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사회 문화적 배경
3. 교육적 상황
1) 초기 고대 그리스 교육 : 호메로스(Homeros)의 시대의 교육
2) 스파르타의 교육
3) 아테네의 교육
(1) 전기 아테네 교육
(2) 후기 아테네 교육
참고문헌
2. 사회 문화적 배경
3. 교육적 상황
1) 초기 고대 그리스 교육 : 호메로스(Homeros)의 시대의 교육
2) 스파르타의 교육
3) 아테네의 교육
(1) 전기 아테네 교육
(2) 후기 아테네 교육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아테네 등 도시국가에서의 민주정체 설립은 말의 문화를 형성케 하는 중요한 배경 중 하나이다. 전통적으로도 그리스인들은 호메로스의 서사시 주인공들의 웅변을 반복하여 듣고 자라났고, 아고라에서의 생활도 토론을 즐기는 문화였고 그만큼 말이 중요했다. 정치개혁에 따라 정치적으로 강자가 되고자 하는 이들은 민회나 법정에서 다수의 설득할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했고, 이 능력의 소지여부가 공적 사적 생활에서 성공의 열쇠였다. 기원전 5세기 후반 아테네에 모여든 소피스트(sophists : 지혜로운 자)는 이 같은 성공의 열쇠가 되는 능력 혹은 덕(arete)을 가르쳐 줄 수 있다고 공언했던 사람들이었다. 정치가 및 연설가의 덕을 가르쳐 준다고 주장한 소피스트들은 고등교육을 받지 않은 부유한 젊은이들을 새 민주주의의 힘있는 자리에 들어가도록 준비시키는 일을 했다. 수사학의 분야가 발달하게 된 이유도 이 같은 정치적 배경을 두고 있다.
당시 소년기의 음악과 체조 학교를 나오고 나면, 16세에서 18세에 이르는 젊은이들에게 고등교육이 없는 셈이었다. 소피스트들의 출현과 성공은 이 같은 고등교육의 부재와도 맞물려 있다. 소피스트들은 여행하는 강사들로 주로 언어기술과 백과사전적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 최초의 직업교사들은 교육혁신을 일으켰는데 그 들은 새롭게 등장한 부유층의 청년들을 급속하게 끌어 들였다. 소피스트들은 사실이나 김나지온이나 거리에서 학생을 모아 지식을 가르쳤고 언어와 문학의 문법적, 수사학적 훈련을 실시하였다. 그들의 교육은 매우 성공적이었고 수업료도 매우 비싼 편이었으나 아테네 부유층 청년들은 앞다투어 이들의 교육을 원했다.
소피스트들은 대개 그리스의 여러 식민지로부터 지식을 팔려는 외국인 학자들이었다. 이들은 절대적인 진리를 부정하고 정치적 사회적 출세를 위한 교양과 웅변술의 숙련을 강조하고 전통을 비판하고 새로운 교육내용을 가르쳤다. 이들은 아테네를 중심으로 여러 도시를 순회하면서 지식을 원하는 이에게 보수를 받고 웅변술과 처세술을 비롯하여 수사학, 정치학, 기하학 및 철학 등을 가르쳤다. 소피스트들은 주관적 가치와 객관적 사실 사이의 차이를 강조하였고, 선과 악은 개인이 결정해야 할 문제이지 자연의 사실문제가 아니라고 보았다.
그와 같은 입장 때문에 소피스트들은 전통적 신념과 태도를 배격하고, 급진적이고 회의적인 질문을 하여 허무주의와 도덕적 상대주의를 확산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장기간의 전쟁 때문에 더욱 추진되었다. 도덕, 전통, 신앙 등을 합리적으로 분석하고 수정·부인하는 소피스트들의 태도는 당시 사회에서 매우 혁신적인 것이었다.
많은 그리스 성인들은 소피스트에 대해 혐오와 의혹의 눈길을 감추지 않았다. 더구나 단순한 회의론에 빠져 깊은 내성과 진리의 탐구를 소홀히 하고 논쟁에 이기기 위한 궤변술에만 힘을 기울이는 소피스트들을 맹렬히 비난하였다.
이 시기에 음악교사(키타리스테스 kitharistes)에 의한 음악교육과 문자교육이 분리되어 후자는 문자교사(그라미티스테스 grammatistes)에 의해 담당하게 되었다. 이 시기 사장(詞章) 교육의 발달이 소년의 교육에도 반영되었던 것이다.
소피스트들은 그 나름으로 교육에 기여한 바가 크다고 하겠다. 제1세대 소피스트들은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가르쳤다. 부재했던 고등수준교육을 위해 주로 문법, 수사학(언어의 사용기술), 변증법(모든 것을 고려한 후 어느 견해가 더 좋은지를 본인 자신이 주관적 개인적으로 결정하게 함), 기하학 등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가르쳤다.
제2세대 소피스트들은 학교를 세워 교육하였다. 이소크라테스가 플라톤의 아카데미아보다 앞서 학교를 세웠다. 각각은 수사학과 철학을 중심으로 하여 학교조직을 발전시켰다. 많은 젊은이들이 값비싼 수업료를 내면서도 그의 가르침을 받고자 찾아와 성황을 이루었다.
