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영화>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 <소설> ‘낯선여름’
◈ 왜 일탈을 꿈꾸는가 -영화
◈ 일상에서 발견한 낯선 자신의 모습 - 소설
◈ 우물에서 나오기
◈ 창문 밖의 세상 - 동경
◈ 비극을 암시하는 복선 - 음향
◈ Ending - 우물에 빠진 ‘자화상’
◈ <소설> ‘낯선여름’
◈ 왜 일탈을 꿈꾸는가 -영화
◈ 일상에서 발견한 낯선 자신의 모습 - 소설
◈ 우물에서 나오기
◈ 창문 밖의 세상 - 동경
◈ 비극을 암시하는 복선 - 음향
◈ Ending - 우물에 빠진 ‘자화상’
본문내용
우월하다고 여기지만 보경에게는 애처롭고 나약한 행동을 한다. 이는 민재는 효섭에게 일상적인 삶, 즉 앞이 뻔히 보이는 결과의 ‘사랑’을 가져오지만 보경과의 위태로운 ‘사랑’은 일상에서 일탈한 돌파구로 작용한다. 보경은 더이상 행복하지 않은 남편과의 생활에서의 탈출의 돌파구를 효섭의 사랑에서 찾았고, 일상에서 탈출해 소설가의 부인을 동경하는 민재역시 효섭과의 ‘사랑’을 통해 찾으려한다. 소설 보경 역시 현기증으로 쓰러진 그녀를 구해준 효섭을 자기가 가지고 다니는 어떤 사람의 윤곽이 그려진 투명에 딱 들어맞는 사람이 효섭이라 생각하고 그와의 운명적인 ‘사랑’에서부터 자아의 일탈을 시작한다.
2) 왜곡된 사랑
[효섭-보경-민재, 효섭-보경-동우, 효섭-민재-양민수] 서로 다른 일탈을 꿈꾸는 이들의 사랑은 이렇게 삼각관계가 형성된다. 이 안에서의 사랑은 왜곡되어 보이는데 이것은 일상으로부터의 탈출로 ‘사랑’을 시작한 이들의 좌절로 이어짐을 나타낸다. 효섭과 보경의 사랑은 맹목적인 불륜의 형태로 나타나고, 동우는 아내에 대해서 순결 컴플렉스와 결벽증의 형태로 보여지지만 티켓다방의 여자와 관계를 맺는다. 민재는 효섭에게 심한 구타와 굴욕감을 받고 양민수와 정사를 나누는 것은 효섭에 대한사랑이 순수하지만은 않은 것처럼 보인다. 양민수 역시 민재에 대해 사랑이 아닌 집착과 스토커의 형태로 보여지며 결국 효섭과 정사를 나누는 민재를 살해까지 하는 왜곡된 사랑을 나타낸다.
3) 나약한 현대인의 단상
영화에서 나타나는 삼각관계는 일상으로부터의 일탈이 좌절됨을 보여준다. 일상적인 삶의 돌파구를 사랑에서 찾으며 그 속에서 얽히고
2) 왜곡된 사랑
[효섭-보경-민재, 효섭-보경-동우, 효섭-민재-양민수] 서로 다른 일탈을 꿈꾸는 이들의 사랑은 이렇게 삼각관계가 형성된다. 이 안에서의 사랑은 왜곡되어 보이는데 이것은 일상으로부터의 탈출로 ‘사랑’을 시작한 이들의 좌절로 이어짐을 나타낸다. 효섭과 보경의 사랑은 맹목적인 불륜의 형태로 나타나고, 동우는 아내에 대해서 순결 컴플렉스와 결벽증의 형태로 보여지지만 티켓다방의 여자와 관계를 맺는다. 민재는 효섭에게 심한 구타와 굴욕감을 받고 양민수와 정사를 나누는 것은 효섭에 대한사랑이 순수하지만은 않은 것처럼 보인다. 양민수 역시 민재에 대해 사랑이 아닌 집착과 스토커의 형태로 보여지며 결국 효섭과 정사를 나누는 민재를 살해까지 하는 왜곡된 사랑을 나타낸다.
3) 나약한 현대인의 단상
영화에서 나타나는 삼각관계는 일상으로부터의 일탈이 좌절됨을 보여준다. 일상적인 삶의 돌파구를 사랑에서 찾으며 그 속에서 얽히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