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본문내용
정을 개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객관식 평가뿐만 아니라 다양한 평가방법을 적용한다.
다섯째: 전통적 평가가 평가자의 객관성, 일관성 공정성에 의한 일회적, 부분적 평가를 강조하는 반면, 수행평가는 평가자의 전문성, 타당성, 적합성에 의한 지속적, 종합적 평가를 강조한다.
여섯째: 전통적 평가가 학습활동과 평가활동이 분리된 채 학습이 종료된 시점에서 학습된 결과를 평가하는 반면, 수행평가는 학습활동의 전과정을 통해서 학습의 결과나 과정을 수시로 평가한다.
일곱째: 전통적 평가가 지식의 전달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는 반면, 수행평가는 학습의 안내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강조한다.
여덟째: 전통적 평가가 학습자를 수동적인 지식의 수용자로 간주하는 반면, 수행평가는 학습자를 능동적인 지식의 창조자로 간주.
열번째: 전통적 평가가 인지적 영역의 교과내용에 교사가 중심이 되는 암기식 교육이 강조된 반면, 수행평가는 지, 덕, 체의 모든 교과내용에 학생이 중심이 되는 다양한 교육이 강조된다.
3) 수행평가의 유형: 서술형, 논술형 검사, 구술시험, 찬반토론법, 실기시험, 실험 실습법, 면접법, 관찰법,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연구보고서법, 포트폴리오
4) 수행평가의 장점: ① 교수-학습과의 연계성이 높다.
② 교육목표 달성여부를 가능한 직접적으로 평가방식이다.
③ 고등사고능력을 측정하기에 보다 적합하다.
④ 교수-학습 결과 뿐아니라 교수-학습 과정도 함께 중시하는 평가방식
⑤ 개인별 평가뿐만 아니라 집단에 대한 평가도 중시
5) 수행평가의 단점: ① 수행평가 문항을 개발 시행하는 것은 전통적 선다형 문항에 비해 많은 평가학적 지식 및 노력과 시간을 요구
② 선다형 검사에 비해 채점 결과의 객관성, 정확성, 일관성이 떨어진다.
③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선다형 검사에 비해 정해진 검사시간에 치룰 수 있는 문항의 수가 줄어든다.
④ 수행평가의 결과를 교수-학습에 연계시키기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가 요구된다.(명료화된 채점 기준필요)
제 10 장 평가도구의 구비요건
1. 타당도: 검사의 진실성 혹은 정직성
1) 개념: 측정하려고 하는 대상을 측정도구가 정확히 재고 있느냐를 따질 때 사용됨
2)타당도의 확인방법
① 내용타당도: 한 검사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어느정도나 포괄하고 있느냐의 정도를 말한다. 교육평가의 입장에서 보면 내용타당도는 한 검사가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교육 목표들의 성취정도를 어느정도 측정하고 있느냐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흔히 내용타당도를 교과타당도 또는 안면타당도라고 부른다
② 예언타당도: 그 검사결과가 피험자의 미래의 행동이나 특성을 어느정도 예언하느냐에 의해 결정
③ 공인(共因)타당도: 예언타당도와 같은 통계적 방법이 사용된다. 예언과 공인 두가지 유형의 타당도는 모두 검사 X와 준거 Y간의 상관계수로 나타낸다. 양자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는 시간차원이다. 공인타당도는 시간차원이 현재이다. 준거의 성질이 공변관계, 공변관계 공통요인이 있느냐 없느냐에 의해 결정.
④ 구인타당도: 한 검사가 조작적으로 정의되지 아니한 어떤 행동특성을 측정했을 때, 그것을 과학적 개념으로 분석하여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검사제작 과정에서 가설적으로 개념화된 특성들을 실지 검사결과와 비교하여 서로 대응하는 경우를 구인타당도라고 한다.
