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우리의 찬양은 대단히 활기가 있었다. 하나님을 찬미하는 노래에서 이렇게 많은 은혜를 받고 우리의 영혼이 이처럼 하나님의 방식대로 고양되는 예배가 거의 없었다. John Gillies, 18세기의 위대한 영적 부흥, 김남준 역, (서울: 도서출판 솔로몬, 1992), 111-13.
그러나 이러한 부흥의 열기는 1735년 이후 얼마 동안 소강상태에 있다가 1740년부터 다시 시작된다. 이 후반기의 부흥운동은 그의 유명한 설교인 ‘진노하신 하나님의 손안에 붙잡힌 죄인들(the sinners in the hands of angry God)\'을 엔필드라는 마을에서 증거함으로써 시작된다. 특히 이 후반기의 부흥운동은 영국에서 온 조지 휫필드(George Whitefield, 1714-70)의 활동과 함께 이루어진다. 그리고 에드워드는 교회에서뿐 아니라 미국 전역을 돌며 하버드와 예일에서 설교했고 윌리엄 테넌트와 ’통나무 대학‘의 출신자들과도 협력함으로 그 부흥을 확장시켰다. 하지만 이 후반기의 부흥운동은 조지 휫필드의 사역을 중심으로 미국 13개주 전역에 확장되게 된다.
조지 휫필드는 1738년부터 1770년까지 미국으로 7번의 선교여행을 감행하였다. 그는 먼저 영국에서 야외설교를 처음으로 시도하여 대단한 호응을 얻고 엄청난 부흥의 역사를 영국에 가져다주는 하나님의 도구가 되었다. 그런 그의 첫 번째 미국 방문은 1738년의 일이었고 이 사역은 웨슬리가 실패한 사역을 인계받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웨슬리의 실패한 사역이란 바로 고아원 사역이었는데, 처음의 잠시 조지아를 방문한 것은 그의 사역을 시작할 기초 준비를 하며, 고아원을 창설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런데 그가 미국에서 돌아 왔을때 태반의 영국 국교회 성직자들이 더 이상 그를 선호하지 않게 되었다. 그 이유는 이미 참례를 받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거듭남’에 대해 강렬하게 설교하고 다닌다는 것이 그들의 미움을 산 것이었다. 그결과 그는 국교회로부터 공공연하게 비난을 받았으며 더 이상 교회의 강단에도 설 수 없게 되었다. Winky Tratny, 기독교 부흥운동사, 권혁재 역, (서울: 종합선교 나침반, 1997), 90.
그의 사역이 영국의 국교회의 성직자들과의 마찰로 힘을 잃자 그는 미국으로 그의 사역의 발을 돌리게 된다. 두 번째의 방문은 다음해 8월이었으며, 그는 Delaware의 Lewes에 상륙하였다. 휫필드가 두 번째 방문한 시기가 책마다 다른 것을 보게 된다. 김광채 교수는 1739-1741년 사이를 보다가 1739년이라고 단정하고 그의 방문에 의하여 미국 전역에의 확장의 계기라고 말한다. 하지만 김해연 목사는 1740년 9월로 보며 이 시기가 대각성운동이 끝날 무렵이라는 주장을 한다.(기독교근세사, 158.)
그는 보스턴으로 그의 사역을 옮기면서 18개월간 성공적인 사역을 행하여 30개소의 종교단체가 형성되었고, 교회들이 형성되었으며 예배는 규칙적으로 집에서 행해졌다. 그 다음 3년이내에 약 150여개소의 교회가 각성운동의 영향을 받았으며 뉴잉글랜드뿐만 아니라 뉴저지, 펜실베니아, 메릴랜드, 버지니아에서도 이 영향을 받았다. 김해연, 기독교 근세사, (서울: 은영출판사, 1995), 158.
그는 테넌트와 에드워즈를 만나서 교제의 기쁨을 누리며 이 부흥사역을 함께 행함으로서 미국 전지역으로 확장하게 된다.
또한 중부의 여러 식민지주의 장로교인들은 신앙부흥의 불길을 남부지방으로 전달했다. 사무엘 데이비스(Samuel Davies, 1723-61)는 버지니아의 하노버 카운티에서 장로교인들을 이끄는 지도자가 되었다. 이것은 그가 자신의 독서실에서 이웃 사람들에게 종교 서적을 읽어준 데서부터 시작되었다. 남부 지방의 침례교 신앙부흥은 뉴잉글랜드지방의 다니엘 마살(Daniel Marshall)과 슈발 스턴즈(Shubal Sterns, 1706-71)의 사역 덕분이었다. 이형기, 세계교회사,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4), 176.
스턴즈와 마살과 그의 추종자들을 특징지은 복음전도의 정신은 남부의 침례교의 계속적인 성장에 상당한 자극을 주었다. 이러한 부흥은 미국혁명의 전 기간을 통하여 버지니아주와 캘로라이나주에서까지 계속되었다. 따라서 모든 식민지에서 침례교는 급속히 성장했다. Robert A. Baker, 침례교발전사. 허긴 역 (서울: 침례회출판사, 1991), 93.
