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troduction
2. 환경 분석
3. SWOT 분석
4. STP 분석
5. 4P 분석
6. 마케팅전략 분석
7. 향후 개선방안
2. 환경 분석
3. SWOT 분석
4. STP 분석
5. 4P 분석
6. 마케팅전략 분석
7. 향후 개선방안
본문내용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 예상된다.
(4) 가격전략
락앤락은 결코 저가의 이미지를 지향하지 않는다. 다만 가격대비 고성능, 고품격 제품의 이미지를 추구한다. 가격은 진출국가 국민의 경제적여건 경쟁사제품의 가격을 파악하여 그와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으로 책정되고 있다. 중국에서의 판매가격은 락앤락의 가격결정이 유연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한 예이다. 2002년 중국에 처음으로 진출했을 당시 바이어들은 가격이 비싸다는 이유로 계약을 꺼렸고, 기존방식으로는 진출이 어렵다는 판단 아래 락앤락은 2년 동안 이윤이 전혀 없는 특별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하게 되었다. 눈앞의 이익이 아닌 미래의 13억 소비자를 겨냥한 과감한 결정이었다. 이러한 결정은 2004년 결실을 맺기 시작했다. LG홈쇼핑이 내보낸 락앤락 제품은 국내보다 무려30% 높게 소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 번에 평균 100건 가량의 주문이 쏟아져 들어왔다. 락앤락의 높아진 인기를 실감하게 하는 부분이다. 중국에서는 아직 락앤락과 같은 밀폐용기는 서민들에게 큰 필요성으로 다가가지 못하고 있으며, 값싼 모조품까지 많아 그 수요가 적다. 그러나 부유층에게 락앤락은 비교적 높은 가격, 높은 품질의 명품으로써 인기가 높아지고 있음을 이러한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준일 하나코비 회장, 뚝심으로 ‘락앤락’ 印·美 진출 [파이낸셜뉴스] 2007-07-16
값 경쟁 대신 ‘명품’부각 /10억 인구 지갑 열었다 [한겨레] 2006-12-20
대부분의 중국시장 진출제품이 저렴한 가격의 중국제에게 밀리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락앤락의 현 시장 점유율과 성장률은 눈여겨 볼만하다. <기자메모> 中소비자 사로잡은 \'强小기업의 힘\' [경향신문] 2006-05-15
(5) 유통경로의 설정
락앤락은 대형백화점, 할인마트, 전문점, TV홈쇼핑, 인터넷쇼핑몰 등 거의 모든 채널에서 고르게 판매되고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중요한 판매처가 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브랜드파워가 없는 신제품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신뢰를 하지 않기 때문에 관심을 끌기가 매우 어렵다. 다양한 유통채널 중에서 어떤 채널을 통해 판매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지도 판단하기 쉽지 않다.
락앤락은 독특한 판매 전략으로 수출에 성공한 사례인데, 우선 국내보다 해외시장에 먼저 출시한 점도 차별적이었지만 대부분의 수출업체들처럼 전시회 등을 통해 바이어를 발굴하는 방식을 택하지 않고, 미국의 홈쇼핑 방송을 통한 유통전략을 취한 케이스로 유명하다. [2008 신년특집] 성공업체 CEO 해외마케팅 비법 [파이낸셜뉴스] 2008-01-01
초기의 락앤락은 전통적 채널인 매장을 통해 국내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했으나 소비자의 인지도가 너무 낮아 성공하지 못했다. 세계 최고의 밀폐력과 공간 활용성을 지녔지만 소비자들의 태도는 쉽게 바뀌지 않았고. 우수한 기능을 소비자에게 시간을 가지고 자세히 설명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회가 필요했다. 이러한 정보 광고의 기능을 TV홈쇼핑이 훌륭히 수행해주었다. 즉 TV홈쇼핑은 하나의 중요한 판매처이자 제품홍보의 핵심적 매체로서 두 가지 역할에 최적화된 선택이었던 것이다. 홈쇼핑의 요지경 세상, 가족과 애인 빼고 다 판다 [경향신문] 2003-09-05
(6) 선택과집중
주방용기, 욕실용기, 도시락용기 등 600여 가지의 생활용품을 생산해온 하나코비는 1997년 회사정책 수정으로 생산제품군을 락앤락 하나로 통합하고 연구개발 영업 등 모든 활동을 락앤락에 투자하였다. 락앤락의 국내시장점유율은 현재 70% 수준이다. 제품 출시 이듬해인 1999년의 51억 원에 불과했던 매출은 해마다 200% 안팎의 높은 신장률을 기록했으며 금년도의 매출은 지난해보다 70% 늘어난 170억 원을 목표치로 설정하고 있다. 하나코비의 이런 성공배경에는 ‘선택과집중’이란 경영전략이 주효했다. 경쟁력이 없는 제품은 과감하게 정리하고 락앤락이라는 단일제품군을 기업의 주력으로 삼은 것이 하나코비의 성공요인이라 할 수 있다.
