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외식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일식
일본 요리의 특색
식생활과 문화
음식과 문화
<본론>
Ⅰ. 전통의 계승과 발전
Ⅱ. 외래음식의 수용과 발전
<결론>
지리적 여건에 따른 특징
기교상의 특징
조리상의 특징
일본 식생활의 특징
식기의 특징
외식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일식
일본 요리의 특색
식생활과 문화
음식과 문화
<본론>
Ⅰ. 전통의 계승과 발전
Ⅱ. 외래음식의 수용과 발전
<결론>
지리적 여건에 따른 특징
기교상의 특징
조리상의 특징
일본 식생활의 특징
식기의 특징
본문내용
사기사건 으로 일본 열도를 떠들썩 하게 하였던 와카야 마 카레사 건(마을 축제에 카레를 만드는데 그곳에 독극물은 넣은 사건 )만 보더라도 일본에서 카레가 얼마나 대중적인지 쉽게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거리에서도 수많은 카레 전문점을 쉽게 볼 수 있다. 많이 먹고 즐겨 먹으면 발달하는 법인 것이다.
재미있는 점은 카레라이스가 온 국민적인 요리라서 그런지 카레가 외국에서 온 음식이라는 인식이 별로 없고 , 원래부터 일본 음식으로 알고 있는 일본 사람도 상당히 많다는 것이다 카레가 인도에서 온 식품임은 분명하나 , 정작 인도 에서는 카레를 일종 의 향신료 처럼 사용할 뿐 , 우리나 일본 사람들이 즐기는 카레라이 스로는 먹지 않는다 .
일본의 특징 가운데 남이 만들어놓 은 것을 잘 베낀다는 점이 있다 . 그런데 여기서 일본의 대단한 점은 모방을 하되 그대로가 아니라 일본식으 로 더욱 뛰어난 것을 만들어 낸다는 점이다. 그중의 하나가 바로 우리나라에서도 즐겨먹는 ‘카레’다.
결론
지리적 여건에 따른 특징
ㆍ4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나라이므로 생선요리, 그중에서도 생선회 요리가 발달 하였습니다.
ㆍ4계절의 구별이 뚜렷하여 계절의 감각과 자연의 취흥을 잘 표현하고
맛, 향기, 색 등의 조화와 변화에 섬세한 감각을 살립니다.
ㆍ습도가 많은 나라여서 음식의 맛은 담백하고 개운합니다.
기교상의 특징
ㆍ일본요리는 우리나라음식과 달리 구수하고 푸짐한 맛은 없으나 깨끗하고 담백하며,
요리를 담는 솜씨는 앙증맞을 정도로 기교적 입니다.
ㆍ음식을 담을 때는 1인분씩 담는 것이 원칙 입니다.
ㆍ채소를 써는 방법에 있어서도 백발 썰기, 솔잎 썰기 등 그 종류가 30여종이나 됩니다.
조리상의 특징
ㆍ재료 하나하나의 특미와 색깔을 살려 조리합니다.
일본요리에서는 익히기보다 썰기를 요리의 기본으로 삼고 있을 정도입니다.
ㆍ조리법에 있어서도 모양에 중점을 둡니다.
작은 생선을 구울때는 쇠꼬챙이에 끼워 머리와 꼬리가 올라가도록 모양을 다듬습니다.
ㆍ주재료의 계절적인 맛과 색의 손실이 없게 담백하게 조미합니다.
맛의 조미와 얕은 감칠맛을 내기 위해 탱자, 유자 등을 많이 사용하며 정종, 미림 등을 이용하여 향기와 단맛의 조화가 되도록 합니다.
ㆍ요리에 따라 그릇의 모양, 색채, 무늬가 모두 다르며 다채롭습니다.
ㆍ밥그릇, 국그릇은 칠기이고, 식기류는 모두 도자기류이며, 조림그릇은 우묵하게
생긴 모양의그릇,구이용은 접시류, 초나물은 작은 보시기 모양, 초밥 등은 대형
접시에 담습니다.
