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일모직(삼성물산) 기업개요
2. 제일모직 기업환경분석 (5 Forces Model)
3. 제일모직 주요 기업전략
(1) 유통전략
(2) SCM 도입사례
(3) 고객 서비스전략(4) 매장전략
(5) JIT 시스템 도입전략
(6) CRM 마케팅전략
4. 결론 및 향후전략방안
2. 제일모직 기업환경분석 (5 Forces Model)
3. 제일모직 주요 기업전략
(1) 유통전략
(2) SCM 도입사례
(3) 고객 서비스전략(4) 매장전략
(5) JIT 시스템 도입전략
(6) CRM 마케팅전략
4. 결론 및 향후전략방안
본문내용
CONTENTS
1. 제일모직(삼성물산) 기업개요
2. 제일모직 기업환경분석 (5 Forces Model)
3. 제일모직 주요 기업전략
(1) 유통전략
(2) SCM 도입사례
(3) 고객 서비스전략(4) 매장전략
(5) JIT 시스템 도입전략
(6) CRM 마케팅전략
4. 결론 및 향후전략방안
1. 제일모직(삼성물산) 기업개요
제일모직의 패션사업부는 현재 남성복 컴퍼니, 빈폴 컴퍼니, 위시 컴퍼니와 캐주얼사업부로 구성되어있다. 남성복 컴퍼니에는 \'갤럭시\', \'갤럭시 캐주얼\', \'로가디스\', \'엠비오\', \'빨질레리\', \'지방시\' 등이 소속돼 있으며 빈폴컴퍼니는 \'빈폴맨즈\'를 비롯해 레이디스, 골프, 액세서리, 진, 키즈 등으로 구성됐다. 위시 컴퍼니는 \'구호\', \'띠어리\', \'띠어리맨\'의 여성복사업부와 \'이세이미야께\', \'나인웨스트\'의 수입사업부로 나눠지며 캐주얼 사업부에는 \'후부\'가 속해 있다. 총 18개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으며 최근 여성복과 수입브랜드, 스포츠 부문에 대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인 것으로 보인다.
전개하고 있는 브랜드는 빈 폴, 갤럭시, 로가디스, 엠비오, 빨질레리,니나리치맨, 띠어리맨, 란스미어, 구호, 르베이지, 띠어리, 멜리사, 아이덴티, 니나리치 액세서리, 후부, 7 for all mankind, 이세이미야케, 10 corso como, 망고, 토리버치, 발렉스트라, 블리커, 꼼데가르송, 산타마리아 노벨라 ,나인웨스트, 이지스피릿, 엔조안지올리니, 스티브마덴 등이다.
2. 제일모직 기업환경분석 (5 Forces Model)
(1) 산업내 경쟁강도
경기침체로 인하여 소득수준의 저하로 인하여 의류소비가 줄어든 상황에서 국내기업으로는 제일모직, LG패션, 이랜드가 3대 패션기업으로 경쟁하고 있고 그 외의 20여개의 국내기업과 외국계 기업들이 줄어든 의류소비층을 차지하기 위해 심하게 경쟁하고 있다. 또한 외국기업들과 함께 패션시장의 트렌드에 따라 외국계 SPA브랜드의 도입으로 SPA브랜드간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국내의 SPA를 소유한 최대 경쟁기업은 이랜드이다.
“ 이랜드”
패션 쪽 대기업. 패션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 다각 접근중. (보유 브랜드 : 스파오, 티니위니, 스탭, 후아유, 라틀레틱, 뉴발란스, 엘레쎄, 버그하우스, 유솔, 오후, 로엠걸즈, 포인포, 헌트키즈, 치크, 셀덴, 코코리타, 더데이걸, 트리시, 이랜드 주니어, 미쏘, 로엠, 클로비스, 로이드, OST, 에블린, 더데이언더웨어 등 50여개)
업계 최초로 프랜차이즈 도입. 2010년, SPAO 런칭.
\"일시적/구조적 경영난에 빠진 기업을 싸게 인수해 조기에 정상화 시킨다\"라는 원칙 아래 M&A를 활발하게 진행중.
글로벌 시장 개척에 적극적임. 미국, 중국에서는 직접 진출을 시도하고 그 외의 해외시장의 대부분은 M&A를 통해 진출함.
