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조심
木枕(목침) 나무 목 : 나무 베개
枕肱(침굉) 팔뚝 굉 : 팔뚝을 베다, 너무 가난하다.
安(안) 편안할
安否(안부) 아닐 부 : 편안하다 그렇지 않은가 유의어 : 安危(안위)
安危(안위) 위태할 위 : 편안한가 위태로운가 유의어 : 安否(안부)
安息(안식) 쉴 식
便安(편안) 便紙(편지) 종이 지 小便(소변) 便(편) 소식 편, 오줌 변
眠(면) 잠잘, 잠
熟眠(숙면) 깊을 숙 : 깊이 잠자다
睡眠(수면) 잠 수 : 잠자다
冬眠(동면) 겨울 동 : 겨울 잠
老馬之智(노마지지)
늙을 로 말 마 어조사 지 지혜 지
뜻풀이 : 아무리 하찮은 것일지라도 나름대로의 장점과 특징을 지니고 있음
사람은 겸손하게 진리를 배워라
동의어 : 老馬之敎(노마지교) 가르칠 교
老馬(노마) : 늙은 말 之智(지지) : 지혜
한자학습
老(노) 늙을, 어른, 익숙할
老人(노인) 사람 인 : 늙은 사람
元老(원로) 으뜸 원 : 우두머리 元旦(원단) 아침 단 : 1월 1일
老鍊(노련) 익숙할 련 : 익숙하다
馬(마) 말
騎馬(기마) 탈 기 : 타는 말
良馬(양마) 좋을 양 : 좋은 말 동의어 : 駿馬(준마) 준마 준
반의어 : 鈍馬(둔마) 무딜 둔 : 나쁜 말
良藥苦口(양약고구) : 좋은 약은 입에 쓰다
良藥(양약) = 新藥(신약) ≠ 韓藥(한약) 나라이름 한
乘馬(승마) 탈 승
之(지) ~ 의
漁夫之利(어부지리) 고기잡을 어 사내 부 이익 리
동의어 : 犬■之爭(견토지쟁) : 개와 토끼의 싸움
蚌鷸之爭(방휼지쟁) 방합 방 도요새 휼
智(지) 지혜
智德(지덕) 덕 덕 : 지혜와 덕
叡智(예지) 밝을 예 : 밝은 지혜
智慧(지혜) 슬기 혜 : 슬기
羊頭狗肉(양두구육)
양 양 머리 두 개 구 고기 육
뜻풀이 : 겉으로는 훌륭한 체 하고 실상은 음흉한 짓을 함
겉과 속이 다른 사람
한자학습
羊(양) 양
山羊(산양) 메 산 : 산에 사는 양
羊皮(양피) 가죽 피 : 양가죽
牧羊(목양) 기를 목 : 양을 기르다
頭(두) 머리, 우두머리
頭髮(두발) 터럭 발 : 머리카락
頭角(두각) 뿔 각 : 여러 중 뛰어남
頭目(두목) 우두머리 목 : 우두머리
狗(구) 개 : 식용으로 쓰임
犬(견) 개 : 식용으로 쓰이지 않음, 목적용으로 쓰임 ex) 수색견
狗馬(구마) 말 마 : 개와 말
白狗(백구) 흴 백 : 흰 개
黃狗(황구) 누를 황 : 누렁이
肉(육) 고기, 몸
牛肉(우육) 소 우 : 소고기
肉體(육체) 몸 체 : 몸
肉感(육감) 느낄 감 : 1. 육체상의 감각 (오감)
2. 육체에서 느끼는 성적인 느낌 : 육감적이다
<오감> 眼(안) 눈 耳(이) 귀 鼻(비) 코 舌(설) 혀 身(신) 몸
井中之蛙(정중지와)
우물 정 안 중 어조사 지 개구리 와
뜻풀이 : 식견이 좁음
동의어 : 井底之蛙(정저지와) 井中觀天(정중관천)
한자학습
井(정) 우물
井水(정수) 물 수 : 우물 물
cf) 淨水(정수) : 깨끗한 물 精粹(정수) : 깨끗하고 순수하다
市井(시정) 저자 시 :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 시장, 저잣거리
鹽井(염정) 소금 염 : 소금을 만들기 위해 바닷물을 가둬두는 웅덩이
(염) 소금 염 : 鹽(염)의 약자
中(중) 안, 가운데
心中(심중) 마음 심 : 마음 속
中斷(중단) 끊을 단 : 중단에서 그만 두다.
