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세잔에 대하여
■주변인물들을 통해서 본 세잔
①아버지
②에밀졸라
③어머니와 부인
④피사로
■세잔 작품의 특징
①후기인상주의자 세잔
②세잔의 조형원리
③세잔의 원근법
④세잔의 색채와 형태
Ⅲ결론
■후기
Ⅱ본론
■세잔에 대하여
■주변인물들을 통해서 본 세잔
①아버지
②에밀졸라
③어머니와 부인
④피사로
■세잔 작품의 특징
①후기인상주의자 세잔
②세잔의 조형원리
③세잔의 원근법
④세잔의 색채와 형태
Ⅲ결론
■후기
본문내용
세잔 작가론
“나는 사과하나로 세상을 놀라게 할거요”
-폴 세잔
목 차
Ⅰ서론
Ⅱ본론
■세잔에 대하여
■주변인물들을 통해서 본 세잔
①아버지
②에밀졸라
③어머니와 부인
④피사로
■세잔 작품의 특징
①후기인상주의자 세잔
②세잔의 조형원리
③세잔의 원근법
④세잔의 색채와 형태
Ⅲ결론
■후기
서 론
“유명한 사과가 3개가 있다. 첫째가 이브의 사과이고, 둘째가 뉴턴의 사과이며, 셋째가 세잔의 사과이다.”
근대 회화의 아버지 , 세잔.
세잔에 대한 설명은 이 표현하나로 압축된다. 근대회화를 열어주었다는 세잔의 고향은 아직까지도 무수한 관광객들로 유명한 광광지가 되었고 세잔의 얼굴은 이전 프랑스 100프랑 지폐에 실렸으며, 그림이 전시되어있는 오르세 박물관에는 피카소다음으로 많은 관광객들이 몰리고 있다.
세잔의 회화의 큰 영향을 받았다는 피카소도 말년을 세잔의 연작 작품 ‘생 빅투아르산’ 끝자락에서 보낸 것도 피카소가 세잔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 지를 보여주는 한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째서 사람들은 세잔에 집중하고 또 왜 세잔을 근대회화의 아버지라고 지칭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세잔의 생애와 함께 작품을 통한 그의 회화특징에 포커스를 맞추어 조망해 보겠다.
본 론
■세잔에 대하여
세잔은 그 자신을 향한 세인들의 몰이해와 비웃음에 못지 않은 괴팍하고 기이한 성격의 소유자로 알려져 있다. 늘 화난 사람처럼 입을 다물고 있었고, 자기 의견에 반대하는 사람에게 미친 듯이 화를 냈으며, 동료화가인 마네를 불편하게 생각하여 자주 심기를 건드리곤 했다고 전해진다. 말년의 세잔을 찾아 온 에밀 베르나르가 언덕에서 구르던 세잔을 부축하기 위하여 몸에 손을 대자 갑자기 화를 내고 욕을 퍼부었다고 하니, 그 종잡을 수 없고 변덕스러운 성격을 미루어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남들이 늘 자기를 지켜보고 있다고 생각하고, 아무것도 아닌 사소한 일이 스캔들이 되지 않을까 하고 두려워 하기도 하였다.