일본 식생활의 특징
재료와 조리법에 계절감을 중요시하며, 식기의 색, 재질, 형태에 따라 음식물과의 조화를
염두에 두고 보기 좋게 담는 것에도 많은 신경을 쓴다. 일본인들은 국물보다 건더기를
중시하는 편이다. 일본인들은 밥에다 국을 부어 먹는 것을 보고 \'고양이 밥\'이라 하여 아주 싫어한다. 또한, 일본에서는 음식물을 비비거나 쌈으로 싸서 먹는 습관이 거의 없다.
고기를 먹을 때는 양념이 된 소스에 찍어 먹으며, 생선회도 \'와사비쇼유\'라는 일본 겨자를 넣은 간장에 찍어서 먹는다. 이와 같이, 일본인들은 음식 본래의 맛을 살려 먹는데 중점을 두는 단일 미각의 음식 문화에 길들여져 있다. 식사할 때는 밥그릇이나 국그릇을 손에 들고 젓가락으로 식사한다.
기교상의 특징
일본요리는 구수하거나 푸짐한 맛은 없으나 깨끗하고 담백하며, 요리를 담는 솜씨는 앙증맞을 정도로 기교적이다. 일본요리는 1인분씩 담는 것이 원칙이어서 남기는 예가 없을 만큼 양을 적게 담는 것이 또한 특징이다. 채소 썰기에 있어서도 백발 썰기, 솔잎 썰기, 국화잎 썰기, 부챗살 썰기, 꽃 모양 썰기, 화살 모양 썰기 등 그 종류가 30여종이나 되어 예술적인 감각이 어느 나라도 따를 수 없을 정도이다. 그러면서도 일본요리는 너무도 까다로와 가정요리까지도 의식요리의 상징적인 절차와 담음새가 모든 것의 기본이 되어있다.
조리상의 특징
1)여러 가지를 혼합해서 요리하는 것이 거의 없다.
2)재료 하나하나의 특미와 색채를 살려 조리 한다. 익히기보다도 썰기를 요리의 기본으로
삼고 있는 것만 보아도 재료의 특미와 색채를 얼마나 중요시하는가를 알 수 있다.
3)조리법에 있어서도 생선구이 등 모양에 중점을 두고 있다. 작은 생선은 쇠꼬챙이에
끼어서 굽는데 머리와 꼬리가 올라가도록 모양을 다듬는다.
4)조리법은 주재료의 계절적인 맛과 색채의 손실이 없게 담백하게 조미한다. 맛의 조미와
얕은 감칠맛을 내기 위하여 탱자, 유자 등을 많이 쓰고 있으며, 또 정종, 미림 등이
가미되어 향기와 단맛의 조화가 특수하다.
5)모양, 색채, 맛의 조화가 으뜸가며, 얕은맛의 조미법이므로 색채 살리기가 좋다.
식기의 특징
일본요리의 식기류는 요리에 따라 그릇의 형, 색채, 무늬가 모두 다르며 다채롭다.
특히 은기 등은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우리 나라의 반상이나, 서양요리의 정찬에 쓰이는
식기는 무늬가 같은 것이 예의이다.)
상은 네모지고 짧으며 보통 사각형인데, 검은 칠기, 붉은 칠기에 금박의 무늬가 놓여 있다. 옛날에는 당초 무늬가 존중되었다. 밥그릇, 국그릇은 칠기이고, 식기류는 모두 도자기류이며, 조림그릇은 우묵하게 생긴 모양의 그릇이고, 구이용은 접시류 이고, 초나물은 작은 보시기 모양, 초밥 등은 대형 접시이다. 젓가락은 칠기나 뿔로 만든 것을 사용하고 숟가락은 전혀 쓰지 않는다. 술잔도 도자기, 찻그릇은 무쇠솥(물 끊이는 그릇), 차종중에 엽차는 뚜껑이 끼어 있는 종지, 가루차는 큰 보시기 같은 자기로 되어 있고, 차 뜨는 국자류는 대나무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여러 종류의 식기류를 사용하는 복잡성도 있으나, 한 상에 같은 기명을 절대로쓰지 않는 것도 또한 특징이다.
합리주의적 경향
외래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되 일본 전통의 색깔을 잃지 않고 조화를 이루는 일본인의 특성
글로벌적인 수용력
또한 일본인의 합리주의적 문화 수용력과 더불어 범세계적인 문화 포용력까지 갖추고 있음.
