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동양윤리교육론>
1. 공자의 도덕교육사상
2. 맹자의 도덕성 이론
3. 순자의 도덕성 이론
<한국윤리교육론>
1. 한국 윤리사상의 형성과 그 핵심 요소
2. 논쟁 중심의 한국 윤리사상사
3. 한국 윤리사상의 도덕 교육론적 쟁점
결론
본론
<동양윤리교육론>
1. 공자의 도덕교육사상
2. 맹자의 도덕성 이론
3. 순자의 도덕성 이론
<한국윤리교육론>
1. 한국 윤리사상의 형성과 그 핵심 요소
2. 논쟁 중심의 한국 윤리사상사
3. 한국 윤리사상의 도덕 교육론적 쟁점
결론
본문내용
정 : 어떤 상황에서 자연적인 도덕적 감정이 느껴진다면, 그것과 관련된 행위 유형을 규범으로 채택해 두어야 할 필요성을 강조 - 외적 도덕성으로서 예를 강조. 자연적, 도덕적 감정이 외물에 응하는 사물에 적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예를 실천해야 하는 이유 : 예를 실천함으로서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 ↔ 도덕적 감정을 기를 수 있는 수단
☞ 인간의 자연적 경향성으로서의 본성과 자연적 감정이 악으로의 가능성을 잉태하고 있지만, 인위를 통해 선의 결과를 낳을 수 있음을 강조. 도덕적 감정으로서 이 선의 싹은 예의 실천을 통해 선으로 자라날 수 있음.
2) 순자의 도덕교육 사상
(1) 도덕 교육의 목적 - 선의 쌓음을 통한 예의의 실현.
(2) 도덕교육의 과정 = 화성기위(化性起僞) - 순자에게 있어 도덕교육의 과정이란 본성을 변화 시키고 인위를 일으켜(化性起僞) ‘악의 싹’을 제거하는 과정. 이 를 위한 조건으로서 ‘조치(환경)’와 ‘쌓음(능동적 학습 노력)’을 중시(= ‘인위’의 작용)하고, 꾸준하고 지속적인 학습과 도덕 수양을 중시했음.
☞ 선을 인위적으로 개인 밖의 환경을 조성하고 스스로 노력, 쌓아 가는 것이 화성기위적 도덕 교육.
(3) 도덕 교육의 기본 내용 = 예(禮)와 악(樂)
①순자의 예(禮) : 인위의 구체적인 현상으로 인성을 교정하여 완전한 인격을 갖추는데 가장 필수적인 것. 인간 감정의 순화와 혼란의 방지를 위해 만든 외재적 사회 규범. 윤리적 질서와 경제적 질서를 유지하여 사회를 안정시키는 역할(공리주의적 입장 - 욕망 자체를 완전히 제거 하려는 것이 목적이 아닌 지나친 욕망추구에 의한 혼란을 방지하려는 것이 목적). 성인의 지각적인 판단에 따른 산물.
- 예(禮)의 기능 : 기름(인간이 타고 태어나는 욕망을 적절한 정도로 기르게 해주고 충족 시켜줄 수 있는 도구로서의 예의 기능), 절제(욕망을 조절하는 것으로 절제. 절제는 마음을 통해서만 가능 하지만 기 기준이 예가 되어야만 함), 나눔(만물의 기준으로서의 예. 자기에게 정해져 있는 직분과 분수를 알 수 있게 하는 분별과 구분의 능력)
②순자의 악(樂) : 악은 즐거움의 표현으로서, 예라는 도리에 알맞을 때 혼란을 막을 수 있고 인간의 착한 마음을 불러 일으켜 사악한 마음에 빠지지 않게 한다고 생각. 악은 인간의 정감에 작용하여 모든 사회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정감의 순화를 통한 화합의 작용을 강조).
(4) 도덕 교육의 원칙
①선행을 쌓아 덕을 이룰 것 : 지속적인 노력으로서 쌓음을 중시. 순자는 인간에게 도덕적인 존재가 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 했으나, 이 능력보다는 자발적 의지가 중요함을 강조 하였다.
