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애니메이션 `동경대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기전

2. 줄거리

3. 감상

4. 동경대부속의 일본

5. 전체감상

본문내용

문화수업시간을 통해 다시 한번 알게되고, 배움으로써 확실이 각인 되었던 단어라고 할수있다.
일명 일본의 노숙자를 일컫는 말로, 동경대부에서의 주인공인 하나짱, 긴짱, 미유키를 일컫는 단어라 할 수 있다. 홈리스가 되는 과정은 사람마다 다양하지만 세대에 따라 그 루트가 변해간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일본의 경우엔, 과거 일본의 경제 버블효과가 터짐과 동시에 수많은 노동자들이 실직한 후 홈리스가 된 경우라고 할 수 있으며, 그로인해 홈리스의 나이는 대개 55세 전후의 남성이라 한다. 경제 파탄으로 인한 실업, 사업실패, 도산 등에 의해 집을 잃거나 가출하여 가족과 헤어진 경우가 홈리스 탄생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골판지나, 블루시트(공사에서 쓰이는 방수포)로 만든 텐트나, 가건물이 홈리스의 안식처>
(2)오카마
오카마란 즉 게이, 우리말로 호모라고 할 수 있다. 여장남자라고도 일컫어 지는데, 동경대부 주인공중 하나인 하나짱이 바로 그 오카마다.
우리나라에서의 호모를 바라보는 시선과는 달리 일본에서는 오카마를 그저 한 사람으로 본다는 문화가 깔려있다. 실제로 오카마가 일하는 바가 존재하고, 자신이 오카마라 당당히 말할 수 있는 일본은 자신이나 다수의 사람과 다르다고 쉽게 배척하는 우리나라와 달리 더 개개인을 존중하는 자세를 갖췄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자의 모습을 갖추기 위해 주사를 맞고, 화장을 짙게 하며 여장을 하는 행동에 대해 옳고 그름을 따지기는 힘들 것 같다.
<오카마 바에서의 시절을 회상하는 하나짱>
<여장남자 하나짱>
5. 전체감상
동경대부는 수업과제를 하기위해 다시 보았는데도 역시 지루하지 않고, 탄탄한 네러티브 구성과 흥미로운 에피소드로 가득한 또 봐도 재밌던 좋은 영상이였다.
그리고 동경대부는 흔히 쓰이는 소재인 가족을 노숙자를 통해 재조명하면서 그 소중함과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쓰레기에 아기를 버리는 부모가 있지만 그 아기를 보살피고 부모를 찾아 떠나는 이들도 있는 현실에서 “우리가 잊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라고 물음을 던진다.
언제나 자신의 편이 되어주고 지지해주는 가장 든든한 아군인 가족을 우리는 평소에 어떻게 대하고 있는가? 서로 상처 입히고, 뒤돌아 울어보지는 않았는가?
동경대부는 언제나 곁에 있었기에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가족을, 그 가족을 잃어버리거나 가족에게서 도망친 노숙자들을 통해,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계기를 손에 쥐어주었다.
-THE END-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6.06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82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