7. 향후 개선방안
한국에서 중소기업으로서 살아남는 것은 분명 힘든 일이다. 대기업들의 진입장벽 뿐만 아니라 브랜드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받기까지의 과정은 기업의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대기업과 후발기업의 추격을 락앤락은 새로운 기술과 연구개발로 타진하려 하고 있다. 현재 락앤락을 제조하는 하나코비는 은나노기술을 밀폐용기에 접목시켜 향균 효과와 여러 유해한 성분이 침투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갖는 고급화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몸체의 원료가격이 기존보다 3배나 더 비싼 원료를 써서 만든 고급형 네스터블을 출시하여 다른 회사 제품이 따라 올 수 없는 제품의 질을 상승시키고 있다. 특히 아기젖병으로도 쓰이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무독성과 안전성의 측면에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선점하고 있다. 또한 락앤락은 전체이익의 10%이상을 연구-개발 (R&D)에 투자하고 있으며 2005년에는 온도에 따라 밀폐용기의 색깔이 변하는 제품과 음식 보관 일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성 제품을 내놓아 시장에서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하겠다는 계획이다.
락앤락의 상표를 모방하여 가짜용기와 국산의 값 싸게 만든 밀폐용기들은 질은 떨어지지만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밀폐용기시장을 잠식하려 하고 있다. 대부분이 알려지지 않은 무명의 회사에서 제조한 것으로 질이 현저히 떨어진다. 하지만 교묘하게 상표를 유사하게 만들거나 디자인을 모방하여 소비자들을 현혹시키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단속을 할 수 있는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에 단속을 한다고 해도 소모전에 불과하다. 락앤락의 김준일 사장은 카피 제품과 법적으로 대응하기 보다는 `이이제이(以夷制夷)방법을 쓰고 있다. 가짜 락앤락 제품을 써본 소비자들은 물이 새거나 냄새가 베이는 등의 낮은 질을 경험하고 \"가짜를 쓰니 좋지 않다\"는 입소문을 통해, 역으로 락앤락을 홍보해주고 있다. 또한 가짜제품에서 신상품의 기획아이디어를 얻기까지 하고 있다. 가짜 제품이라는 위기를 오히려 마케팅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임시방편적인 대응이므로 앞으로 디자인 등의 지적 재산권에 대한 문제를 정비하고 카피제품이
(4) 가격전략
락앤락은 결코 저가의 이미지를 지향하지 않는다. 다만 가격대비 고성능, 고품격 제품의 이미지를 추구한다. 가격은 진출국가 국민의 경제적여건 경쟁사제품의 가격을 파악하여 그와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으로 책정되고 있다. 중국에서의 판매가격은 락앤락의 가격결정이 유연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한 예이다. 2002년 중국에 처음으로 진출했을 당시 바이어들은 가격이 비싸다는 이유로 계약을 꺼렸고, 기존방식으로는 진출이 어렵다는 판단 아래 락앤락은 2년 동안 이윤이 전혀 없는 특별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하게 되었다. 눈앞의 이익이 아닌 미래의 13억 소비자를 겨냥한 과감한 결정이었다. 