“··· 내 감각은 아직 건재한것 같다. 그리고 나를 모방하는 가엾은 사람들은 하고싶은대로 하라고 내버려 두고 싶구나···내 주변의 프랑스 사람들은 모두 멍청이들 뿐이다···” 세잔과의 대화 다빈치출판사 폴세잔외 지음 2002 page268 편지중 인용
세잔이 아들에게 보내는 1906년9월 8일 편지중
그러나 화가세잔은 같은 시대의 그 누구도 깨닫지 못했던 하나의 테마에 생애를 바쳤던 사람이며, 그 작품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큰 가능성을 내포한 채로 존재하고 있다. 세잔 금성출판사 금성출판사 편집부 편 1976 page7
■주변인물을 통해 본 세잔
①아버지 루이오귀스트 세잔
세잔의 아버지는 엑스에 정착해 모자가게를 경영했고 마흔 아홉살에 은행을 설립할 정도로 크게 자수성가한 인물이다. 루이 오귀스트 세잔은 이 지역의 유지였지만 이민자 출신에 장사꾼이라는 약점 때문에 지역 부르주아들로부터 은근히 무시당하는 처지였다. 그래서 그는 아들 폴(세잔)이 법학을 공부해 당당하게 가문을 빛내주길 바랐다. 그러나 아들은 아버지의 뜻과는 전혀 상반되는 길을 걸어서 그를 실망시켰다. 오귀스트는 훗날 아들을 억지로 자신의 은행에 취직시켜서 아들이 자신의 가업을 잇기를 기대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인내심 없고 성마른 세잔은 따분한 은행 업무에 견디기 힘들어서 그만둬 버렸다. 그 뒤 루이 오귀스트 세잔은 아들에게 최소한의 용돈만을 보내주면서 화가아들을 인정하지 않았다. 세잔이 66년도에 그린 아버지의 초상(그림5)에서도 고집스럽게 보이는 아버지 뒤로 세잔의 초기 정물화가 그려져 있다는걸 보면 세잔이 아버지에게 인정받고 싶어 하는 마음이 드러나는것 같다. 그렇지만 1870년 보불 전쟁이 터졌을 때 경찰이 병역기피자인 아들의 신병을 확보하려 하였지만 아버지는 아들이 전쟁에 동원되지 않도록 도와준다.1870년대 후반으로 접어 들면서 고향근처에 머물면서 세잔은 아버지와의 갈등이 더욱 깊어진다. 아버지는 숨겨진 아내와 아들이 있다는 사실을 눈치채고 한 달에 200프랑씩 보내주던 보조금을 대폭 줄이며 아들을 압박한다.
“쇼케씨가 내게 보낸 편지에 ‘세잔 부인과 어린폴’ 이라고 쓰는 바람에 결정적으로 아버지가 나의 비밀을 알게 되었네. 가뜩이나 의심을 품고 있던 차에 내 편지를 보고 부리나케 뜯어보셨던 모양이야.” 세잔과의 대화 다빈치출판사 폴세잔외 지음 2002 page237 편지중 인용
에밀에게 보내는 1873년 3월 23일자 편지 중
“지금같이 곧잘 피해왔던 올가미가 점점 나를 향해 조여오고 있음을 느낀다네. 내가 집에서 울궈낸 돈과 그 돈의 사용처를 둘러싸고 조만간 큰 분쟁이 있을것 같아. 더구나 파리에 있을 때 아버지로부터 보장받았던 200프랑은 고사하고 100프랑도 받지 못할 것 같아. 이제는 자네에게 도움을 청할 도리밖에 없겠군.” 세잔과의 대화 다빈치출판사 폴세잔외 지음 2002 page238 편지중 인용
에밀에게 보내는 1878년 3월 28일자 편지 중
졸라에게 보낸 편지의 문구를 보면 당시 아버지와 아들 폴 세잔과의 사이가 어땠는지 잘 알수 있다.
1886년 세잔과 애증의 관계였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면서 200만 프랑의 막대한 유산을 아들에게 물려준다 이 돈으로 인해 아들은 여생을 그림에만 몰두하면서 지낼수 있다. 훗날 세잔은 아버지를 “현명하고 선량한 분”이었다고 회상했다고 한다. 세잔과의 대화 다빈치출판사 폴세잔외 지음 2002 page11~37 아버지부분을 참고하여 정리.