2. 신뢰도
1) 개념: 얼마나 정확하게, 얼마나 오차없이, 얼마나 일관성있게 측정하느냐를 따지는 개념이다. 측정하고 있는 속성이 무엇이냐라는 문제와는 관계없이 측정에 일관성이 있느냐, 즉 측정의 오차가 얼마나 적은가 하는 문제에 관한 것이 된다.
2)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① 검사문항의 포괄성
② 검사의 객관성
③ 검사조건의 균일화
④ 피검자의 상태
⑤ 채점의 객관성
3. 객관도와 실용도
1) 객관도
① 객관도의 개념: 채점자에 의해서 좌우되는 신뢰도의 일종으로 검사자의 신뢰도
② 객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측정도구, 평가자의 소양, 다인수의 공동평가
2) 실용도
① 실용도의 개념: 측정도구의 실용적 가치의 정도
② 실용도의 결정요인: 실시의 용이성, 채점의 용이성, 결과의 해석과 활용의 용이성, 최소한의 절약
제 11 장 교육평가를 위한 통계적 방법
1. 측정치의 종류
1) 명명척도: 가장 기본적인 측정의 형식. 수들은 단지 한 사물과 다른 사물을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쓰여진다. ( 영수의 책상번호는 20번 축수선수인 철수 백넘버는 9번 등)
2) 서열척도: 순서의 속성. 두 개이상의 측정치들을 순서의 속성에 따라서 배열.
3) 동간척도: 단위들의 균등성. 척도에 표시되어 있는 점간의 거리가 동등하다. 따라서 우리는 차이의 방향을 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그 차이의 양을 지적할 수 있다. 동간 척도의 가장 좋은 예는 온도척도이다. 척도위에 점들간의 차이는 동간적이다. 즉, 섭씨 10도와 14도간의 차이4와 17도와 21도간 차이 4도는 숫자상의 차이 뿐만 아니라 실제의 온도 차이도 같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런 동간척도에서 15도에서 25도올라간 기온이 5도에서10도 올라간 기온의 2배라고 말 할 수 있다. 동간척도에 의해 우리는 이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사물과 대상들간의 거리의 양을 가름할 수 있는데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사물과 대상들간의 거리의 양을 가름할 수 있는데 이런 가름은 서열척도로는 불가능하다.
4) 비율척도: 동간척도의 모든 특성에 더하여 하나의 절대 영점을 가진다. 한 절대 영점을 가지고 우리는 “두배로 길다”, 또는 “반절 정도 빠르다”와 같은 두 개 수치간의 비율적인 진술을 할 수 있다.
2. 집중경향치: 한집단의 대표적 경향
1) 최빈치(Mo): 빈도가 가장 많은 수치를 집단의 대표치로 삼는 방법
2) 중앙치: 측정치를 순서로 나열했을 때 사례수를 반으로 구분지우는 위치에 있는 측정치를 집단의 대표치로 삼는 방법
3) 평균치: 전체 사례들의 측정치의 합을 사례수로 나누어 계산한다. 모든 사례들의 측정치를 누락됨 없이 반영하여 계산한다는 점에서 다른 집중경향치에 비하여 가장 신뢰로운 집중경향치이다.
3. 변산도: 서로 다른 값을 가짐으로써 흩어져 있는 정도를 일
다섯째: 전통적 평가가 평가자의 객관성, 일관성 공정성에 의한 일회적, 부분적 평가를 강조하는 반면, 수행평가는 평가자의 전문성, 타당성, 적합성에 의한 지속적, 종합적 평가를 강조한다.
여섯째: 전통적 평가가 학습활동과 평가활동이 분리된 채 학습이 종료된 시점에서 학습된 결과를 평가하는 반면, 수행평가는 학습활동의 전과정을 통해서 학습의 결과나 과정을 수시로 평가한다.
일곱째: 전통적 평가가 지식의 전달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는 반면, 수행평가는 학습의 안내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강조한다.
