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방언문화와 푸퉁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방언문화와 푸퉁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중국의 방언 다양성과 그에 따른 문화 분열의 가능성

2. 언어통일이 필요한 이유
가. 의사 소통 용이
나. 경제 발전
다. 문화적 통합

3. 중국 전체의 통합된 언어를 만들려는 노력
가. 표준어 보급의 역사
나. 정부의 푸퉁화 보급 노력 1
다. 정부의 푸퉁화 보급 노력 2

4. 중국 이중언어 정책에 대한 반대/저항하는 입장

5. 결론 - 푸퉁화 보급도 필요하나 방언 보존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본문내용

족의 2.4% 정도를 차지한다.
객가(客家) 방언: 이 방언의 명칭은 북방에서 남방으로 이주한 이주민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사용인구는 3천7백여만 명으로 한족의 4% 정도가 되며 광동(廣東)성 동남부에 위치한 매현(梅縣)어가 대표방언지역이다.
⑥(월) 방언: 광동(廣東) 말이라고도 한다. 월()은 본래 월(越)과 음과 의미가 같은 글자로 춘추시 대에 존재했던 越나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명칭이다. 광동성의 객가(客家) 방언지역을 제외한 중부와 서남부지역 광서성의 동남부 및 홍콩, 마카오 등지 그리고, 동남아 화교, 북미화교들 대부분이 월() 방언을 사용한다. 5천 만 명 이상의 사용인구로 한족의 약 5% 가량 된다. 대표 방언지역은 광주(廣州)이다.
⑦민() 방언: 복건(福建)성이 주요지역이며, 광동성의 조주(潮州)산두(汕頭) 지역 해남(海南)성 대부분지역과 절강(浙江)성 남부일부에서 사용하는 방언으로, 이 방언은 중국의 방언 가운데서 가장 복잡하게 여러 갈래로 갈라지며 음도 가장 복잡한 방언이다. 동남아와 남양군도의 화교 중에도 민() 방언을 사용하는 인구가 많으며 타이완은 전체가 방언 지역으로 우리가 보통 “대만말”이라고 부르는 것이 바로 민 방언 중에서도 민남(南) 방언이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사실은 위의 7가지 방언만 해도 56개 민족 중 하나인 한족의 방언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http://blog.naver.com/smncha?Redirect=Log&logNo=150018695956
이제 이에 덧붙여서 나머지 55개 소수민족의 언어에 대해 표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소수 민족
언어
조선족
조선어 사용.
오로첸족
오로첸어가 있으나 문자는 한자 사용.
다우얼족
다두얼어 사용. 문자는 없음.
만족
만어 사용. 만문자 있었으나 거의 소멸.
어원크족
어원커어 사용. 네가지 방언으로 나뉨.
위구족
야오어 사용.
몽골족
자체 언어 소유.
투족
한어와 장족어 통용.
허저족
허저어 사용.
싸라족
싸라어 사용(한어와 유사).
마오난족
장족어, 한어 사용. 자체 언어 소유.
요족
야오어 사용.
써족
셔어 사용. 두가지 방언 (1:99의 비율)
징족
징어 사용. 한자 사용.
투쟈족
투쟈족어 사용. 오늘날 90%가 한어 사용.
고산족
고산족어 사용.
동향족
몽고어와 유사한 동향어 사용.
보안족
보안족어 소유. 대다수가 한어에 능통.
까자흐족
돌궐어족에 속하는 까자흐족어 사용.
시버족
시보어 사용. 시보 문자 소유.
우즈베크족
우즈베커어 사용. 평상시 위구르어 사용.
로씨야족
로씨아어 소유. 대부분 한어 사용.
끼르끼즈족
끼르끼즈족어 사용.
따지크족
따지크족어 사용. 위굴문 사용.
위구르족
위구르족어 사용.
타타얼족
타타얼어 사용. 이외 두 가지 언어 통용.
챵족
챵족어 사용.
푸미족
푸미족어 사용. 다양한 언어 능통. 한자 사용.
나시족
나씨어 사용.
지누족
요우러, 푸위엔 2가지 방언 사용.
와족
와 방언, 뿌라오커 방언, 아와 방언 사용.
라후족
라후시, 라후나 방언 사용. 보통화 사용.
먼빠족
먼빠어 사용.
장족
장어 사용.
로바족
로바족어 사용.
묘족
묘어 사용. 수많은 방언 존재.
바이족
바이어 사용. 한어 사용.
더앙족
더앙족 고유언어 사용.
아창족
아창족 고유 언어 사용. 한어와 따이족어 사용.
두롱족
두롱족 고유 언어 사용. (네 개의 방언)
뚱족
뚱어 사용. 남북 두 개의 방언.
누족
누족어 사용. (꽁샨, 푸꽁, 삐장 3개 방언)
징퍼족
징포어 사용.
수이족
마오난어 사용.
리수족
리쑤어 사용. (차이가 심한 2개의 방언 존재).
따이족
따이어 사용.
이족
이어 사용.
회족
한어 통용.
하니족
하니족 고유 언어 사용.
부이족
부이족 고유 언어 사용.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7.07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31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