반의어 : 持續(지속) 가질이지 이을 속 , 繼續(계속) 이을 계
中立(중립) 설 립 : 가운데 서다
之(지) ~의
人君之寶(인군지보) 사람 인 임금 군 보배 보 : 임금의 보배
蛙(와) 개구리
金蛙(금와) 금 금 : 금 개구리
蛙鳴(와명) 울 명 : 개구리 소리
靑蛙(청와) 푸를 청 : 청 개구리, 참 개구리, 토종 개구리
畵蛇添足(화사첨족)
그릴 화 뱀 사 더할 첨 발 족
뜻풀이 : 쓸데없는 일을 하다가 도리어 실패 함
蛇(사) 뱀 : 독성이 강한 뱀
巳(사) 뱀 : 큰 뱀 조심해야 할 한자 : 己(기) 몸 已(이) 이미, 그칠
한자학습
畵(화) 그릴, 그림
畵家(화가) 용한이, 집을 이루다, 그 분야에서 자기 자리를 확보하다 가
書畵(서화) 글씨 서 : 글씨와 그림
壁畵(벽화) 벽 벽 : 벽에 그린 그림
蛇(사) 뱀
花蛇(화사) 꽃 화 : 꽃 뱀
毒蛇(독사) 독 독 : 독이 있는 뱀
蛇尾(사미) 꼬리 미 : 뱀 꼬리
添(첨) 더할
添加(첨가) 더할 가 : 더하다 반의어 : 削除(삭제) 깍을 삭, 섬돌 제
別添(별첨) 따로 별 : 따로 덫 붙이다
添辭(첨사) 말 사 : 덫 붙이는 말, P.S.(=Post scrip) 추신
足(족) 발, 넉넉할
牛足(우족) 소 우 : 소 발
自足(자족) 스스로 자 : 스스로 만족하다
充足(충족) 채울 충 : 충분히 넉넉하게 채우다
曲學阿世(곡학아세)
굽힐 곡 학문 학 아첨할 아 인간 세
뜻풀이 : 정도에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 사람에게 아첨 함
한자학습
曲(곡) 굽힐, 굽을, 가락
曲筆(곡필) 붓 필 : 바른 데로 쓰지 않고 그릇되게 쓰다
반의어 : 直筆(직필) 곧을 직
曲線(곡선) 줄 선 반의어 : 直線(직선) 곧을 직 矗(촉) 곧을 촉
歌曲(가곡) 노래 가 : 노래, 노랫가락
學(학) 학문, 배울
學術(학술) 학문 술 : 학문
學問(학문) 물을 문 問(문)의 반의어 : 答(답) 대답할 답
조심해야 할 한자 : 合(합) 합할
學習(학습) 익힐 습 : 배우고 익히다
學敎(학교)(X) 學校(학교) (O) 敎室(교실)(O) 校室(교실)(X)
阿(아) 아첨할, 언덕
阿附(아부) 붙을 부 :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해 알랑거리다.
동의어 : 阿諂(아첨)
阿諂(아첨) 아첨할 첨 :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해 알랑거리다.
동의어 : 阿附(아부)
山阿(산아) 메 산 : 산과 언덕
世(세) 인간, 대대로, 세대
世界(세계) 지경 계 : 지구위의 모든 지역
世襲(세습) 물려받을 습 : 대대로 물려받다
世代(세대) 세대 대 : 부모 자식 손자로 이어 지는 세대 1 세대 = 30년
凍足放尿(동족방뇨)
얼 동 발 족 놓을 방 오줌 뇨
凍足(동족) : 언 발 凍(동) 얼 : 삼수변이 아닌 이수변 이다. 조심 하자!
뜻풀이 : 한 때의 도움이 될 뿐 효력이 곧 없어짐
한자학습
凍(동) 얼
解凍(해동) 풀 해 : 언 것이 풀리다 반의어 : 冷凍(냉동) 찰 냉
凍結(동결)
木枕(목침) 나무 목 : 나무 베개
枕肱(침굉) 팔뚝 굉 : 팔뚝을 베다, 너무 가난하다.