소피스트에 대한 평가가 부정적인 것은 그들에 대한 기록이 주로 플라톤의 저작을 통해서 남아 있기 때문이다. 플라톤은 기본적으로 그들과는 정반대의 입장에 있었고, 그들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소피스트의 주관적, 상대적 관점을 비판하고,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관점을 추구하였다.
소피스트의 등장과 함께 아테네 교육은 기사교육의 뿌리를 잃게 되었다. 이제 그리스 교육은 스포츠의 가치보다 지적인 것의 문제가 중요시되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Albert Reble, 서양교육사, 문음사
조경원·김미환·최양미·장선희·정광희 공저, 서양교육의 이해-역사와 사상, 교육과학사
당시 소년기의 음악과 체조 학교를 나오고 나면, 16세에서 18세에 이르는 젊은이들에게 고등교육이 없는 셈이었다. 소피스트들의 출현과 성공은 이 같은 고등교육의 부재와도 맞물려 있다. 소피스트들은 여행하는 강사들로 주로 언어기술과 백과사전적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 최초의 직업교사들은 교육혁신을 일으켰는데 그 들은 새롭게 등장한 부유층의 청년들을 급속하게 끌어 들였다. 소피스트들은 사실이나 김나지온이나 거리에서 학생을 모아 지식을 가르쳤고 언어와 문학의 문법적, 수사학적 훈련을 실시하였다. 그들의 교육은 매우 성공적이었고 수업료도 매우 비싼 편이었으나 아테네 부유층 청년들은 앞다투어 이들의 교육을 원했다.
소피스트들은 대개 그리스의 여러 식민지로부터 지식을 팔려는 외국인 학자들이었다. 이들은 절대적인 진리를 부정하고 정치적 사회적 출세를 위한 교양과 웅변술의 숙련을 강조하고 전통을 비판하고 새로운 교육내용을 가르쳤다. 이들은 아테네를 중심으로 여러 도시를 순회하면서 지식을 원하는 이에게 보수를 받고 웅변술과 처세술을 비롯하여 수사학, 정치학, 기하학 및 철학 등을 가르쳤다. 소피스트들은 주관적 가치와 객관적 사실 사이의 차이를 강조하였고, 선과 악은 개인이 결정해야 할 문제이지 자연의 사실문제가 아니라고 보았다.
그와 같은 입장 때문에 소피스트들은 전통적 신념과 태도를 배격하고, 급진적이고 회의적인 질문을 하여 허무주의와 도덕적 상대주의를 확산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장기간의 전쟁 때문에 더욱 추진되었다. 도덕, 전통, 신앙 등을 합리적으로 분석하고 수정·부인하는 소피스트들의 태도는 당시 사회에서 매우 혁신적인 것이었다.
많은 그리스 성인들은 소피스트에 대해 혐오와 의혹의 눈길을 감추지 않았다. 더구나 단순한 회의론에 빠져 깊은 내성과 진리의 탐구를 소홀히 하고 논쟁에 이기기 위한 궤변술에만 힘을 기울이는 소피스트들을 맹렬히 비난하였다.
이 시기에 음악교사(키타리스테스 kitharistes)에 의한 음악교육과 문자교육이 분리되어 후자는 문자교사(그라미티스테스 grammatistes)에 의해 담당하게 되었다. 이 시기 사장(詞章) 교육의 발달이 소년의 교육에도 반영되었던 것이다.
소피스트들은 그 나름으로 교육에 기여한 바가 크다고 하겠다. 제1세대 소피스트들은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가르쳤다. 부재했던 고등수준교육을 위해 주로 문법, 수사학(언어의 사용기술), 변증법(모든 것을 고려한 후 어느 견해가 더 좋은지를 본인 자신이 주관적 개인적으로 결정하게 함), 기하학 등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가르쳤다.
제2세대 소피스트들은 학교를 세워 교육하였다. 이소크라테스가 플라톤의 아카데미아보다 앞서 학교를 세웠다. 각각은 수사학과 철학을 중심으로 하여 학교조직을 발전시켰다. 많은 젊은이들이 값비싼 수업료를 내면서도 그의 가르침을 받고자 찾아와 성황을 이루었다.
소피스트에 대한 평가가 부정적인 것은 그들에 대한 기록이 주로 플라톤의 저작을 통해서 남아 있기 때문이다. 플라톤은 기본적으로 그들과는 정반대의 입장에 있었고, 그들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소피스트의 주관적, 상대적 관점을 비판하고,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관점을 추구하였다.
소피스트의 등장과 함께 아테네 교육은 기사교육의 뿌리를 잃게 되었다. 이제 그리스 교육은 스포츠의 가치보다 지적인 것의 문제가 중요시되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Albert Reble, 서양교육사, 문음사
조경원·김미환·최양미·장선희·정광희 공저, 서양교육의 이해-역사와 사상, 교육과학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