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개요
2.실험방법
3.실험에 사용되는 기기
4.실험해석
5.결과에 대한 해석
2.실험방법
3.실험에 사용되는 기기
4.실험해석
5.결과에 대한 해석
본문내용
는 1/1℃의 눈금이 있는 봉상온도계(15Cm)사용 흑구 온도(tg)에서 주위벽체 평균온도(mrt)가 구해집니다.
☞MRT=tg + 2.42v(tg- t) (tg:흑구온도, v:풍속, t:실온)
체감상 쾌적 범위 : 16℃ < MRT <21℃ (0.5m/s 이하의 무풍시
흑구온도로부터 평균복사온도를 산출하는 계산도표(흑구온도 5~25℃)
카타온도계
기류산출
KATA 냉각력(H)를 구한다.
KATA 냉각력 (H) = F/T (MCAL/cmㆍsec)
F : KATA Factor
T : 측정한 KATA 온도계 A→B간의 하강시간
온도차()를 구한다. (※처음 상온용으로 실험을 한 후 T가 2분을 초과하면 고온용으로 다시 실험한다.)
보통 KATA온도계의 경우 =36.5 - t
고온 KATA온도계의 경우 =53.0 - t
t : 측정장소의 온도
KATA 냉각력(H)와 온도차()가 구해지면 다음의 방법에 의해 기류를 산출한다.
기류(V)가 1m/sec이하의 경우 (H/<0.60)
V = {(H/-0.20)/0.4}
기류(V)가 1m/sec이상의 경우 (H/>0.60)
V = {(H/-0.13)/0.47}
3.실험에 사용되는 기기
흑구 온도계
카타 온도계
건습구 온도계
스톱워치 및 컵
장치의 개략도
5문뒤쪽 4 문앞쪽(복도쪽)
1 중앙 3 칠판
6 창가뒤 2창가앞
4.실험해석
실내 MRT(복사열)환경 측정 기록지
측정종류
측정지점
온도 t
(℃)
습도 t'
(%)
KATA에 의한 기류속도 V
(m/s)
글로브온도 tg
MRT
(℃)
건구
습구
1
18
13
58
0.051
17.5
17.23
2
17.5
12.5
55
0.013
17.5
17.5
3
16.5
12
57
0.053
17.5
18.04
4
17.5
13
60
0.034
17
16.78
5
16.5
12
57
0.022
17
17.17
6
17.5
12.5
55
0.016
17.5
17.5
5.결과에 대한 해석
1). 건습구 온도 및 습도
실험실 안에서 실험하는 조가 2조정도 더 있었고, 각 위치마다 6번에 걸쳐 측정 되었다. 각각 다른 측정 장소의 온도와 습도는 조금씩의 차이를 보였다.
이론적으로 습도와 건구온도의 쾌적 범위는 20~60%(평균 40%), 건구온도는 22.8℃(겨울)~25℃(여름) 이다. 측정 결과 습도는 55~60% 로 쾌적 범위 안에 들어갔고, 온도는 16.5~18℃로 약간 쌀쌀함을 느낄 수 있어 쾌적한 온도 환경은 아니였다.
2). 카타 온도계
기류 측정 결과 중앙과 칠판 쪽 에서 조금의 기류를 느낄 수 있지만 창가 쪽 이나 문 쪽의 기류는 오히려 중앙 쪽 보다 기류를 더 느낄 수 없는 수치가 나왔다.
4). 글로브 온도
중앙 → 18(t) > 17.5(tg) 복사열의 손실이 있었다.
창가앞쪽, 창가뒤쪽 → 17.5(t) = 17.5(tg) 실내의 온도가 일정하게 안정된 상태이다.
칠판 → 16.5(t) < 17.5(tg) 주위로부터 복사열을 받았다.
문앞쪽(복도쪽) → 17.5(t) > 17(tg) 복사열 손실리 있었다.
문뒤쪽 → 16.5(t) < 17(tg) 주위로부터 복사열을 받았다.
5). MRT
평균복사온도(MRT)의 쾌적 범위 (16℃ < MRT < 21℃)
위의 MRT 측정결과 모두 쾌적 범위 안에 들어가는 수치이므로 6장소 모두 쾌적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위의 실험결과 겨울로 넘어가는 시기이므로 실험실 안 기온은 약간 쌀쌀하게 측정되었다.