②조치와 습속 강조 : 조치와 습속이란 환경을 의미 한다. 순자는 좋은 환경이 인간의 품성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 했다.
③교화와 수신의 강조 : 수양으로서의 교화와 수신.
④치우침을 보충하여 알맞게 할 것 : 인격상의 보완을 보충하여 중도를 지켜야 함을 강조.
(5) 도덕교육의 방법
①배움, 사고, 행위의 결합 : 배우고 생각하는 것을 중시하면서 실천을 지향하는 것.
②대청명(大淸明) : 욕망과 욕구에 의하여 가린 선입견과 편견으로부터의 해방.
③쌓음과 지속적 새김 : 가르침이 점진적인 계획과 단계에 따라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것(순자가 생각한 과정=경전을 읽는데서 시작하고 예를 읽는데서 끝난다).
④스승을 높이고 친구를 사귐 : 순자는 스승은 교육에 결정적인 존재이고 좋은 친구의 도 움이 필요하다고 주장(나를 비판하는 사람이 나의 스승, 나에게 아첨하는 사람은 나의 적).
⑤조절하고 이끎 : 절제되지 않는 감정과 방만한 욕망에 대한 경계로서 조절은 욕망의 조 절과 통제이며, 이끎은 욕망을 적절히 소통시켜 이끌고 가르치는 것.
<한국윤리교육론>
1. 한국 윤리사상의 형성과 그 핵심 요소
우리 한반도를 중심으로 중국과 동남아시아, 일본의 고대 동양사회의 기본 틀은 대체로 일찍부터 정착사회를 이루고 있었던 농촌 공동체이다. 하늘의 섭리를 중시하면서 평생 유지되는 대면적 인간관계의 윤리를 중시할 수밖에 없었던 환경적 요인으로 동아시아 문화는 하늘과 인간의 조화와 인간들 사이의 지속적인 유대를 추구하는 것이 그 특징이 되었다. 이러한 농경중심의 문화는 자연환경이 적합한 곳을 위한 잦은 이동, 유목민들에 의한 파괴와 보완으로 질적인 도약의 계기를 맞게 된다.
중국의 하나라가 은나라에 멸망당한 뒤에 서쪽으로 옮겨가 농경을 더욱 발전시키면서 투박하면서도 하늘의 섭리를 존중하면서 동아시아 문명의 시원을 이루었던 주나라를 세운다. 주나라 중심의 중국 농경문화는 우리 고대사의 단군조선에 해당되며 하늘에 대한 외경과 정착된 촌락 공동체적인 도덕규범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선 문화는 우리 윤리사상의 가장 중요한 원류로서 평가되어야 마땅하다.
1) 단군사상의 형성과 핵심요소
- 단군사상은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수직적인 것으로 평가하던 기존의 생각과 지혜들을 인간과 하늘의 관계로 재정립해서 형성된 하늘 중심의 사상이다.
(1) 단군사상의 형성 과정
① 생존을 위한 기능적인 지혜 축적 단계
생존 본능에 기초해서 살아남기 위한 지혜 차원의 사상을 모든 사상의 시원을 이루는 것이다. 이 지혜는 경험적 검증과정을 거치면서 확고해지기도 하고 새롭고 질적으로 다른 지혜로 대체되기도 한다. 그러나 비체계적이어서 오히려 삶을 영위해가는 현실적인 지침 정도의 역할을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② 자연에 인간이 매몰되어 주변의 자연물을 숭배하는 단계
생존지혜는 인간의 보다 힘 있는 것을 향한 믿음이라는 형태로 전환된다. 자신의 주변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바위, 강, 힘 센 동물을 숭배하는 원시 종교사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것은 샤머니즘의 형태로 발전되고, 이 샤머니즘이 우리를 비롯한 동아시아에서 거의 공통적으로 발견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만 하다.
