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문사태 관련 비디오 <태평천국의 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천안문사태 관련 비디오 <태평천국의 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천안문 광장의 아이러니

2. 후야오방의 장례식

3. 선동적 지도자의 한계

4. 교내투쟁으로의 전환 필요성

5. 참여자들의 성숙하지 못한 투쟁의식

6. 천안문사태의 한계와 의의

본문내용

영웅심리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심리는 지도자급 학생들 사이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며 운동 후기에 발견되는 심한 권력투쟁과 선동경쟁을 야기한 원인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투쟁의 초점을 흐리게 한 것은 일부 학생들뿐이 아니었다. 학생들의 시위에 참여하기를 결정한 회사나 기관들은 정부의 행동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었다. 단식투쟁을 시작한 학생들에게 초기의 정부는 호의적인 태도를 보여 의료진을 파견하여 학생들의 건강을 살피기도 하였는데 이를 정부의 노선변화라고 판단한 회사와 기관들은 ‘줄을 잘 서기 위하여’ 회사 깃발을 든 직원들을 보내 학생들을 지지하는 제스처를 취한 것이다.
학생들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과정에서도 한계를 드러내었다. 민주적 발언권이 보장되지 않은 천안문‘공화국’에서는 목소리가 큰 사람이 옳은 사람이었기 때문에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때는 무리를 지어 목소리를 내었다. 먼저 규찰대를 조직하여 행동하는 쪽이 권력을 쟁취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새로이 천안문에 도착하여 시위에 참가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자신의 규찰대에 포섭하려는 경쟁이 있기도 하였다. 다른 의견을 비판하는 과정에는 공산당이 사용하는 수법을 답습하였다. 소수의견을 음모로 규정하고 의견이 다른 자들을 정부의 끄나풀로 매도하였다.
◇ 천안문사태의 한계와 의의
전정부공무원이었던 우구오광의 다음과 같은 발언은 천안문사태의 한계를 잘 지적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10년 동안 지속되어온 마오쩌둥의 사고방식의 약간의 균열은 생겼을지 몰라도 중국인이 문제를 대처하는 방법은 아직도 바뀌지 않았습니다. 일이백년간 중국인은 무수한 피를 흘렸지만 그들의 용기는 아직 충분히 발휘되지 않았습니다. 자신의 이상을 쟁취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되돌아오는 건 결국 모두 비극이었습니다. 깨진 건 모두 이상뿐이었습니다. 중국인이 부족한 건 이상이 아니라 이상을 실현하는 방법입니다. 중국인에게 부족한 것은 용기가 아니라 용기를 활용하는 지혜입니다. 중국인에게 부족한 것은 뜨거운 가슴이 아니라 머리입니다.”
안타깝게도 천안문사태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도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다큐멘터리 기록들을 통해 그 진상이 세계에 알려졌고 당시 학생지도자들도 해외로 망명하여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기 때문에 변화의 희망은 이어지고 있다.
중국 공안당국 수배 1호였던 왕단은 미국으로 망명한 후, 중국의 민주화와 국민의 인권보장을 요구하는 활동을 계속하여 97년, 98년 연속으로 노벨평화상 후보에 올랐다. 우얼카이시는 프랑스로 망명하여 민주화 운동을 계속 전개하였다가 미국을 거쳐 대만에 정착하여 미디어를 통해 활동을 하고 있다. 차이링은 미국으로 망명하여 하버드대에서 경영학을 공부하면서 중국 인권문제에 대한 글을 썼다.
반면 중국 정부는 아직도 단호한 입장을 바꾸지 않고 있다. 단적인 예로 2006년 이 다큐멘터리가 국내에서 ‘서울다큐영상제’를 통해 상영될 예정이었으나 중국정부 측의 압력으로 무산되고 말았었다. 홍콩에서의 상영과 선댄스 등의 국제 영화제 참여에도 중국정부가 훼방하여 무산될 뻔하였다. 속히 중국 정부의 태도가 누그러져 천안문사태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함께, 중국의 민주화 노력이 결실을 이루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천안문사태를 통해 아들을 잃은 딩쯔린 교수 역시 희망을 잃지 않고 다음과 같은 발언으로 다큐멘터리를 마무리한다.
“아들이 죽은 지 100일이 되던 날, 우리는 아들의 유골을 집으로 가져왔습니다. 그때부터 계속 집에 두고 있습니다. 아들은 자신과 운명을 같이 했던 사람들과 함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언젠가는 그렇게 될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저는 기대하고 또 노력할 것입니다.”

키워드

태평천국,   천안문,   중국,   민주화,   운동,   진압,   사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8.22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66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