이러한 결정은 2004년 결실을 맺기 시작했다. LG홈쇼핑이 내보낸 락앤락 제품은 국내보다 무려30% 높게 소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 번에 평균 100건 가량의 주문이 쏟아져 들어왔다. 락앤락의 높아진 인기를 실감하게 하는 부분이다. 중국에서는 아직 락앤락과 같은 밀폐용기는 서민들에게 큰 필요성으로 다가가지 못하고 있으며, 값싼 모조품까지 많아 그 수요가 적다. 그러나 부유층에게 락앤락은 비교적 높은 가격, 높은 품질의 명품으로써 인기가 높아지고 있음을 이러한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준일 하나코비 회장, 뚝심으로 ‘락앤락’ 印·美 진출 [파이낸셜뉴스] 2007-07-16
값 경쟁 대신 ‘명품’부각 /10억 인구 지갑 열었다 [한겨레] 2006-12-20
대부분의 중국시장 진출제품이 저렴한 가격의 중국제에게 밀리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락앤락의 현 시장 점유율과 성장률은 눈여겨 볼만하다. <기자메모> 中소비자 사로잡은 \'强小기업의 힘\' [경향신문] 2006-05-15
(5) 유통경로의 설정
락앤락은 대형백화점, 할인마트, 전문점, TV홈쇼핑, 인터넷쇼핑몰 등 거의 모든 채널에서 고르게 판매되고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중요한 판매처가 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브랜드파워가 없는 신제품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신뢰를 하지 않기 때문에 관심을 끌기가 매우 어렵다. 다양한 유통채널 중에서 어떤 채널을 통해 판매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지도 판단하기 쉽지 않다.
락앤락은 독특한 판매 전략으로 수출에 성공한 사례인데, 우선 국내보다 해외시장에 먼저 출시한 점도 차별적이었지만 대부분의 수출업체들처럼 전시회 등을 통해 바이어를 발굴하는 방식을 택하지 않고, 미국의 홈쇼핑 방송을 통한 유통전략을 취한 케이스로 유명하다. [2008 신년특집] 성공업체 CEO 해외마케팅 비법 [파이낸셜뉴스] 2008-01-01
초기의 락앤락은 전통적 채널인 매장을 통해 국내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했으나 소비자의 인지도가 너무 낮아 성공하지 못했다. 세계 최고의 밀폐력과 공간 활용성을 지녔지만 소비자들의 태도는 쉽게 바뀌지 않았고. 우수한 기능을 소비자에게 시간을 가지고 자세히 설명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회가 필요했다. 이러한 정보 광고의 기능을 TV홈쇼핑이 훌륭히 수행해주었다. 즉 TV홈쇼핑은 하나의 중요한 판매처이자 제품홍보의 핵심적 매체로서 두 가지 역할에 최적화된 선택이었던 것이다. 홈쇼핑의 요지경 세상, 가족과 애인 빼고 다 판다 [경향신문] 2003-09-05
(6) 선택과집중
주방용기, 욕실용기, 도시락용기 등 600여 가지의 생활용품을 생산해온 하나코비는 1997년 회사정책 수정으로 생산제품군을 락앤락 하나로 통합하고 연구개발 영업 등 모든 활동을 락앤락에 투자하였다. 락앤락의 국내시장점유율은 현재 70% 수준이다. 제품 출시 이듬해인 1999년의 51억 원에 불과했던 매출은 해마다 200% 안팎의 높은 신장률을 기록했으며 금년도의 매출은 지난해보다 70% 늘어난 170억 원을 목표치로 설정하고 있다. 하나코비의 이런 성공배경에는 ‘선택과집중’이란 경영전략이 주효했다. 경쟁력이 없는 제품은 과감하게 정리하고 락앤락이라는 단일제품군을 기업의 주력으로 삼은 것이 하나코비의 성공요인이라 할 수 있다.
