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N 접합 다이오드의 정특성과 스위칭 특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N 접합 다이오드의 정특성과 스위칭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비례한다.
이와 같이 다이오드의 저항은 상수가 아니고 전압 또는 전류의 함수가 되는데, 이러한 특성을 비선형성이라고 한다. 물론, 보통의 저항에서는 선형적인 전류-전압 특성 때문에 정저항이나 동저항 값이 같으므로 그 둘을 따로 정의할 필요가 없다. <그림 8>
3. 사용 기기와 부품
오실로스코프
파형 발생기 1개
Digital Multi Meter
BNC Prove 3개
Resistance : 100Ω 1개
다이오드 : 1N4148 1개
Bread Board
4. 실험 내용과 방법
(1) 다이오드 순방향, 역방향 특성 실험 회로
Foreard
Reverse
V(V)
I(mA)
R
V(V)
I(mA)
R
0.1
0

0
0

0.2
0

-5
0

0.3
0

-10
0

0.4
0.01
0.04
-15
0

0.5
0.06
0.0083
-20
0

0.6
0.35
0.0017
-25
0

0.7
3.23
0.000216
-30
0

0.8
12.31
0.0000649
(1) Ge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실험 회로를 구성한다.
(2) V를 서서히 증가시켜 가 증가하도록 하면서 관찰한다.
(3) V를 0.1, 0.2, 0.3, 0.4, 0.5, 0.6, 0.7, 0.8로 변화시키면서 를 측정하여 표에 기록한다.
(4) Ge 다이오드의 방향을 바꿔서 연결을 한다.
(5) V를 0, 5, 10, 15, 20, 25, 30V로 변환시키면서 를 측정하여 표에 기록한다.
(6) R=이므로 이식에 실험치를 대입하여 계산하고 기록한다.
5. 측정 결과 및 분석
순방향 bias 일때의 전류-전압 곡선을 실험결과를 토대로 그리고,
전류-전압 특성에 대해 기술하시오.
(1)전류-전압 특성에 대하여...
실험 결과 반도체를 접합시켜서 다이오드로 만들었을때 공핍층이 형성되어 보통때는 전류를 흐르지 않는 부도체로 있다가 순방향으로 전류를 흘려주면 전자가 이동하려고 하는 방향과 이온이 움직이는 방향이 일 치하여 어느 한 순간이 되면 전류가 흐르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위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갑자기 전류 가 높아지는 부분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전위 장벽이라고 하고 반도체에서는 존재한다는 것을 알았습니 다. 그리고, 다이오드가 순방향일때는 저항이 존재하지만 역방향일 때는 무한대로 나왔습니다.
그 이유는 역방향일 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저항 값은 측정할 수 없을 만큼 크기 때문이라고 생 각되어 집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6.05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9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