측정 시 앞문은 열어 놓고 측정하였는데 문 앞쪽 에서 기류속도가 가장 적게 나왔는데
실험간 실수로 인한 것 같다. 그리고 다른 실험측정값을 보았을 때 실험실 안은 쌀쌀한 기
온 이지만 쾌적한 환경임을 알 수 있다.
☞MRT=tg + 2.42v(tg- t) (tg:흑구온도, v:풍속, t:실온)
체감상 쾌적 범위 : 16℃ < MRT <21℃ (0.5m/s 이하의 무풍시
흑구온도로부터 평균복사온도를 산출하는 계산도표(흑구온도 5~25℃)
카타온도계
기류산출
KATA 냉각력(H)를 구한다.
KATA 냉각력 (H) = F/T (MCAL/cmㆍsec)
F : KATA Factor
T : 측정한 KATA 온도계 A→B간의 하강시간
온도차()를 구한다. (※처음 상온용으로 실험을 한 후 T가 2분을 초과하면 고온용으로 다시 실험한다.)
보통 KATA온도계의 경우 =36.5 - t
고온 KATA온도계의 경우 =53.0 - t
t : 측정장소의 온도
KATA 냉각력(H)와 온도차()가 구해지면 다음의 방법에 의해 기류를 산출한다.
기류(V)가 1m/sec이하의 경우 (H/<0.60)
V = {(H/-0.20)/0.4}
기류(V)가 1m/sec이상의 경우 (H/>0.60)
V = {(H/-0.13)/0.47}
3.실험에 사용되는 기기
흑구 온도계
카타 온도계
건습구 온도계
스톱워치 및 컵
장치의 개략도
5문뒤쪽 4 문앞쪽(복도쪽)
1 중앙 3 칠판
6 창가뒤 2창가앞
4.실험해석
실내 MRT(복사열)환경 측정 기록지
측정종류
측정지점
온도 t
(℃)
습도 t'
(%)
KATA에 의한 기류속도 V
(m/s)
글로브온도 tg
MRT
(℃)
건구
습구
1
18
13
58
0.051
17.5
17.23
2
17.5
12.5
55
0.013
17.5
17.5
3
16.5
12
57
0.053
17.5
18.04
4
17.5
13
60
0.034
17
16.78
5
16.5
12
57
0.022
17
17.17
6
17.5
12.5
55
0.016
17.5
17.5
5.결과에 대한 해석
1). 건습구 온도 및 습도
실험실 안에서 실험하는 조가 2조정도 더 있었고, 각 위치마다 6번에 걸쳐 측정 되었다. 각각 다른 측정 장소의 온도와 습도는 조금씩의 차이를 보였다.
이론적으로 습도와 건구온도의 쾌적 범위는 20~60%(평균 40%), 건구온도는 22.8℃(겨울)~25℃(여름) 이다. 측정 결과 습도는 55~60% 로 쾌적 범위 안에 들어갔고, 온도는 16.5~18℃로 약간 쌀쌀함을 느낄 수 있어 쾌적한 온도 환경은 아니였다.
2). 카타 온도계
기류 측정 결과 중앙과 칠판 쪽 에서 조금의 기류를 느낄 수 있지만 창가 쪽 이나 문 쪽의 기류는 오히려 중앙 쪽 보다 기류를 더 느낄 수 없는 수치가 나왔다.
4). 글로브 온도
중앙 → 18(t) > 17.5(tg) 복사열의 손실이 있었다.
창가앞쪽, 창가뒤쪽 → 17.5(t) = 17.5(tg) 실내의 온도가 일정하게 안정된 상태이다.
칠판 → 16.5(t) < 17.5(tg) 주위로부터 복사열을 받았다.
문앞쪽(복도쪽) → 17.5(t) > 17(tg) 복사열 손실리 있었다.
문뒤쪽 → 16.5(t) < 17(tg) 주위로부터 복사열을 받았다.
5). MRT
평균복사온도(MRT)의 쾌적 범위 (16℃ < MRT < 21℃)
위의 MRT 측정결과 모두 쾌적 범위 안에 들어가는 수치이므로 6장소 모두 쾌적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위의 실험결과 겨울로 넘어가는 시기이므로 실험실 안 기온은 약간 쌀쌀하게 측정되었다.
측정 시 앞문은 열어 놓고 측정하였는데 문 앞쪽 에서 기류속도가 가장 적게 나왔는데
실험간 실수로 인한 것 같다. 그리고 다른 실험측정값을 보았을 때 실험실 안은 쌀쌀한 기
온 이지만 쾌적한 환경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