7. 향후 개선방안
한국에서 중소기업으로서 살아남는 것은 분명 힘든 일이다. 대기업들의 진입장벽 뿐만 아니라 브랜드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받기까지의 과정은 기업의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대기업과 후발기업의 추격을 락앤락은 새로운 기술과 연구개발로 타진하려 하고 있다. 현재 락앤락을 제조하는 하나코비는 은나노기술을 밀폐용기에 접목시켜 향균 효과와 여러 유해한 성분이 침투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갖는 고급화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몸체의 원료가격이 기존보다 3배나 더 비싼 원료를 써서 만든 고급형 네스터블을 출시하여 다른 회사 제품이 따라 올 수 없는 제품의 질을 상승시키고 있다. 특히 아기젖병으로도 쓰이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무독성과 안전성의 측면에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선점하고 있다. 또한 락앤락은 전체이익의 10%이상을 연구-개발 (R&D)에 투자하고 있으며 2005년에는 온도에 따라 밀폐용기의 색깔이 변하는 제품과 음식 보관 일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성 제품을 내놓아 시장에서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하겠다는 계획이다.
락앤락의 상표를 모방하여 가짜용기와 국산의 값 싸게 만든 밀폐용기들은 질은 떨어지지만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밀폐용기시장을 잠식하려 하고 있다. 대부분이 알려지지 않은 무명의 회사에서 제조한 것으로 질이 현저히 떨어진다. 하지만 교묘하게 상표를 유사하게 만들거나 디자인을 모방하여 소비자들을 현혹시키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단속을 할 수 있는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에 단속을 한다고 해도 소모전에 불과하다. 락앤락의 김준일 사장은 카피 제품과 법적으로 대응하기 보다는 `이이제이(以夷制夷)방법을 쓰고 있다. 가짜 락앤락 제품을 써본 소비자들은 물이 새거나 냄새가 베이는 등의 낮은 질을 경험하고 \"가짜를 쓰니 좋지 않다\"는 입소문을 통해, 역으로 락앤락을 홍보해주고 있다. 또한 가짜제품에서 신상품의 기획아이디어를 얻기까지 하고 있다. 가짜 제품이라는 위기를 오히려 마케팅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임시방편적인 대응이므로 앞으로 디자인 등의 지적 재산권에 대한 문제를 정비하고 카피제품이
키워드
추천자료
(기업 성공 사례) 창의력 극대화 브랜드 아이리버의 마케팅 전략과 문제점 및 향후 방안
[기업경영론] 성공중소기업 엠텍비젼 분석 A+
[기업의 성장전략] 성장전략의 필요성과 중소기업의 성장전략, 성공기업의 전략적 요소
샤프란, 피죤, 마케팅, 브랜드, 브랜드마케팅, 기업, 서비스마케팅, 글로벌, 경영, 시장, 사...
[중소기업경영성공] 중소기업의 성공요인, 성공적인 경영을 위한 전략적 요소
지유켄(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기...
명품 브랜드 가방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루이뷔통, 샤넬,...
[A+] 마케팅 사례 분석 - 삼성전자, 주제 선정 이유, 삼성전자의 우수한 브랜드 이미지, 성공...
저가항공사의 성공 & 실패 스토리 - 저가항공사, 항공마케팅, 마케팅, 브랜드, 브랜드마...
제주항공 분석과 향후 성장전략 (제주항공,항공마케팅,성공전략,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
중소기업기술유출,중소기업기술유출사례,중소기업기술유출대처방안,기술유출사례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의 기술유출 방지방안,중소기업기술유출사례,중소기업기술유출현황
[IBM기업소개]IBM의 역사와초창기의성공,IBM의 위기,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SL 기업분석]SL 경영전략,에스엘의 성장과정,에스엘의 경쟁력,성공적 가업 승계,브랜드마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