安(안) 편안할
安否(안부) 아닐 부 : 편안하다 그렇지 않은가 유의어 : 安危(안위)
安危(안위) 위태할 위 : 편안한가 위태로운가 유의어 : 安否(안부)
安息(안식) 쉴 식
便安(편안) 便紙(편지) 종이 지 小便(소변) 便(편) 소식 편, 오줌 변
眠(면) 잠잘, 잠
熟眠(숙면) 깊을 숙 : 깊이 잠자다
睡眠(수면) 잠 수 : 잠자다
冬眠(동면) 겨울 동 : 겨울 잠
老馬之智(노마지지)
늙을 로 말 마 어조사 지 지혜 지
뜻풀이 : 아무리 하찮은 것일지라도 나름대로의 장점과 특징을 지니고 있음
사람은 겸손하게 진리를 배워라
동의어 : 老馬之敎(노마지교) 가르칠 교
老馬(노마) : 늙은 말 之智(지지) : 지혜
한자학습
老(노) 늙을, 어른, 익숙할
老人(노인) 사람 인 : 늙은 사람
元老(원로) 으뜸 원 : 우두머리 元旦(원단) 아침 단 : 1월 1일
老鍊(노련) 익숙할 련 : 익숙하다
馬(마) 말
騎馬(기마) 탈 기 : 타는 말
良馬(양마) 좋을 양 : 좋은 말 동의어 : 駿馬(준마) 준마 준
반의어 : 鈍馬(둔마) 무딜 둔 : 나쁜 말
良藥苦口(양약고구) : 좋은 약은 입에 쓰다
良藥(양약) = 新藥(신약) ≠ 韓藥(한약) 나라이름 한
乘馬(승마) 탈 승
之(지) ~ 의
漁夫之利(어부지리) 고기잡을 어 사내 부 이익 리
동의어 : 犬■之爭(견토지쟁) : 개와 토끼의 싸움
蚌鷸之爭(방휼지쟁) 방합 방 도요새 휼
智(지) 지혜
智德(지덕) 덕 덕 : 지혜와 덕
叡智(예지) 밝을 예 : 밝은 지혜
智慧(지혜) 슬기 혜 : 슬기
羊頭狗肉(양두구육)
양 양 머리 두 개 구 고기 육
뜻풀이 : 겉으로는 훌륭한 체 하고 실상은 음흉한 짓을 함
겉과 속이 다른 사람
한자학습
羊(양) 양
山羊(산양) 메 산 : 산에 사는 양
羊皮(양피) 가죽 피 : 양가죽
牧羊(목양) 기를 목 : 양을 기르다
頭(두) 머리, 우두머리
頭髮(두발) 터럭 발 : 머리카락
頭角(두각) 뿔 각 : 여러 중 뛰어남
頭目(두목) 우두머리 목 : 우두머리
狗(구) 개 : 식용으로 쓰임
犬(견) 개 : 식용으로 쓰이지 않음, 목적용으로 쓰임 ex) 수색견
狗馬(구마) 말 마 : 개와 말
白狗(백구) 흴 백 : 흰 개
黃狗(황구) 누를 황 : 누렁이
肉(육) 고기, 몸
牛肉(우육) 소 우 : 소고기
肉體(육체) 몸 체 : 몸
肉感(육감) 느낄 감 : 1. 육체상의 감각 (오감)
2. 육체에서 느끼는 성적인 느낌 : 육감적이다
<오감> 眼(안) 눈 耳(이) 귀 鼻(비) 코 舌(설) 혀 身(신) 몸
井中之蛙(정중지와)
우물 정 안 중 어조사 지 개구리 와
뜻풀이 : 식견이 좁음
동의어 : 井底之蛙(정저지와) 井中觀天(정중관천)
한자학습
井(정) 우물
井水(정수) 물 수 : 우물 물
cf) 淨水(정수) : 깨끗한 물 精粹(정수) : 깨끗하고 순수하다
市井(시정) 저자 시 :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 시장, 저잣거리
鹽井(염정) 소금 염 : 소금을 만들기 위해 바닷물을 가둬두는 웅덩이
(염) 소금 염 : 鹽(염)의 약자
中(중) 안, 가운데
心中(심중) 마음 심 : 마음 속
中斷(중단) 끊을 단 : 중단에서 그만 두다.
