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손가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고찰 (개념, 현황, 문제점, 해결방안 등)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손가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고찰 (개념, 현황, 문제점, 해결방안 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조손가정의 개념
2. 조손가정의 현황 및 실태
1) 조손가족의 현황
2) 조손가정의 생활실태
(1) 경제적 실태
(2) 양육 및 교육 실태
(3) 주거생활 실태
(4)조손가정의 신체적· 정서적 건강실태
3. 조손가정의 발생원인
1) 모의 가출 및 부모의 이혼
2) 부의 음주습관으로 인한 부부 갈등
3) 생계유지 맞벌이
4. 조손가정의 문제점
5.조손가정의 욕구
1) 수급권자 책정과 의료비에 대한 욕구
2) 가족 및 지역사회 자원에 대한 욕구
3)경제적 자립에 대한 욕구
6. 조손가정에 대한 정책과 서비스
7. 조손가정의 문제점의 해결방안
1)경제적 지원
2) 손자녀양육 및 교육 프로그램
3)심리적 사회적 지지
4)조손세대 역량강화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래서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조손가정의 손길은 빠를수록 당연한 정책이라 할 것이다. 사실인즉 조손가정은 전국적으로 대략 4만여 가구로 추정되고있다 한다. 실제로 전남도의 경우 지난해 연말을 기준 조부모가정 현황 조사 결과를 보면 총 4,649세대에 아동 6,763명이라고 했다.아울러 가정위탁아동 및 소년소녀가정 또한 1,226세대 1,843명이라는 결과가 말해주듯 많고 적음의 지원을 떠나 체계적인 대책을 마련 이들을 적극 보호에 나서야 한다는 여론에 귀를 기울려야 할 것이다. 다행이라고나 할까. 최근 순천시가 조손가정 297세대 중 양육보조금을 지원 받지 못하고있는 116세대에 양육어린이 수를 기준 1인당 3만원을 지원한다니 그나마 위안은 된다. 이렇게 우리 주변에 상존한 문제점들이 말해주 듯 출산 이후의 철저한 대책마련이 외면되는 한 정부나 지자체가 시행중인 출산 장려 정책은 성공하기 어렵다는 결과로 요약 되고 있을 뿐이다. 때문에 조손가정에 대한 보호 대책마련은 시급하다 할 것이다.
출처 : 순천인터넷뉴스 관리자 김만석
[출처] 조손가정 복지사각 지대|작성자 전남뉴스
http://blog.naver.com/mskim55515?Redirect=Log&logNo=60035523764
본론
1. 조손가정의 개념
조손가정 : 조손가정이란 손자나 손녀가 부모 없이 할아버지, 할머니 또는 외할아버지, 외할머니와 함께 사는 가정을 말한다. 조부모 가정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손 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 가정에 대한 공식적인 개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조부모- 손자녀 가정, 조손가정, 할머니, 할아버지 가장 세대 등으로 불리어지고 있다.
