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콘텐츠, 디지털 아카이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 콘텐츠, 디지털 아카이브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 문화와 문화콘텐츠, 디지털 아카이브의 정의

II. 본론
1. 문화콘텐츠, 디지털 아카이브의 활용
2. 디지털 아카이브의 성공사례

III. 결론
1. 새로운 소재의 발굴
2. 우수한 문화원형 콘텐츠의 개발, 인재양성, 그리고 우리 사회의 관심

본문내용

어마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혹시, 21세기에 한국이 입헌 군주제를 채택하고 이에 따라 황실이 존속한다는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드라마 ‘궁’을 기억 하는가. 이 드라마의 원작은 만화이지만, ‘전통과 현대의 조화로운 만남’을 기반으로 한국적 콘텐츠의 전범을 보여주었던 ‘궁’은 외주 제작사가 투자한 15억원으로 실내 세트를 구성했으며, 추가로 2억원을 더 들여 황태자비의 의상을 포함해 화려한 전통 궁중 의상과 전통 한복 등을 조사해 수십 수백 벌의 의상을 만들어 볼거리를 제공했다. 그러나 궁은 정작 경복궁을 비롯한 서울 시내 궁궐의 빼어난 풍광은 드라마에 담지 못했다. 문화재청 촬영심의에서 만장일치로 촬영 불가 판정을 받았기 때문인데, 드라마 성격이 문화재의 역사성에 전혀 맞지 않기 때문에 촬영을 허가할 수 없다는 게 문화재청 궁릉 관리 관계자 측의 입장이었다고 한다. 이는 2004년 경복궁 경회루 앞뜰에서 수백명의 인원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던 국제검사협회 전체 총회 공식 만찬과 대비되는 경우인데, 당시 참석자들에게 흡연까지 허용해 특혜 시비가 일자 문화재청이 “한국 전통문화를 널리 소개하기 위해서였다”고 해명한 사실에 비하면 ‘궁’의 촬영 불허는 문화 콘텐츠에 대한 우리 사회의 척박한 인식 수준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도 할 수 있겠다.
나 또한 좋은 드라마나 영화는 그 모티프를 갖고 있는 역량 있는 작가들의 탄탄한 스토리와 시나리오로 이루어진다고만 알고 있었고, 그렇게 믿었고, 그런 좋은 글을 창작해야겠다고만 생각했지 한 번도 ‘문화원형 소재’를 중요하게 생각해본 적은 없었다. 또한 그렇게 성공한 영화나 드라마가 내수 시장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나아가 해외에 진출하면서 소위 한류 열풍을 일으키며 고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사실을 눈으로 귀로 보고 듣기만 했다. 실제로 그것이 얼마나 대단한 일인지는 체감할 수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제 문화의 중심이 ‘스타’에서 ‘전통문화원형’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말이 무슨 말인지 이해하게 되었다. 한국과 아시아의 전통문화 뿌리에서 한류를 지속할 원동력, 우리 문화원형에 있는 흥미로운 소재를 발굴하고, 새로운 원천 소스 확보의 중요성도 알게 되었다. 잘 만들어낸 한 줄기의 문화 콘텐츠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바야흐로 디지털 문화산업의 시대가 도래 했다. 문화 강국 대한민국! 그 바탕에는 우리 사회의 지대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점을 새삼 강조하면서 이 글을 끝맺고자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8.07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56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