장인정신과 현대적 감각
음식문화에서도 전통을 계승하는 점과 이를 현대적으로 발전시키다는 점에서 일본의 장인정신과 현대적 감각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재미있는 점은 카레라이스가 온 국민적인 요리라서 그런지 카레가 외국에서 온 음식이라는 인식이 별로 없고 , 원래부터 일본 음식으로 알고 있는 일본 사람도 상당히 많다는 것이다 카레가 인도에서 온 식품임은 분명하나 , 정작 인도 에서는 카레를 일종 의 향신료 처럼 사용할 뿐 , 우리나 일본 사람들이 즐기는 카레라이 스로는 먹지 않는다 .
일본의 특징 가운데 남이 만들어놓 은 것을 잘 베낀다는 점이 있다 . 그런데 여기서 일본의 대단한 점은 모방을 하되 그대로가 아니라 일본식으 로 더욱 뛰어난 것을 만들어 낸다는 점이다. 그중의 하나가 바로 우리나라에서도 즐겨먹는 ‘카레’다.
결론
지리적 여건에 따른 특징
ㆍ4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나라이므로 생선요리, 그중에서도 생선회 요리가 발달 하였습니다.
ㆍ4계절의 구별이 뚜렷하여 계절의 감각과 자연의 취흥을 잘 표현하고
맛, 향기, 색 등의 조화와 변화에 섬세한 감각을 살립니다.
ㆍ습도가 많은 나라여서 음식의 맛은 담백하고 개운합니다.
기교상의 특징
ㆍ일본요리는 우리나라음식과 달리 구수하고 푸짐한 맛은 없으나 깨끗하고 담백하며,
요리를 담는 솜씨는 앙증맞을 정도로 기교적 입니다.
ㆍ음식을 담을 때는 1인분씩 담는 것이 원칙 입니다.
ㆍ채소를 써는 방법에 있어서도 백발 썰기, 솔잎 썰기 등 그 종류가 30여종이나 됩니다.
조리상의 특징
ㆍ재료 하나하나의 특미와 색깔을 살려 조리합니다.
일본요리에서는 익히기보다 썰기를 요리의 기본으로 삼고 있을 정도입니다.
ㆍ조리법에 있어서도 모양에 중점을 둡니다.
작은 생선을 구울때는 쇠꼬챙이에 끼워 머리와 꼬리가 올라가도록 모양을 다듬습니다.
ㆍ주재료의 계절적인 맛과 색의 손실이 없게 담백하게 조미합니다.
맛의 조미와 얕은 감칠맛을 내기 위해 탱자, 유자 등을 많이 사용하며 정종, 미림 등을 이용하여 향기와 단맛의 조화가 되도록 합니다.
ㆍ요리에 따라 그릇의 모양, 색채, 무늬가 모두 다르며 다채롭습니다.
ㆍ밥그릇, 국그릇은 칠기이고, 식기류는 모두 도자기류이며, 조림그릇은 우묵하게
생긴 모양의그릇,구이용은 접시류, 초나물은 작은 보시기 모양, 초밥 등은 대형
접시에 담습니다.
일본 식생활의 특징
재료와 조리법에 계절감을 중요시하며, 식기의 색, 재질, 형태에 따라 음식물과의 조화를
염두에 두고 보기 좋게 담는 것에도 많은 신경을 쓴다. 일본인들은 국물보다 건더기를
중시하는 편이다. 일본인들은 밥에다 국을 부어 먹는 것을 보고 \'고양이 밥\'이라 하여 아주 싫어한다. 또한, 일본에서는 음식물을 비비거나 쌈으로 싸서 먹는 습관이 거의 없다.
고기를 먹을 때는 양념이 된 소스에 찍어 먹으며, 생선회도 \'와사비쇼유\'라는 일본 겨자를 넣은 간장에 찍어서 먹는다. 이와 같이, 일본인들은 음식 본래의 맛을 살려 먹는데 중점을 두는 단일 미각의 음식 문화에 길들여져 있다. 식사할 때는 밥그릇이나 국그릇을 손에 들고 젓가락으로 식사한다.