여덟째: 전통적 평가가 학습자를 수동적인 지식의 수용자로 간주하는 반면, 수행평가는 학습자를 능동적인 지식의 창조자로 간주.
열번째: 전통적 평가가 인지적 영역의 교과내용에 교사가 중심이 되는 암기식 교육이 강조된 반면, 수행평가는 지, 덕, 체의 모든 교과내용에 학생이 중심이 되는 다양한 교육이 강조된다.
3) 수행평가의 유형: 서술형, 논술형 검사, 구술시험, 찬반토론법, 실기시험, 실험 실습법, 면접법, 관찰법,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연구보고서법, 포트폴리오
4) 수행평가의 장점: ① 교수-학습과의 연계성이 높다.
② 교육목표 달성여부를 가능한 직접적으로 평가방식이다.
③ 고등사고능력을 측정하기에 보다 적합하다.
④ 교수-학습 결과 뿐아니라 교수-학습 과정도 함께 중시하는 평가방식
⑤ 개인별 평가뿐만 아니라 집단에 대한 평가도 중시
5) 수행평가의 단점: ① 수행평가 문항을 개발 시행하는 것은 전통적 선다형 문항에 비해 많은 평가학적 지식 및 노력과 시간을 요구
② 선다형 검사에 비해 채점 결과의 객관성, 정확성, 일관성이 떨어진다.
③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선다형 검사에 비해 정해진 검사시간에 치룰 수 있는 문항의 수가 줄어든다.
④ 수행평가의 결과를 교수-학습에 연계시키기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가 요구된다.(명료화된 채점 기준필요)
제 10 장 평가도구의 구비요건
1. 타당도: 검사의 진실성 혹은 정직성
1) 개념: 측정하려고 하는 대상을 측정도구가 정확히 재고 있느냐를 따질 때 사용됨
2)타당도의 확인방법
① 내용타당도: 한 검사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어느정도나 포괄하고 있느냐의 정도를 말한다. 교육평가의 입장에서 보면 내용타당도는 한 검사가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교육 목표들의 성취정도를 어느정도 측정하고 있느냐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흔히 내용타당도를 교과타당도 또는 안면타당도라고 부른다
② 예언타당도: 그 검사결과가 피험자의 미래의 행동이나 특성을 어느정도 예언하느냐에 의해 결정
③ 공인(共因)타당도: 예언타당도와 같은 통계적 방법이 사용된다. 예언과 공인 두가지 유형의 타당도는 모두 검사 X와 준거 Y간의 상관계수로 나타낸다. 양자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는 시간차원이다. 공인타당도는 시간차원이 현재이다. 준거의 성질이 공변관계, 공변관계 공통요인이 있느냐 없느냐에 의해 결정.
④ 구인타당도: 한 검사가 조작적으로 정의되지 아니한 어떤 행동특성을 측정했을 때, 그것을 과학적 개념으로 분석하여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검사제작 과정에서 가설적으로 개념화된 특성들을 실지 검사결과와 비교하여 서로 대응하는 경우를 구인타당도라고 한다.
2. 신뢰도
1) 개념: 얼마나 정확하게, 얼마나 오차없이, 얼마나 일관성있게 측정하느냐를 따지는 개념이다. 측정하고 있는 속성이 무엇이냐라는 문제와는 관계없이 측정에 일관성이 있느냐, 즉 측정의 오차가 얼마나 적은가 하는 문제에 관한 것이 된다.
