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하][대운하][경인운하][한강운하][낙동강운하][수에즈운하][수나라의 대운하][환경파괴][예산낭비]운하(대운하, 경인운하, 한강과 낙동강운하, 수에즈운하, 수나라의 대운하)에 관한 고찰(4대강사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운하][대운하][경인운하][한강운하][낙동강운하][수에즈운하][수나라의 대운하][환경파괴][예산낭비]운하(대운하, 경인운하, 한강과 낙동강운하, 수에즈운하, 수나라의 대운하)에 관한 고찰(4대강사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경인운하의 건설 배경

Ⅱ. 경인운하의 건설효과
1. 굴포천 유역의 근원적 치수 대책
2. 대중국 교역 활성화와 남북교역 촉진
3. 인천항 기능분담
4. 경인지역 내륙교툥난 완화
5. 물류비용 절감
6. 한강주운 건설 촉진

Ⅲ. 한강과 낙동강 운하건설의 가능성

Ⅳ. 한강과 낙동강 운하건설에 따른 경제적 기대효과
1. 운하건설 과정에서 직접적인 효과
2.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 활용
3. 연관효과

Ⅴ. 수에즈운하

Ⅵ. 수나라의 대운하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제(文帝)이다. 문제는 장안에 도읍을 정하고 대흥성(大興城:규모는 지금의 북경성의 크기이고 양제가 낙양에 東京을 건립한 후 西京이라 함)을 건축하여 한나라의 번영을 다시금 되찾으려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제는 법과 제도를 정비하는 한편 개혁을 단행하였다. 경제에도 힘을 기울여 도량형을 통일하고 농업과 수공업을 발전시켰다. 또한 소비도시인 장안에 관동(關東)지방의 물자의 유입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동(東)과 서(西)를 잇는 운하를 건설하였다. 이와 같이 외세 확장보다는 내치(內治)에 힘을 쓰던 문제는 604년에 그의 아들인 양광에게 장안에서 살해를 당하고 만다. 선왕의 대를 이어 왕위에 오른 양제(煬帝)는 국내에서는 동경의 건설과 대운하건설 그리고 대외적으로는 북방의 돌궐과 고 구려의 정벌을 계획하고 있었다.
남북조시대 이후 강남의 경제비중은 날로 커져갔다. 양제는 경제적으로 발달한 강남지역을 통치하면서 강북에 위치한 장안과 낙양으로의 물자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필요성을 갖고 남(南)과 북(北)을 연결하는 대운하를 건설하게 된다. 중국의 지형은 서고동저(西高東低)로 중국의 대부분의 강들은 서쪽의 청장고원(靑藏高原:지금의 리벳과 청해성(靑海省))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흐른다. 이강들은 저지대인 동쪽으로 흐르면서 백하(白河), 황하(黃河), 회수(淮水), 양자강(陽子江), 전당강(錢塘江) 등 5대강을 이룬다. 이 강들의 지류들은 서로 얽혀 있어 그 지류를 연결하기만 하면 대도시를 연결하는 운하가 건설되는 것이다.
수도인 장안과 낙양으로 양자강유역의 쌀과 소비재를 운송하는 과제의 해결이 당시의 수나라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중대한 과업이었다. 이러한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제 때 시작한 대운하 건설은 605년부터 610년까지 4차의 공기(工期)로 나누어져 양제 때에 완성되었다. 이 운하는 북으로는 낙양과 북경, 남으로는 항주(抗州)까지 이르는 2천여 킬로미터의 장대한 물길이다.
최초의 운하는 광동거(廣東渠)였다. 이 운하의 목적은 관동(關東)지방의 농산물을 장안으로 수송하기 위한 것이었고, 610년에 완성된 강남하(江南河)를 마지막으로 5개의 운하(광동거, 한거, 영제거(永濟渠), 통제거(通濟渠), 강남하)를 완성하였다.
이 운하들의 소통은 동서남북으로의 왕조의 통치역을 미치게 하는 한편, 사람과 문물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면서 운하의 연변에 인접한 도시들의 발전은 물론 그 지역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운하의 개통은 지리적인 영향으로 분리되었던 중국을 통일하는 대동맥의 구실을 하게 되었다. 문제 때에는 고구려의 완강한 저항으로 동쪽으로의 진출이 어려워지자 국내통치에 치중하면서 돌궐을 이간정책으로 서돌궐과 동돌궐로 분리시킨 후 동돌궐을 복속시켰다.
이와는 반대로 야망에 찬 양제는 대운하의 완공으로 경제가 발전되고 보급로가 정비되자 고구려를 원정하게 된다. 3차에 걸쳐 치룬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고구려의 완전한 대비와 준비된 전략에 의해 완전히 대패하고 심각한 국내적인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었다.
대운하의 건설, 동경의 건설, 돌궐과 고구려의 정벌로 국가의 재정은 소진되고, 국내경제의 악화와 민심의 소요는 도처에서의 크고 작은 반란을 일어나게 하였다. 문제와 양제를 비교하면 문제는 분열된 중국을 통일하였고, 양제는 대운하의 개통으로 강남과 강북의 사회적 교류로 남북분열을 통합하였다. 진시황제 때 쌓은 만리장성은 중국과 북방민족을 구분지은 중국의 상징물인 반면에 대운하는 중국을 내적으로 통일하기 위한 활로를 닦은 중요한 역사(役事)이었다..
참고문헌
◇ 국토연구원(1998), 지역간 용수수급 불균형 해소방안 조사연구
◇ 김종욱(1993), 지형학에서의 시간의 역할과 기능, 지리교육논집
◇ 이병담외(2007), 대한민국대운하프로젝트, 모아북스
◇ 이민부(2007), 운하의 지리학, 한국지리학회 발표논문
◇ 우주호(2006), 한반도대운하의 구상과 비판적 검토: 경부운하를 중심으로, 국토&환경연구소
◇ 주명건외(1996), 물류혁명과 국토개조 전략, 세종연구원
◇ 주명건외(1997), 경부·경안운하와 물류혁명, 세종연구원
◇ 추부길(2007), 왜 한반도 대운하인가, 말과 창조사
◇ 최영준(1987), 남한강 수운 연구, 지리학(대한지리학회)
◇ 한반도대운하연구회(2007), 한반도 대운하는 부강한 나라를 만드는 물길이다(대한민국 국운융성의 길, 한강과 낙동강 물길잇기), 경덕출판사
◇ 홍성태(2008), 이명박 운하와 문화 대파괴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5.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60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