중국에서는 현지화, 다각화, 고급화 전략을 통해 크게 성공중.(패션사업부 영업 이익 중 절반 가까이 중국시장에서. (2012년 기준, 4조 1천억 매출 중 국내 2조, 중국 2조 1천억)) 직영 관리체제로 운영중.
미국에서는 큰 성과를 내고있지 못함.
유럽에서는 유럽의 고가 브랜드를 인수해 진출. (국내는 중저가 브랜드를 모으는 것과 대조적.)
(2) 잠재적 진입자
국내 패션의류업계는 2011년 이후에도 상위권 대기업을 중심으로 M&A 또는 해외유명 브랜드 인수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유럽의 재정위기와 글로벌 경기 침체로 유럽 및 미국 등 해외 브랜드 매물이 늘어난데다 해외시장 진출을 노리는 국내 업체가 증가하면서 국내 패션의류업계의 M&A추진은 확대되고 있으며 다국적 SPA 브랜드와 해외 명품 브랜드 사이에서 경쟁력을확보하기 쉽지 않은 중견 패션업체들도 지분 매각을 통한 유동성 확보에 나설 가능성이 있어 당분간 국내 패션의류업계의 M&A 이슈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3) 대체재의 위협
의류 자체에대한 대체재는 존재하지 않음.
(4) 구매자의 교섭력
특정 브랜드 선호가 없는겨우 시장내의 경쟁강도처럼 구매자는 대안이 많고 최근의 SNS사용 인구증가와 함께 구매자가 적극적으로 기업의 이벤트에 참여하거나 바이럴마케팅이 가능하게 되면서 교섭력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 개인이 상표충성도가 높다면 대안이 없기
1. 제일모직(삼성물산) 기업개요
2. 제일모직 기업환경분석 (5 Forces Model)
3. 제일모직 주요 기업전략
(1) 유통전략
(2) SCM 도입사례
(3) 고객 서비스전략(4) 매장전략
(5) JIT 시스템 도입전략
(6) CRM 마케팅전략
4. 결론 및 향후전략방안
1. 제일모직(삼성물산) 기업개요
제일모직의 패션사업부는 현재 남성복 컴퍼니, 빈폴 컴퍼니, 위시 컴퍼니와 캐주얼사업부로 구성되어있다. 남성복 컴퍼니에는 \'갤럭시\', \'갤럭시 캐주얼\', \'로가디스\', \'엠비오\', \'빨질레리\', \'지방시\' 등이 소속돼 있으며 빈폴컴퍼니는 \'빈폴맨즈\'를 비롯해 레이디스, 골프, 액세서리, 진, 키즈 등으로 구성됐다. 위시 컴퍼니는 \'구호\', \'띠어리\', \'띠어리맨\'의 여성복사업부와 \'이세이미야께\', \'나인웨스트\'의 수입사업부로 나눠지며 캐주얼 사업부에는 \'후부\'가 속해 있다. 총 18개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으며 최근 여성복과 수입브랜드, 스포츠 부문에 대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인 것으로 보인다.
전개하고 있는 브랜드는 빈 폴, 갤럭시, 로가디스, 엠비오, 빨질레리,니나리치맨, 띠어리맨, 란스미어, 구호, 르베이지, 띠어리, 멜리사, 아이덴티, 니나리치 액세서리, 후부, 7 for all mankind, 이세이미야케, 10 corso como, 망고, 토리버치, 발렉스트라, 블리커, 꼼데가르송, 산타마리아 노벨라 ,나인웨스트, 이지스피릿, 엔조안지올리니, 스티브마덴 등이다.
2. 제일모직 기업환경분석 (5 Forces Model)
(1) 산업내 경쟁강도
경기침체로 인하여 소득수준의 저하로 인하여 의류소비가 줄어든 상황에서 국내기업으로는 제일모직, LG패션, 이랜드가 3대 패션기업으로 경쟁하고 있고 그 외의 20여개의 국내기업과 외국계 기업들이 줄어든 의류소비층을 차지하기 위해 심하게 경쟁하고 있다. 또한 외국기업들과 함께 패션시장의 트렌드에 따라 외국계 SPA브랜드의 도입으로 SPA브랜드간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국내의 SPA를 소유한 최대 경쟁기업은 이랜드이다.
