이전에 성공적인 방어기전이 붕괴한다.
4단계: 정신병적 붕괴기(psychotic disorganization)
환각과 망상은 더욱 강화되고 세가지의 명백한 시기로 나누어진다.
* 외부세계의 파괴기(destructuring of the external world): 가정 환경이나
가족원을 몰라보고, 가족원을 tkrlRNs이라고 비난하고 극도로 초초해 한다.
* 자기파괴기: 환자는 주체성을 상실하고 자기를 제삼자로 언급하기도한다.
* 완전한 분열기(total fragmentation): 정신병과 혈실을 구분하는 능력을 완전히
상실하고 철저한 조절상실이 있다. 이시기에는 입원이 필요하고 가족은 병원으로
환자를 데리고 가기 위해 구급대를 불러야 한다.
5단계: 정신병 해소기(psychotic resolution)
환자는 벼원에서 투약을 받고 증상은 있지만 조용해지고 로봇처럼 지시를 따르며
멍하게 지낸다. 미국에서는 대부분이 이 시기에 더 이상 보험적용이 안 되어 퇴원하
게 된다.
② 재발의 관리
재발의 핵심은 재발을 나타내는 행동을 파악하는 것이다. 환자와 가족들은 재발전구증상
과 재발증상을 알 수 있으며 증상을 파악하고 관리하면 재발회수와 심각성을 감소시킨
다. 다음과 같은 증상관리 기법 또는 환자나 타인에게 해롭지 않은 기법이 유용하다.
기분전환: 친구와 이야기하고 음악을 듣거나 춤을 춘다.
도움요청: 병원에 가서 병원직원들과 이야기하고 가족원의 지지를 받는다.
격 리: 누워서 쉬거나 잔다.
격 퇴: 긍정적 독백과 긍정적 사고, 소리를 지러거나 생각을 정리하거나 증상을 악
화시키는 상황을 피한다.
기분호전법: 먹고싶은 것을 먹고 목욕, 사우나하기, 이완법, 베개나 동물인형 끌어안
고 놀기 등이 있다.
③ 재발과 투약
투약중기는 재발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투약을 않았을 때 진단 후 최초 재발률은
60~70%이고, 투약시는 40%, 지지요법, 집단용법과 투약을 병용치료시는 15%로 보고되고
있다. 알코올, caffeine과 담배는 항정신병약물의 작용에 미칠 수 있다. 이일 250mg 이 상의 카페인 섭취는 대부분의 항정신병약물과 항불안제 및 lithium의 효과를 감소시키고 하루 10~20개피의 흡연은 항정신병약물의 효과를 극적으로 감소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 결과는 환자교육시에 포함시켜야 한다. 입원 전 카페인 사용과 흡연량을 사정하고 사 용중지시 영향과 투약에 대한 반응을 평가해야 한다.
④ 건강관리
개인위생/건강관리, 영양, 수면/휴식양상, 운동에 대해 교육한다.
진단 치료에 대해 교육하고 투약관리를 도와준다.
효율적인 치료계획을 파악하고, 증상인식 및 증상관리를 교육한다.
⑤ 환경관리
가족의 대응방법을 도와준다.
효율적 의사소통과 인간관계를 촉진한다.
일상생활활동 등의 생활기술을 발전시키도록 격려한다.
⑥ 태도/행동관리
문제해결술을 배워서 이용하도록 도와준다.
환자가 그의 병을 관리하도록 격려한다.
환자행동에 대해 적적한 정도의 책임을 지도록 도와준다.
⑦ 사회적 지지
가족, 친척의 지지를 받고 지역사회에 활동을 원활히 하도록 돕는다.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고 중요한 문화적 가치를 확립하며 영적 욕구 충족계획수립을
도와 준다.
증상 유발용인에 대한 대응전략을 파악한다.
3) 복지 실현기 환자의 간호
이 시기는 재발예방과 조기중재를 촉진시키기 위한 증상관리교육에 집중해야 한다.
① 건강관리
개인이 발전시키기를 바라는 기술/능력이 성취교육을 도와준다.
겅간유지에관한 교육을 한다.
인지기능수준에 맞게 교육하고 중재한다.
② 환경관리
작업재활을 도와준다.
인간관계기술의 개선을 도와준다.
지역사회 활동을 원활히 하도록 촉진한다.
③ 태도/행동관리
자신들에게 유리한 복지실현을 결정하도록 돕는다.
태도 및 행동측면의 발병요인들에 더 잘 대응하도록 돕는다.
정신병자라는 낙인에 대처하게 한다.
④ 사회적 지지
적절한 지역사회자원을 이용하도록 도와준다.
가족지지를 적절히 받도록 도와준다.
문화생활 선택을도와준다.
⑤ 가족치료
대부분의 부모나 가족들은 환자에 대해 자책과 죄책감을 가진다. 이것은 가족 내 의사소 통과 건강요인관의 의사소통을 차단한다. 동시에 환자와의 의사소통도 상실하게되고 환자 를 두려워한다. 이것은 다가올 환자치료의 복잡한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지 못함으로 사족 치료로써 도움을 준다. 아울러 증상관리나 투약이행에 관한 환자, 가족 동시교육이 꼭 이 루어 져야 한다.
Ⅲ.간호사례
1.간호력
▶이름: 김 00 ▶나이: 26세 ▶성별: 남
▶최초입원일자: 1998년 2월 11일(2번퇴원하시고 2006년 3월 12일 4번째 입원하심)
▶결혼상태: 미혼 ▶학력 : 고2중퇴 ▶직업 : 없음
▶BP: 120/80 ▶P: 76 ▶R: 20 ▶체중 : 59kg
▶주소 :김천시 부곡동
▶진단명 : paranoid schizophrenia ▶입원시 동반자 : 외할머니, 복지관 직원
▶입원동기 : 2월 2일부터 잠안오고 돌아다니고 주먹으로 벽치고 “옆동 이야기가 다들려요”등 횡설수설
▶입원방법 : 가족의뢰 입원
▶지남력: 0 ▶의식상태 : 명료 ▶의사소통 : 원만 ▶ 위생상태 : 양호
▶ 배변상태 : 양호▶alcohol : (-) ▶smoking : (-)
혈액검사
수치
정상치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WBC
5.74
N
4.5-11 K/L
심한 설사, 탈수, 급성약 증독, 폐섬유증
빈혈, 골수기능부전, 용혈성빈혈
RBC
5.15
N
4.5-5.9 M/L
급성감염, 외상, 악성종양, 순환장애
세균감염, 투약, 급성백혈병
Hematocrit
46.2
N
41.5-50.4%
울혈성 심부전, 적혈구 증가증, 탈수
빈혈, 백혈병, 용혈, 임신
Platelet
132
L
150-450 K/L
암, 외상, 만성백혈병, 심장병
감염, 폐렴, 알러지, 빈혈
2.진단적검사
생화학검사
수치
정상치
임상적 의의
증가
감소
Albumin
4.3
N
3.8-5.3 g/d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