이 후반기의 부흥활동은 매우 강력한 외적인 종교적 흥분을 자아냈는데 그 결과 남자들은 마치 총맞은 것처럼 쓰러지고 여자들이 신경질적(hysterical)으로 변하는 것이 당연시 되기도 했다. 당시의 이러한 모습을 조나단 에드워드가 프린스목사에게 보내는 편지를 통하여 볼 수 있다.
신앙고백을 한 많은 젊은이들과 어린이들은 하나님의 위대함과 영광의 느낌, 이웃에 대한 정의와 사랑, 기쁨, 찬미, 연민에 사로잡힌 것처럼 보였습니다. 동시에 많은 사람들은 자신들의 죄악과 영혼의 비참한 상태에서 오는 억압을 이기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방안은 외침과 졸도로 가득했습니다. ... 많은 어린이들은 극도의 감동을 받아서 방안은 울음 소리로 가득했습니다. ... 8, 9월은 이 해에서 가장 두드러진 달이었습니다. 죄인들의 회개와 죄에 대한 확신, 굉장한 부흥, 활기, 형식적이던 신자들의 영적인 변화를 경험하자 위로를 받게 된 것, 이일들의 특별한 외적 반응이 나타났습니다. 어떤 집의 울음, 졸도, 격동과 같은 것으로 가득한 것은 매우 빈번한 일이었습니다. ... 그리고 일종의 입신상태에 들어가서 약 24시간 동안 움직이지도 않고 감각이 정지된 사례도 있었습니다. John Gillies, 18세기의 위대한 영적 부흥, 김남준 역, (서울: 도서출판 솔로몬, 1992), 418-23.
이러한 대각성운동이 전지역으로 확장되면서 그 반대운동도 만만치 않게 이루어 졌다. 부흥운동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부흥집회가 예배의 엄숙성을 훼손시키고 진정한 경건과 학문 대신에 감정만을 부채질한다는 비난을 퍼부었다. 그래서 부흥운동은 차츰 식어지고 반대파와의 교리논쟁 위주로의 변화를 갖게 된다. 특히 에드워즈는 반대파의 영향으로 1750년 그의 교회인 노스햄tm턴교회에서
그러나 이러한 부흥의 열기는 1735년 이후 얼마 동안 소강상태에 있다가 1740년부터 다시 시작된다. 이 후반기의 부흥운동은 그의 유명한 설교인 ‘진노하신 하나님의 손안에 붙잡힌 죄인들(the sinners in the hands of angry God)\'을 엔필드라는 마을에서 증거함으로써 시작된다. 특히 이 후반기의 부흥운동은 영국에서 온 조지 휫필드(George Whitefield, 1714-70)의 활동과 함께 이루어진다. 그리고 에드워드는 교회에서뿐 아니라 미국 전역을 돌며 하버드와 예일에서 설교했고 윌리엄 테넌트와 ’통나무 대학‘의 출신자들과도 협력함으로 그 부흥을 확장시켰다. 하지만 이 후반기의 부흥운동은 조지 휫필드의 사역을 중심으로 미국 13개주 전역에 확장되게 된다.
조지 휫필드는 1738년부터 1770년까지 미국으로 7번의 선교여행을 감행하였다. 그는 먼저 영국에서 야외설교를 처음으로 시도하여 대단한 호응을 얻고 엄청난 부흥의 역사를 영국에 가져다주는 하나님의 도구가 되었다. 그런 그의 첫 번째 미국 방문은 1738년의 일이었고 이 사역은 웨슬리가 실패한 사역을 인계받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웨슬리의 실패한 사역이란 바로 고아원 사역이었는데, 처음의 잠시 조지아를 방문한 것은 그의 사역을 시작할 기초 준비를 하며, 고아원을 창설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런데 그가 미국에서 돌아 왔을때 태반의 영국 국교회 성직자들이 더 이상 그를 선호하지 않게 되었다. 그 이유는 이미 참례를 받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거듭남’에 대해 강렬하게 설교하고 다닌다는 것이 그들의 미움을 산 것이었다. 그결과 그는 국교회로부터 공공연하게 비난을 받았으며 더 이상 교회의 강단에도 설 수 없게 되었다. Winky Tratny, 기독교 부흥운동사, 권혁재 역, (서울: 종합선교 나침반, 1997), 90.
그의 사역이 영국의 국교회의 성직자들과의 마찰로 힘을 잃자 그는 미국으로 그의 사역의 발을 돌리게 된다. 두 번째의 방문은 다음해 8월이었으며, 그는 Delaware의 Lewes에 상륙하였다. 휫필드가 두 번째 방문한 시기가 책마다 다른 것을 보게 된다. 김광채 교수는 1739-1741년 사이를 보다가 1739년이라고 단정하고 그의 방문에 의하여 미국 전역에의 확장의 계기라고 말한다. 하지만 김해연 목사는 1740년 9월로 보며 이 시기가 대각성운동이 끝날 무렵이라는 주장을 한다.(기독교근세사, 158.)