②에밀졸라
에밀졸라는 미망인인 어머니와 조부모 사이에서 자라나 가정환경이 어려워서 학교친구들로부터 업신여김을 받기 일쑤였다. 한편 세잔은 아버지를 잘 만나 자산가의 아들로서 자란셈이지만 상류계급과 하층계급으로부터 반감과 질투를 동시에 사는, 소외감을 느끼는 생활환경이었다. 졸라는 1년 상급이었으나 두사람은 서로 끌려 친교를 맺었다. 이두사람의 학업성적은 꾀 좋았으며 그밖의 친구 (훗날 유명한 건축가가 됨) 바이유
“나는 사과하나로 세상을 놀라게 할거요”
-폴 세잔
목 차
Ⅰ서론
Ⅱ본론
■세잔에 대하여
■주변인물들을 통해서 본 세잔
①아버지
②에밀졸라
③어머니와 부인
④피사로
■세잔 작품의 특징
①후기인상주의자 세잔
②세잔의 조형원리
③세잔의 원근법
④세잔의 색채와 형태
Ⅲ결론
■후기
서 론
“유명한 사과가 3개가 있다. 첫째가 이브의 사과이고, 둘째가 뉴턴의 사과이며, 셋째가 세잔의 사과이다.”
근대 회화의 아버지 , 세잔.
세잔에 대한 설명은 이 표현하나로 압축된다. 근대회화를 열어주었다는 세잔의 고향은 아직까지도 무수한 관광객들로 유명한 광광지가 되었고 세잔의 얼굴은 이전 프랑스 100프랑 지폐에 실렸으며, 그림이 전시되어있는 오르세 박물관에는 피카소다음으로 많은 관광객들이 몰리고 있다.
세잔의 회화의 큰 영향을 받았다는 피카소도 말년을 세잔의 연작 작품 ‘생 빅투아르산’ 끝자락에서 보낸 것도 피카소가 세잔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 지를 보여주는 한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째서 사람들은 세잔에 집중하고 또 왜 세잔을 근대회화의 아버지라고 지칭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세잔의 생애와 함께 작품을 통한 그의 회화특징에 포커스를 맞추어 조망해 보겠다.
본 론
■세잔에 대하여
세잔은 그 자신을 향한 세인들의 몰이해와 비웃음에 못지 않은 괴팍하고 기이한 성격의 소유자로 알려져 있다. 늘 화난 사람처럼 입을 다물고 있었고, 자기 의견에 반대하는 사람에게 미친 듯이 화를 냈으며, 동료화가인 마네를 불편하게 생각하여 자주 심기를 건드리곤 했다고 전해진다. 말년의 세잔을 찾아 온 에밀 베르나르가 언덕에서 구르던 세잔을 부축하기 위하여 몸에 손을 대자 갑자기 화를 내고 욕을 퍼부었다고 하니, 그 종잡을 수 없고 변덕스러운 성격을 미루어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남들이 늘 자기를 지켜보고 있다고 생각하고, 아무것도 아닌 사소한 일이 스캔들이 되지 않을까 하고 두려워 하기도 하였다.