2)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① 검사문항의 포괄성
② 검사의 객관성
③ 검사조건의 균일화
④ 피검자의 상태
⑤ 채점의 객관성
3. 객관도와 실용도
1) 객관도
① 객관도의 개념: 채점자에 의해서 좌우되는 신뢰도의 일종으로 검사자의 신뢰도
② 객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측정도구, 평가자의 소양, 다인수의 공동평가
2) 실용도
① 실용도의 개념: 측정도구의 실용적 가치의 정도
② 실용도의 결정요인: 실시의 용이성, 채점의 용이성, 결과의 해석과 활용의 용이성, 최소한의 절약
제 11 장 교육평가를 위한 통계적 방법
1. 측정치의 종류
1) 명명척도: 가장 기본적인 측정의 형식. 수들은 단지 한 사물과 다른 사물을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쓰여진다. ( 영수의 책상번호는 20번 축수선수인 철수 백넘버는 9번 등)
2) 서열척도: 순서의 속성. 두 개이상의 측정치들을 순서의 속성에 따라서 배열.
3) 동간척도: 단위들의 균등성. 척도에 표시되어 있는 점간의 거리가 동등하다. 따라서 우리는 차이의 방향을 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그 차이의 양을 지적할 수 있다. 동간 척도의 가장 좋은 예는 온도척도이다. 척도위에 점들간의 차이는 동간적이다. 즉, 섭씨 10도와 14도간의 차이4와 17도와 21도간 차이 4도는 숫자상의 차이 뿐만 아니라 실제의 온도 차이도 같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런 동간척도에서 15도에서 25도올라간 기온이 5도에서10도 올라간 기온의 2배라고 말 할 수 있다. 동간척도에 의해 우리는 이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사물과 대상들간의 거리의 양을 가름할 수 있는데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사물과 대상들간의 거리의 양을 가름할 수 있는데 이런 가름은 서열척도로는 불가능하다.
4) 비율척도: 동간척도의 모든 특성에 더하여 하나의 절대 영점을 가진다. 한 절대 영점을 가지고 우리는 “두배로 길다”, 또는 “반절 정도 빠르다”와 같은 두 개 수치간의 비율적인 진술을 할 수 있다.
2. 집중경향치: 한집단의 대표적 경향
1) 최빈치(Mo): 빈도가 가장 많은 수치를 집단의 대표치로 삼는 방법
2) 중앙치: 측정치를 순서로 나열했을 때 사례수를 반으로 구분지우는 위치에 있는 측정치를 집단의 대표치로 삼는 방법
3) 평균치: 전체 사례들의 측정치의 합을 사례수로 나누어 계산한다. 모든 사례들의 측정치를 누락됨 없이 반영하여 계산한다는 점에서 다른 집중경향치에 비하여 가장 신뢰로운 집중경향치이다.
3. 변산도: 서로 다른 값을 가짐으로써 흩어져 있는 정도를 일
추천자료
열린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하여
[수행평가][교육평가][교육][평가]수행평가의 개념, 수행평가의 분류와 수행평가의 장단점, ...
[국어교과 수행평가][국어교육][교육평가]국어과 수행평가의 전제, 국어과 수행평가의 필요성...
[수행평가][교육평가][교육][평가]수행평가의 정의, 수행평가의 여러 가지 유형, 수행평가의 ...
[수행평가][영어과 수행평가][영어과][영어교육][영어교과][교육평가]수행평가의 의미, 수행...
[수행평가][교육평가][수행][교육][평가][수행평가 개선방안]수행평가의 성격, 수행평가의 등...
[수행평가][평가][교육평가][교육]수행평가의 일반적 특성, 수행평가의 도입취지와 수행평가...
[수행평가][수행평가방법][수행][평가][교육평가]수행평가의 교육적 의의, 수행평가의 일반적...
[수행평가][수행][평가][교육평가][교육][수행평가 내용]수행평가의 의의, 수행평가의 분류, ...
[수행평가][교육평가]수행평가의 정의, 수행평가의 특성, 수행평가의 필요성과 수행평가의 제...
[측정도구, 측정도구 개발, 측정도구 선정과 제작, 측정도구와 교육평가, 측정도구와 수행평...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제 9장 교육평가의 기초 및 유형 요약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제 10장 교육평가의 모형 요약
교육과정및교육평가 제7장.학교수준교육과정.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