조부모가 손 자녀를 양육하는 유형을 살펴보면, 조부모와 부모, 손 자녀가 함께 살든지 또는 조부모와 따로 살지만 가까이 있어서 부모가 근무하는 시간 동안만 조부모가 손자녀를 돌보는 것이고 다른 한 유형은 멀리 떨어져 살고 있는 조부모 또는 친인척에게 자녀를 보내어 양육을 하게 하는 경우이다. 멀리 떨어져 살고 있는 조부모나 친인척에게 자녀를 보내어 양육하는 경우, 부정적인 가족 문제로 취급하지는 않지만, 이 형태도 일종의 가족 해체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미국의 경우에도 조부모손자녀 세대는. custodial care 와 coresidence 등 2가지 형태로 구분하고 있다. custodial care 는 조부모가 유일한 보호자로, 약물남용, 십대의 임신, 에이즈. 이혼 등으로 부모가 자녀를 더 이상 보호할 수 없을 때 발생하며, ciresidence 는 부모와 아동이 조부모 세대와 함께 살고 있는 형태를 말한다. custodial care 형태로 살고 있는 부모세대 결손가정은 실직, 아동학대 및 방임, 십대임신, 에이즈. 약물 중독 등과 같은 사회적, 건강상의 문제 등의 복합적인 문제들로 인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 현재 약 80만 가구 150만명이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을 받고 있고 그중 5만여 가구가 빈곤한 조부모 손자손녀세대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된다. 가족해체의 상태가 아닌 일반적인 가정에서 조부모가 손 자녀를 양육하고 있을 때 조부모의 역할에 의해서 손 자녀들으 l인성에 미치는 영향들은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이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연구보고 되었다. 결손가정의 아동이 독립세대로 사는 것 보다 조부모와 함께 사는 것이 아동복지 측면에서 안정적일수 있으며 전선재도 소년소녀가장세대의 경우 조부모와 함께 사는 것이 정서적으로 안정적이라고 하였다. 조부모가 양육하는 아이들은 편부모가 양육하는 아이들보다 건강, 성적, 품행에 있어서 보다 잣다는 연구결과도 있으나. 그들이 일반자녀보다 발달이 지체되고 정서적으로 심각한 문제에 빠질 염려가 있다는 것도 입증되었다. 이는 보주모가 양육하였기 때문이라기 보다는 그들이 문제가 있는 부모의 환경에서 태어나서 성장하였기 때문으로 해석되고 있다.
조부모가 성인자녀를 대신하여 부모역할을 하는 것은 여가, 우정, 일, 건강 그리고 재정과 같은 조부모 삶의 모든 측면을 변화시킨다. 대리 부모 역할을 맡은 조부모 가정은 조부모의 선택사항이기 보다는 손자녀를 보호해야 하는 불가피 한 책임과 부담으로 이어지기 쉽다.
2. 조손가정의 현황 및 실태
1) 조손가족의 현황
①2000년대 - 가족의 형태로 분류되어 있지 않았음.
②2005년 인구주택 총 조사
-조손가족은 전체 1598만 8274가구 중 5만 8101세대로 0.36%
-5년 전보다 29%, 10년 전보다 66% 늘어난 수치
③정확한 통계숫자 알기 힘듦. 한국 고유의 가족 가치 때문에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표1-1)급증하는 조손가족 현황 출처: 통계청 인구 총 조사 2006
연도
조손가구
(단위:가구)
①아동 1명 * 조부모 1.5명
②아동 2명 * 조부모 1명
1995년
3만 5194
5만 2791명
7만 0388명
2000년
4만 5225
6만 7836명
9만 0450명
2005년
5만 8101
8만 7152명
11만 6202명
※추계인구 : ①=가구 *아동1명*1.5명(조부+조모),②=가구*아동2명*조부모 1명
통계청에 따르면 1995년 조부모 가정은 3만 5194 가구에 12만 명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5만 8101가구에 19만 6076명으로 늘었다. 10년 만에 조부모 가정 가구 수가 65% 정도 증가한 것이다. 이들은 극심한 가난에 시달리고 있다. 경기도청이 8월 조부모 가정 3113가구를 조사해 보니 3문의 2가량의 월 소득이 국가보조금을 포함해 50만원 이하였다. 4인 가족 기준 월 최저생계비(117만원)의 절반에 못 미친다. 가난은 조부모 가정이 형성되는 원인이자 결과이다.
2) 조손가정의 생활실태
부모없는 조손가정 50.4%
조손가정의 생활실태
조사항목
조사결과
생활비중 가장 많은 지출항목
주거비 30.7%, 교육비 29%, 식비 28.9%, 의료비 8.8%, 기타 2.6%
최근 6개월 놀이공원을 가봤나
못가봤다. 94.1%, 가봤다. 5.9%
최근 6개월 영화, 공연을 봤나
못봤다. 96.6%, 봤다. 3.4%
최근 6개월 외식을 해봤나.
못해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08.16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61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