그는 보스턴으로 그의 사역을 옮기면서 18개월간 성공적인 사역을 행하여 30개소의 종교단체가 형성되었고, 교회들이 형성되었으며 예배는 규칙적으로 집에서 행해졌다. 그 다음 3년이내에 약 150여개소의 교회가 각성운동의 영향을 받았으며 뉴잉글랜드뿐만 아니라 뉴저지, 펜실베니아, 메릴랜드, 버지니아에서도 이 영향을 받았다. 김해연, 기독교 근세사, (서울: 은영출판사, 1995), 158.
그는 테넌트와 에드워즈를 만나서 교제의 기쁨을 누리며 이 부흥사역을 함께 행함으로서 미국 전지역으로 확장하게 된다.
또한 중부의 여러 식민지주의 장로교인들은 신앙부흥의 불길을 남부지방으로 전달했다. 사무엘 데이비스(Samuel Davies, 1723-61)는 버지니아의 하노버 카운티에서 장로교인들을 이끄는 지도자가 되었다. 이것은 그가 자신의 독서실에서 이웃 사람들에게 종교 서적을 읽어준 데서부터 시작되었다. 남부 지방의 침례교 신앙부흥은 뉴잉글랜드지방의 다니엘 마살(Daniel Marshall)과 슈발 스턴즈(Shubal Sterns, 1706-71)의 사역 덕분이었다. 이형기, 세계교회사,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4), 176.
스턴즈와 마살과 그의 추종자들을 특징지은 복음전도의 정신은 남부의 침례교의 계속적인 성장에 상당한 자극을 주었다. 이러한 부흥은 미국혁명의 전 기간을 통하여 버지니아주와 캘로라이나주에서까지 계속되었다. 따라서 모든 식민지에서 침례교는 급속히 성장했다. Robert A. Baker, 침례교발전사. 허긴 역 (서울: 침례회출판사, 1991), 93.
이 후반기의 부흥활동은 매우 강력한 외적인 종교적 흥분을 자아냈는데 그 결과 남자들은 마치 총맞은 것처럼 쓰러지고 여자들이 신경질적(hysterical)으로 변하는 것이 당연시 되기도 했다. 당시의 이러한 모습을 조나단 에드워드가 프린스목사에게 보내는 편지를 통하여 볼 수 있다.
신앙고백을 한 많은 젊은이들과 어린이들은 하나님의 위대함과 영광의 느낌, 이웃에 대한 정의와 사랑, 기쁨, 찬미, 연민에 사로잡힌 것처럼 보였습니다. 동시에 많은 사람들은 자신들의 죄악과 영혼의 비참한 상태에서 오는 억압을 이기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방안은 외침과 졸도로 가득했습니다. ... 많은 어린이들은 극도의 감동을 받아서 방안은 울음 소리로 가득했습니다. ... 8, 9월은 이 해에서 가장 두드러진 달이었습니다. 죄인들의 회개와 죄에 대한 확신, 굉장한 부흥, 활기, 형식적이던 신자들의 영적인 변화를 경험하자 위로를 받게 된 것, 이일들의 특별한 외적 반응이 나타났습니다. 어떤 집의 울음, 졸도, 격동과 같은 것으로 가득한 것은 매우 빈번한 일이었습니다. ... 그리고 일종의 입신상태에 들어가서 약 24시간 동안 움직이지도 않고 감각이 정지된 사례도 있었습니다. John Gillies, 18세기의 위대한 영적 부흥, 김남준 역, (서울: 도서출판 솔로몬, 1992), 418-23.
이러한 대각성운동이 전지역으로 확장되면서 그 반대운동도 만만치 않게 이루어 졌다. 부흥운동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부흥집회가 예배의 엄숙성을 훼손시키고 진정한 경건과 학문 대신에 감정만을 부채질한다는 비난을 퍼부었다. 그래서 부흥운동은 차츰 식어지고 반대파와의 교리논쟁 위주로의 변화를 갖게 된다. 특히 에드워즈는 반대파의 영향으로 1750년 그의 교회인 노스햄tm턴교회에서
추천자료
운동과 영양, 운동과 환경
민중운동과 시민운동의 관계맺음
5.4운동시기의 여성해방운동
해방이후의 사회운동-반탁운동
[언론시장][언론][언론개혁][언론개혁운동][한국 언론개혁 운동][언론개혁 과제][언론시장 상...
운동의_효과와_올바른_운동방법
[언론, 권리, 언론 커뮤니케이션권리, 언론 알 권리, 언론 권리운동, 언론 저작권, 커뮤니케...
한국시민사회의 역사, 특징, 한국시민사회의 발전과정, 한국시민사회의 정치세력화, 한국시민...
5 18광주민중항쟁(5 18광주민주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배경,5 18광주민중항쟁(5 18광주민...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항일무장 운동 단체(조선혁명군과 한국독립군)
건강을 위한 본인이 하고 있는 운동이나 앞으로 하고싶은 운동에 대한 효과 및 건강을 위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