③ 인간의 새로운 세계 발견으로 눈을 들어 하늘을 보는 단계
귀신의 존재를 믿는 샤머니즘은 귀신과의 소통능력에 따라 특수한 신분을 갖는 사회구조적 변화를 초래한다. 귀신의 뜻을 알고 전달할 수 있다거나, 악한 귀신을
- 예를 실천해야 하는 이유 : 예를 실천함으로서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 ↔ 도덕적 감정을 기를 수 있는 수단
☞ 인간의 자연적 경향성으로서의 본성과 자연적 감정이 악으로의 가능성을 잉태하고 있지만, 인위를 통해 선의 결과를 낳을 수 있음을 강조. 도덕적 감정으로서 이 선의 싹은 예의 실천을 통해 선으로 자라날 수 있음.
2) 순자의 도덕교육 사상
(1) 도덕 교육의 목적 - 선의 쌓음을 통한 예의의 실현.
(2) 도덕교육의 과정 = 화성기위(化性起僞) - 순자에게 있어 도덕교육의 과정이란 본성을 변화 시키고 인위를 일으켜(化性起僞) ‘악의 싹’을 제거하는 과정. 이 를 위한 조건으로서 ‘조치(환경)’와 ‘쌓음(능동적 학습 노력)’을 중시(= ‘인위’의 작용)하고, 꾸준하고 지속적인 학습과 도덕 수양을 중시했음.
☞ 선을 인위적으로 개인 밖의 환경을 조성하고 스스로 노력, 쌓아 가는 것이 화성기위적 도덕 교육.
(3) 도덕 교육의 기본 내용 = 예(禮)와 악(樂)
①순자의 예(禮) : 인위의 구체적인 현상으로 인성을 교정하여 완전한 인격을 갖추는데 가장 필수적인 것. 인간 감정의 순화와 혼란의 방지를 위해 만든 외재적 사회 규범. 윤리적 질서와 경제적 질서를 유지하여 사회를 안정시키는 역할(공리주의적 입장 - 욕망 자체를 완전히 제거 하려는 것이 목적이 아닌 지나친 욕망추구에 의한 혼란을 방지하려는 것이 목적). 성인의 지각적인 판단에 따른 산물.
- 예(禮)의 기능 : 기름(인간이 타고 태어나는 욕망을 적절한 정도로 기르게 해주고 충족 시켜줄 수 있는 도구로서의 예의 기능), 절제(욕망을 조절하는 것으로 절제. 절제는 마음을 통해서만 가능 하지만 기 기준이 예가 되어야만 함), 나눔(만물의 기준으로서의 예. 자기에게 정해져 있는 직분과 분수를 알 수 있게 하는 분별과 구분의 능력)
②순자의 악(樂) : 악은 즐거움의 표현으로서, 예라는 도리에 알맞을 때 혼란을 막을 수 있고 인간의 착한 마음을 불러 일으켜 사악한 마음에 빠지지 않게 한다고 생각. 악은 인간의 정감에 작용하여 모든 사회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정감의 순화를 통한 화합의 작용을 강조).
(4) 도덕 교육의 원칙
①선행을 쌓아 덕을 이룰 것 : 지속적인 노력으로서 쌓음을 중시. 순자는 인간에게 도덕적인 존재가 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 했으나, 이 능력보다는 자발적 의지가 중요함을 강조 하였다.
②조치와 습속 강조 : 조치와 습속이란 환경을 의미 한다. 순자는 좋은 환경이 인간의 품성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 했다.
③교화와 수신의 강조 : 수양으로서의 교화와 수신.
④치우침을 보충하여 알맞게 할 것 : 인격상의 보완을 보충하여 중도를 지켜야 함을 강조.
(5) 도덕교육의 방법
①배움, 사고, 행위의 결합 : 배우고 생각하는 것을 중시하면서 실천을 지향하는 것.
②대청명(大淸明) : 욕망과 욕구에 의하여 가린 선입견과 편견으로부터의 해방.
③쌓음과 지속적 새김 : 가르침이 점진적인 계획과 단계에 따라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것(순자가 생각한 과정=경전을 읽는데서 시작하고 예를 읽는데서 끝난다).
④스승을 높이고 친구를 사귐 : 순자는 스승은 교육에 결정적인 존재이고 좋은 친구의 도 움이 필요하다고 주장(나를 비판하는 사람이 나의 스승, 나에게 아첨하는 사람은 나의 적).