반의어 : 持續(지속) 가질이지 이을 속 , 繼續(계속) 이을 계
中立(중립) 설 립 : 가운데 서다
之(지) ~의
人君之寶(인군지보) 사람 인 임금 군 보배 보 : 임금의 보배
蛙(와) 개구리
金蛙(금와) 금 금 : 금 개구리
蛙鳴(와명) 울 명 : 개구리 소리
靑蛙(청와) 푸를 청 : 청 개구리, 참 개구리, 토종 개구리
畵蛇添足(화사첨족)
그릴 화 뱀 사 더할 첨 발 족
뜻풀이 : 쓸데없는 일을 하다가 도리어 실패 함
蛇(사) 뱀 : 독성이 강한 뱀
巳(사) 뱀 : 큰 뱀 조심해야 할 한자 : 己(기) 몸 已(이) 이미, 그칠
한자학습
畵(화) 그릴, 그림
畵家(화가) 용한이, 집을 이루다, 그 분야에서 자기 자리를 확보하다 가
書畵(서화) 글씨 서 : 글씨와 그림
壁畵(벽화) 벽 벽 : 벽에 그린 그림
蛇(사) 뱀
花蛇(화사) 꽃 화 : 꽃 뱀
毒蛇(독사) 독 독 : 독이 있는 뱀
蛇尾(사미) 꼬리 미 : 뱀 꼬리
添(첨) 더할
添加(첨가) 더할 가 : 더하다 반의어 : 削除(삭제) 깍을 삭, 섬돌 제
別添(별첨) 따로 별 : 따로 덫 붙이다
添辭(첨사) 말 사 : 덫 붙이는 말, P.S.(=Post scrip) 추신
足(족) 발, 넉넉할
牛足(우족) 소 우 : 소 발
自足(자족) 스스로 자 : 스스로 만족하다
充足(충족) 채울 충 : 충분히 넉넉하게 채우다
曲學阿世(곡학아세)
굽힐 곡 학문 학 아첨할 아 인간 세
뜻풀이 : 정도에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 사람에게 아첨 함
한자학습
曲(곡) 굽힐, 굽을, 가락
曲筆(곡필) 붓 필 : 바른 데로 쓰지 않고 그릇되게 쓰다
반의어 : 直筆(직필) 곧을 직
曲線(곡선) 줄 선 반의어 : 直線(직선) 곧을 직 矗(촉) 곧을 촉
歌曲(가곡) 노래 가 : 노래, 노랫가락
學(학) 학문, 배울
學術(학술) 학문 술 : 학문
學問(학문) 물을 문 問(문)의 반의어 : 答(답) 대답할 답
조심해야 할 한자 : 合(합) 합할
學習(학습) 익힐 습 : 배우고 익히다
學敎(학교)(X) 學校(학교) (O) 敎室(교실)(O) 校室(교실)(X)
阿(아) 아첨할, 언덕
阿附(아부) 붙을 부 :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해 알랑거리다.
동의어 : 阿諂(아첨)
阿諂(아첨) 아첨할 첨 :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해 알랑거리다.
동의어 : 阿附(아부)
山阿(산아) 메 산 : 산과 언덕
世(세) 인간, 대대로, 세대
世界(세계) 지경 계 : 지구위의 모든 지역
世襲(세습) 물려받을 습 : 대대로 물려받다
世代(세대) 세대 대 : 부모 자식 손자로 이어 지는 세대 1 세대 = 30년
凍足放尿(동족방뇨)
얼 동 발 족 놓을 방 오줌 뇨
凍足(동족) : 언 발 凍(동) 얼 : 삼수변이 아닌 이수변 이다. 조심 하자!
뜻풀이 : 한 때의 도움이 될 뿐 효력이 곧 없어짐
한자학습
凍(동) 얼
解凍(해동) 풀 해 : 언 것이 풀리다 반의어 : 冷凍(냉동) 찰 냉
凍結(동결)
추천자료
삼국시대의 교육 백제 화랑도 고구려 독서 삼품과
지식사회란 무엇인가
창세기 감상문
삼국시대의 교육 고구려 교육제도 신라의 교육제도 백제의 교육제도 삼국시대의 교육 사상가
[아리랑][아리랑 변천사][아리랑 어원][정선아리랑][진도아리랑][밀양아리랑]아리랑의 변천사...
<독후감> 일기일회(一期一會) - 진정한 삶으로 나아가는 길
사회변화와 아동복지의 발달
기관방문보고서
[불교사상, 공사상, 보시사상, 복전사상, 보살사상, 보은사상, 장자사상]불교사상과 공사상, ...
[향가, 문학, 향가 개념, 향가 특징, 향가 범주, 향가 형성, 향가 발생, 향가 용어, 향가 해...
평가 대상 어휘의 선정
꼭두각시놀음, 북청사자놀음
(문화산업과 문화기획 공통) 문화예술에 대한 다양한 지원제도에 대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