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본문내용
6시그마란 무엇인가?
고대 알파벳 24개의 글자 중 18번째 글자의 이름으로 알려진 시그마는’σ’ 로 표기되고 영어의 알파벳 ‘S’에 해당된다.
이는 통계학의 표준편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6시그마는 정규분포에서 평균을 중심으로 양품의 수를 6배의 표준편차 이내에서 생산 할 수 있는 공정의 능력을 정량화 한 것이다.
즉 제품의 결함을 백만개당(ppm) 0.002개 이하의 결함을 목표로 하는 거의 무결점수준을 목표로 하고있다.
마이클 해리(Mikel Harry)
1973년 볼 주립대학 전자공학 학사 졸업
1981년 볼 주립대학 전자공학 석사 졸업
1984년 애리조나 주립대학 박사학위 취득
1982년 모토로라의 정부용 전자기기 사업부에 근무
1986년 “Achieveing Quality Excellence:
The Strategy, Tactics, and Tools”이라는 공식적인 6시그마의 책을 출간
1987년 모토로라 의 로버트 갈빈 회장의 주도하에 6시그마를 도입
1990년 모토로라 내의 대학에 모토로라 ‘6시그마 연구소’를 세움
1993년 슈뢰더와 함께 스위스의 ABB 변압기 부서에 합류
1994년 애리조나 주 스콧스데일에 ‘6시그마 아카데미’를 설립
1995년 젝웰치 회장의 GE사에 6시그마를 도입
현재 SSMI(six sigma management institute)를 운영하고 있으며 '3세대 식스시그마'를 개발 전파하기 위하여 전력을 기울이고 있음
해리박사의 3세대 6시그마와 향후전망
제1세대: 80년대 모토로라사 의 연구진이 품질 개선의 일환으로 추진했던 활동
제2세대: 90년대 들어 6시그마를 기업의 수익 제고와 직결시키는 활동
제3세대: 회사 규모에 관계없이 모든 기업이 6시그마로 성과를 내기를 희망했고 연구 끝에 모든 기업에 적용할 수 있는 3세대 6시그마를 개발
하지만, 현재 잘 하고 있는 조직에서 변화를 추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변화를 즐거워하지 않는 기업문화에서는 자칫 이러한 6시그마는 오히려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우리 기업은 6시그마를 도입하기 위해서 구성원의 가치관을 바꾸고 무조건 좋다고 따라 하기보다는 미국이 일본의 TQC를 모방하여 6시그마를 도입했듯이 기업의 환경에 맞는 효과적인 도구로 자리 잡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6시그마의 도입배경
1970년대 초 미국경제의 호황
1970년대 중반 일본의 급부상에 의해 미국의 경쟁력 약화
일본은 품질의 중요성을 알고 일찌감치 품질에 중점
고대 알파벳 24개의 글자 중 18번째 글자의 이름으로 알려진 시그마는’σ’ 로 표기되고 영어의 알파벳 ‘S’에 해당된다.
이는 통계학의 표준편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6시그마는 정규분포에서 평균을 중심으로 양품의 수를 6배의 표준편차 이내에서 생산 할 수 있는 공정의 능력을 정량화 한 것이다.
즉 제품의 결함을 백만개당(ppm) 0.002개 이하의 결함을 목표로 하는 거의 무결점수준을 목표로 하고있다.
마이클 해리(Mikel Harry)
1973년 볼 주립대학 전자공학 학사 졸업
1981년 볼 주립대학 전자공학 석사 졸업
1984년 애리조나 주립대학 박사학위 취득
1982년 모토로라의 정부용 전자기기 사업부에 근무
1986년 “Achieveing Quality Excellence:
The Strategy, Tactics, and Tools”이라는 공식적인 6시그마의 책을 출간
1987년 모토로라 의 로버트 갈빈 회장의 주도하에 6시그마를 도입
1990년 모토로라 내의 대학에 모토로라 ‘6시그마 연구소’를 세움
1993년 슈뢰더와 함께 스위스의 ABB 변압기 부서에 합류
1994년 애리조나 주 스콧스데일에 ‘6시그마 아카데미’를 설립
1995년 젝웰치 회장의 GE사에 6시그마를 도입
현재 SSMI(six sigma management institute)를 운영하고 있으며 '3세대 식스시그마'를 개발 전파하기 위하여 전력을 기울이고 있음
해리박사의 3세대 6시그마와 향후전망
제1세대: 80년대 모토로라사 의 연구진이 품질 개선의 일환으로 추진했던 활동
제2세대: 90년대 들어 6시그마를 기업의 수익 제고와 직결시키는 활동
제3세대: 회사 규모에 관계없이 모든 기업이 6시그마로 성과를 내기를 희망했고 연구 끝에 모든 기업에 적용할 수 있는 3세대 6시그마를 개발
하지만, 현재 잘 하고 있는 조직에서 변화를 추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변화를 즐거워하지 않는 기업문화에서는 자칫 이러한 6시그마는 오히려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우리 기업은 6시그마를 도입하기 위해서 구성원의 가치관을 바꾸고 무조건 좋다고 따라 하기보다는 미국이 일본의 TQC를 모방하여 6시그마를 도입했듯이 기업의 환경에 맞는 효과적인 도구로 자리 잡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6시그마의 도입배경
1970년대 초 미국경제의 호황
1970년대 중반 일본의 급부상에 의해 미국의 경쟁력 약화
일본은 품질의 중요성을 알고 일찌감치 품질에 중점
추천자료
마이클 해리(Michael J. Harry)6시그마
경영혁신 사례 : GE사의 6시그마 경영
지식경영 사례 분석 - 포스코 사례 (PI, EP, 6시그마 포함) - PI 도입배경, 포스코 PI의 예상...
Six Sigma(6시그마)에 관하 조사
6시그마란 무엇인가?
6시그마란 무엇인가 2007버전 ppt 발표자료.
6시그마(sigma)에서 챔피언(champion)의 역할과 중요성
6시그마의 효과를 간략정리, 1개의 기업에 대한 사례
경영혁신,경영혁신사례,기업혁신,기업혁신사례,시대별경영혁신,경영혁신의필요성,경영혁신의...
6시그마(6σ) 실행의 성공요인과 기술혁신의 역할에 관한 연구.ppt
기업의 6시그마(6σ) 저해요인 분석.ppt
규모,벨트,도입기간에 따른 6시그마 성공요인의 인식 차이 연구 : 공급자 관점에서 바라본 마...
[기술경영, 경영학, 경영이론, 경영교육, 6시그마]기술경영의 개념, 기술경영과 경영학, 기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