“··· 내 감각은 아직 건재한것 같다. 그리고 나를 모방하는 가엾은 사람들은 하고싶은대로 하라고 내버려 두고 싶구나···내 주변의 프랑스 사람들은 모두 멍청이들 뿐이다···” 세잔과의 대화 다빈치출판사 폴세잔외 지음 2002 page268 편지중 인용
세잔이 아들에게 보내는 1906년9월 8일 편지중
그러나 화가세잔은 같은 시대의 그 누구도 깨닫지 못했던 하나의 테마에 생애를 바쳤던 사람이며, 그 작품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큰 가능성을 내포한 채로 존재하고 있다. 세잔 금성출판사 금성출판사 편집부 편 1976 page7
■주변인물을 통해 본 세잔
①아버지 루이오귀스트 세잔
세잔의 아버지는 엑스에 정착해 모자가게를 경영했고 마흔 아홉살에 은행을 설립할 정도로 크게 자수성가한 인물이다. 루이 오귀스트 세잔은 이 지역의 유지였지만 이민자 출신에 장사꾼이라는 약점 때문에 지역 부르주아들로부터 은근히 무시당하는 처지였다. 그래서 그는 아들 폴(세잔)이 법학을 공부해 당당하게 가문을 빛내주길 바랐다. 그러나 아들은 아버지의 뜻과는 전혀 상반되는 길을 걸어서 그를 실망시켰다. 오귀스트는 훗날 아들을 억지로 자신의 은행에 취직시켜서 아들이 자신의 가업을 잇기를 기대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인내심 없고 성마른 세잔은 따분한 은행 업무에 견디기 힘들어서 그만둬 버렸다. 그 뒤 루이 오귀스트 세잔은 아들에게 최소한의 용돈만을 보내주면서 화가아들을 인정하지 않았다. 세잔이 66년도에 그린 아버지의 초상(그림5)에서도 고집스럽게 보이는 아버지 뒤로 세잔의 초기 정물화가 그려져 있다는걸 보면 세잔이 아버지에게 인정받고 싶어 하는 마음이 드러나는것 같다. 그렇지만 1870년 보불 전쟁이 터졌을 때 경찰이 병역기피자인 아들의 신병을 확보하려 하였지만 아버지는 아들이 전쟁에 동원되지 않도록 도와준다.1870년대 후반으로 접어 들면서 고향근처에 머물면서 세잔은 아버지와의 갈등이 더욱 깊어진다. 아버지는 숨겨진 아내와 아들이 있다는 사실을 눈치채고 한 달에 200프랑씩 보내주던 보조금을 대폭 줄이며 아들을 압박한다.
“쇼케씨가 내게 보낸 편지에 ‘세잔 부인과 어린폴’ 이라고 쓰는 바람에 결정적으로 아버지가 나의 비밀을 알게 되었네. 가뜩이나 의심을 품고 있던 차에 내 편지를 보고 부리나케 뜯어보셨던 모양이야.” 세잔과의 대화 다빈치출판사 폴세잔외 지음 2002 page237 편지중 인용
에밀에게 보내는 1873년 3월 23일자 편지 중
“지금같이 곧잘 피해왔던 올가미가 점점 나를 향해 조여오고 있음을 느낀다네. 내가 집에서 울궈낸 돈과 그 돈의 사용처를 둘러싸고 조만간 큰 분쟁이 있을것 같아. 더구나 파리에 있을 때 아버지로부터 보장받았던 200프랑은 고사하고 100프랑도 받지 못할 것 같아. 이제는 자네에게 도움을 청할 도리밖에 없겠군.” 세잔과의 대화 다빈치출판사 폴세잔외 지음 2002 page238 편지중 인용
에밀에게 보내는 1878년 3월 28일자 편지 중
졸라에게 보낸 편지의 문구를 보면 당시 아버지와 아들 폴 세잔과의 사이가 어땠는지 잘 알수 있다.
1886년 세잔과 애증의 관계였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면서 200만 프랑의 막대한 유산을 아들에게 물려준다 이 돈으로 인해 아들은 여생을 그림에만 몰두하면서 지낼수 있다. 훗날 세잔은 아버지를 “현명하고 선량한 분”이었다고 회상했다고 한다. 세잔과의 대화 다빈치출판사 폴세잔외 지음 2002 page11~37 아버지부분을 참고하여 정리.
②에밀졸라
에밀졸라는 미망인인 어머니와 조부모 사이에서 자라나 가정환경이 어려워서 학교친구들로부터 업신여김을 받기 일쑤였다. 한편 세잔은 아버지를 잘 만나 자산가의 아들로서 자란셈이지만 상류계급과 하층계급으로부터 반감과 질투를 동시에 사는, 소외감을 느끼는 생활환경이었다. 졸라는 1년 상급이었으나 두사람은 서로 끌려 친교를 맺었다. 이두사람의 학업성적은 꾀 좋았으며 그밖의 친구 (훗날 유명한 건축가가 됨) 바이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