기교상의 특징
일본요리는 구수하거나 푸짐한 맛은 없으나 깨끗하고 담백하며, 요리를 담는 솜씨는 앙증맞을 정도로 기교적이다. 일본요리는 1인분씩 담는 것이 원칙이어서 남기는 예가 없을 만큼 양을 적게 담는 것이 또한 특징이다. 채소 썰기에 있어서도 백발 썰기, 솔잎 썰기, 국화잎 썰기, 부챗살 썰기, 꽃 모양 썰기, 화살 모양 썰기 등 그 종류가 30여종이나 되어 예술적인 감각이 어느 나라도 따를 수 없을 정도이다. 그러면서도 일본요리는 너무도 까다로와 가정요리까지도 의식요리의 상징적인 절차와 담음새가 모든 것의 기본이 되어있다.
조리상의 특징
1)여러 가지를 혼합해서 요리하는 것이 거의 없다.
2)재료 하나하나의 특미와 색채를 살려 조리 한다. 익히기보다도 썰기를 요리의 기본으로
삼고 있는 것만 보아도 재료의 특미와 색채를 얼마나 중요시하는가를 알 수 있다.
3)조리법에 있어서도 생선구이 등 모양에 중점을 두고 있다. 작은 생선은 쇠꼬챙이에
끼어서 굽는데 머리와 꼬리가 올라가도록 모양을 다듬는다.
4)조리법은 주재료의 계절적인 맛과 색채의 손실이 없게 담백하게 조미한다. 맛의 조미와
얕은 감칠맛을 내기 위하여 탱자, 유자 등을 많이 쓰고 있으며, 또 정종, 미림 등이
가미되어 향기와 단맛의 조화가 특수하다.
5)모양, 색채, 맛의 조화가 으뜸가며, 얕은맛의 조미법이므로 색채 살리기가 좋다.
식기의 특징
일본요리의 식기류는 요리에 따라 그릇의 형, 색채, 무늬가 모두 다르며 다채롭다.
특히 은기 등은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우리 나라의 반상이나, 서양요리의 정찬에 쓰이는
식기는 무늬가 같은 것이 예의이다.)
상은 네모지고 짧으며 보통 사각형인데, 검은 칠기, 붉은 칠기에 금박의 무늬가 놓여 있다. 옛날에는 당초 무늬가 존중되었다. 밥그릇, 국그릇은 칠기이고, 식기류는 모두 도자기류이며, 조림그릇은 우묵하게 생긴 모양의 그릇이고, 구이용은 접시류 이고, 초나물은 작은 보시기 모양, 초밥 등은 대형 접시이다. 젓가락은 칠기나 뿔로 만든 것을 사용하고 숟가락은 전혀 쓰지 않는다. 술잔도 도자기, 찻그릇은 무쇠솥(물 끊이는 그릇), 차종중에 엽차는 뚜껑이 끼어 있는 종지, 가루차는 큰 보시기 같은 자기로 되어 있고, 차 뜨는 국자류는 대나무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여러 종류의 식기류를 사용하는 복잡성도 있으나, 한 상에 같은 기명을 절대로쓰지 않는 것도 또한 특징이다.
합리주의적 경향
외래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되 일본 전통의 색깔을 잃지 않고 조화를 이루는 일본인의 특성
글로벌적인 수용력
또한 일본인의 합리주의적 문화 수용력과 더불어 범세계적인 문화 포용력까지 갖추고 있음.
장인정신과 현대적 감각
음식문화에서도 전통을 계승하는 점과 이를 현대적으로 발전시키다는 점에서 일본의 장인정신과 현대적 감각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일본, 태국, 이탈리아의 식생활 문화
인간과 식품-사회변천에 관한 식생활 변화와 한국인의 음식 문화에 관한 분석
[인문과학] 일본 음식 문화
일본의 음식&다도 문화
[일본문화의이해]일본의 음식과 문화
일본의 음식 문화
[터키][터키문화][터키의 문화][터키 식생활][터키 고대도시][터키 대표음식][케밥][터키 민...
한국과 일본의 음식 문화 예절
일본의 음식 문화 - 특징, 종류, 대표 음식
중국, 일본의 음식 문화
일본의 식생활 문화
일본 음식 문화 [사회과학]
일본 음식 문화
[일본문화 연구] 일본문화 (일본의 음식,의복,주거문화,집단주의문화,전통놀이문화,게이샤,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