⑤조절하고 이끎 : 절제되지 않는 감정과 방만한 욕망에 대한 경계로서 조절은 욕망의 조 절과 통제이며, 이끎은 욕망을 적절히 소통시켜 이끌고 가르치는 것.
<한국윤리교육론>
1. 한국 윤리사상의 형성과 그 핵심 요소
우리 한반도를 중심으로 중국과 동남아시아, 일본의 고대 동양사회의 기본 틀은 대체로 일찍부터 정착사회를 이루고 있었던 농촌 공동체이다. 하늘의 섭리를 중시하면서 평생 유지되는 대면적 인간관계의 윤리를 중시할 수밖에 없었던 환경적 요인으로 동아시아 문화는 하늘과 인간의 조화와 인간들 사이의 지속적인 유대를 추구하는 것이 그 특징이 되었다. 이러한 농경중심의 문화는 자연환경이 적합한 곳을 위한 잦은 이동, 유목민들에 의한 파괴와 보완으로 질적인 도약의 계기를 맞게 된다.
중국의 하나라가 은나라에 멸망당한 뒤에 서쪽으로 옮겨가 농경을 더욱 발전시키면서 투박하면서도 하늘의 섭리를 존중하면서 동아시아 문명의 시원을 이루었던 주나라를 세운다. 주나라 중심의 중국 농경문화는 우리 고대사의 단군조선에 해당되며 하늘에 대한 외경과 정착된 촌락 공동체적인 도덕규범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선 문화는 우리 윤리사상의 가장 중요한 원류로서 평가되어야 마땅하다.
1) 단군사상의 형성과 핵심요소
- 단군사상은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수직적인 것으로 평가하던 기존의 생각과 지혜들을 인간과 하늘의 관계로 재정립해서 형성된 하늘 중심의 사상이다.
(1) 단군사상의 형성 과정
① 생존을 위한 기능적인 지혜 축적 단계
생존 본능에 기초해서 살아남기 위한 지혜 차원의 사상을 모든 사상의 시원을 이루는 것이다. 이 지혜는 경험적 검증과정을 거치면서 확고해지기도 하고 새롭고 질적으로 다른 지혜로 대체되기도 한다. 그러나 비체계적이어서 오히려 삶을 영위해가는 현실적인 지침 정도의 역할을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② 자연에 인간이 매몰되어 주변의 자연물을 숭배하는 단계
생존지혜는 인간의 보다 힘 있는 것을 향한 믿음이라는 형태로 전환된다. 자신의 주변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바위, 강, 힘 센 동물을 숭배하는 원시 종교사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것은 샤머니즘의 형태로 발전되고, 이 샤머니즘이 우리를 비롯한 동아시아에서 거의 공통적으로 발견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만 하다.
③ 인간의 새로운 세계 발견으로 눈을 들어 하늘을 보는 단계
귀신의 존재를 믿는 샤머니즘은 귀신과의 소통능력에 따라 특수한 신분을 갖는 사회구조적 변화를 초래한다. 귀신의 뜻을 알고 전달할 수 있다거나, 악한 귀신을
추천자료
청소년교육론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원인과 실상 대책 방안
[유아전통교육][유아통일교육][유아환경교육][유아경제교육][유아컴퓨터윤리교육][유아미술관...
[지역사회교육론 - 4학년공통]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교육 부문에서 지역의 발전을 위해 ...
[평생교육론]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의 심리학적 배경 - 성인학습자에 대한 발달심리...
[중간과제] 방통대 과제 가족교육론 가족변화 - 사회와 시대의 변화가 ‘가족’의 개념과 특징...
비교유아교육론 - 이스라엘의 유아교육
[노인교육론] 노인교육프로그램 하나를 선정하여 (1) 현황, 내용, 교육방법 등을 조사하여 기...
다문화교육론, 살아있는 다문화교육 이야기 독후감
<지역사회교육론> 방송대 성인학습자가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교육 발전을 위해 참여한 사...
가족교육론 이혼 한부모 대상 가족교육 프로그램
평생교육론 REPORT
아동교육론)아동 교육 프로그램 중 한개를 선정하여 프로그램의 내용 특징 교사의 역할 장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