“ 이랜드”
패션 쪽 대기업. 패션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 다각 접근중. (보유 브랜드 : 스파오, 티니위니, 스탭, 후아유, 라틀레틱, 뉴발란스, 엘레쎄, 버그하우스, 유솔, 오후, 로엠걸즈, 포인포, 헌트키즈, 치크, 셀덴, 코코리타, 더데이걸, 트리시, 이랜드 주니어, 미쏘, 로엠, 클로비스, 로이드, OST, 에블린, 더데이언더웨어 등 50여개)
업계 최초로 프랜차이즈 도입. 2010년, SPAO 런칭.
\"일시적/구조적 경영난에 빠진 기업을 싸게 인수해 조기에 정상화 시킨다\"라는 원칙 아래 M&A를 활발하게 진행중.
글로벌 시장 개척에 적극적임. 미국, 중국에서는 직접 진출을 시도하고 그 외의 해외시장의 대부분은 M&A를 통해 진출함.
중국에서는 현지화, 다각화, 고급화 전략을 통해 크게 성공중.(패션사업부 영업 이익 중 절반 가까이 중국시장에서. (2012년 기준, 4조 1천억 매출 중 국내 2조, 중국 2조 1천억)) 직영 관리체제로 운영중.
미국에서는 큰 성과를 내고있지 못함.
유럽에서는 유럽의 고가 브랜드를 인수해 진출. (국내는 중저가 브랜드를 모으는 것과 대조적.)
(2) 잠재적 진입자
국내 패션의류업계는 2011년 이후에도 상위권 대기업을 중심으로 M&A 또는 해외유명 브랜드 인수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유럽의 재정위기와 글로벌 경기 침체로 유럽 및 미국 등 해외 브랜드 매물이 늘어난데다 해외시장 진출을 노리는 국내 업체가 증가하면서 국내 패션의류업계의 M&A추진은 확대되고 있으며 다국적 SPA 브랜드와 해외 명품 브랜드 사이에서 경쟁력을확보하기 쉽지 않은 중견 패션업체들도 지분 매각을 통한 유동성 확보에 나설 가능성이 있어 당분간 국내 패션의류업계의 M&A 이슈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3) 대체재의 위협
의류 자체에대한 대체재는 존재하지 않음.
(4) 구매자의 교섭력
특정 브랜드 선호가 없는겨우 시장내의 경쟁강도처럼 구매자는 대안이 많고 최근의 SNS사용 인구증가와 함께 구매자가 적극적으로 기업의 이벤트에 참여하거나 바이럴마케팅이 가능하게 되면서 교섭력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 개인이 상표충성도가 높다면 대안이 없기
추천자료
[사회과학] IMF 전후 삼성SDI의 조직구조 변화
한국역사와 함께하는 삼성전자의 변화와 그 중요성에 대한 의의.
[인적자원관리]사례1 삼성의 경영이념과 인적자원관리
물부족해결방안과 물산업 발전방안
이병철과 삼성 (Lee byung chull and Samsung) - 너의 이름보다는 너의 꿈을 남겨라
-글로벌 기업의 해외진입전략(성공사례)- 글로벌 전략,삼성 C&T
[삼성][르노삼성자동차][삼성전기][삼성SDI][삼성SDS][삼성생명][삼성코닝정밀유리][삼성중공...
삼성(삼성그룹) 발전과정, 삼성(삼성그룹) 소유구조, 삼성(삼성그룹) 창립자(호암 이병철), ...
[삼성그룹 호암 이병철회장]삼성그룹(삼성) 호암 이병철회장의 연혁, 삼성그룹(삼성) 호암 이...
[삼성][삼성아파트][삼성자동차][삼성노트북][삼성카드][삼성냉장고]삼성아파트(삼성래미안),...
[삼성 전략][삼성그룹][삼성][마케팅][경영][인재육성][이비즈니스]삼성(삼성그룹) 마케팅 전...
[삼성기업][삼성그룹][삼성기업 인재감별법]삼성기업(삼성그룹)의 인재유형, 삼성기업(삼성그...
삼성(삼성그룹)의 역사, 성장, 삼성(삼성그룹)의 소유구조, 삼성(삼성그룹)의 인터넷 고객관...
[CJ제일제당] CJ제일제당의 연혁, CJ제일제당 주제품, CJ제일제당 외적 환경요인, CJ제일제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