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과정 중심 읽기 지도의 의의
2. 독서 과정에 따른 활동 전략
가. 읽기 전 활동
1) 예측 안내표(Anticipation Guides)
2) 앙케이트 / 질문표(Opinionnaires Questionnaires)
3) 대조표(Contrast Charts)
4) 의미 지도(Semantic Maps)
5) KWL표(KWL Charts)
나. 읽기 중 활동
1) 문학지도 (Literature Maps)
2) 인물지도(Character Maps)
3) 인물망(Character Webs)
4) 일지(Journals)
5) 감정표(Feelings Charts)
다. 읽기 후 활동
1) 대립 척도표(Polar Opposites)
2) 문학 보고 카드(Literary Report Cards)
3) 플롯 조직표(Plot Organizers)
4) 벤다이어그램(Venn Diagrams)
5) 책 개요표(Book Charts)
6) 테이블 대화(Table Talk)
2. 독서 과정에 따른 활동 전략
가. 읽기 전 활동
1) 예측 안내표(Anticipation Guides)
2) 앙케이트 / 질문표(Opinionnaires Questionnaires)
3) 대조표(Contrast Charts)
4) 의미 지도(Semantic Maps)
5) KWL표(KWL Charts)
나. 읽기 중 활동
1) 문학지도 (Literature Maps)
2) 인물지도(Character Maps)
3) 인물망(Character Webs)
4) 일지(Journals)
5) 감정표(Feelings Charts)
다. 읽기 후 활동
1) 대립 척도표(Polar Opposites)
2) 문학 보고 카드(Literary Report Cards)
3) 플롯 조직표(Plot Organizers)
4) 벤다이어그램(Venn Diagrams)
5) 책 개요표(Book Charts)
6) 테이블 대화(Table Talk)
본문내용
개에 따라 학생들의 반응을 표시해서 하나의 그래프를 만든다.
4) 벤다이어그램(Venn Diagrams)
벤다이어그램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해하는 것으로, 한 책의 이야기 구성 요소를 비교 대조하거나 두 권 이상의 책을 비교 대조하는 활동이다. 이 활동을 변형하여 자신과 인물을 비교할 수도 있다. 활동의 절차는 ① 두 원을 약간 겹치게 그린다. ② 원이 겹치는 곳에는 공통점을 기록한다. ③ 원이 겹치지 않는 곳에는 독특한 특성을 기록한다.
5) 책 개요표(Book Charts)
책 개요표는 책들을 비교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학생들을 ‘편협한 독서’에서 벗어나게 해 준다. 이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은 문학 유형을 발견하고, 문학 갈래의 관습을 알게 되고, 특정 주제의 보편성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독자의 역할이 ‘한 특정 텍스트의 한계’를 넘어서 확장되는 것이다. 학생들은 인물의 경험과 그 경험에 대한 반응을 비교할 수 있고, 구성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할 수 있으며, 공통의 주제를 전개하는 작가들의 전략을 비교, 검토할 수 있다.
6) 테이블 대화(Table Talk)
테이블 대화는 학생들이 인물에 대하여 반추하고 관련 작품을 탐색하도록 돕는 활동이다. 두 권 이상의 책을 읽은 뒤에, 학생들로 하여금 책 속의 몇몇 인물을 초대하는 저녁 파티를 준비하게 한다. 인물들의 자리를 정하고, 그 인물들을 선택한 준거를 제시한다. 그리고 인물들이 나눌 수 있는 화제를 결정한다. 학생들은 공책이나 칠판의 중앙에 사각형 테이블을 그리고 개인별, 소집단별, 대집단별로 활동을 할 수 있다.
4) 벤다이어그램(Venn Diagrams)
벤다이어그램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해하는 것으로, 한 책의 이야기 구성 요소를 비교 대조하거나 두 권 이상의 책을 비교 대조하는 활동이다. 이 활동을 변형하여 자신과 인물을 비교할 수도 있다. 활동의 절차는 ① 두 원을 약간 겹치게 그린다. ② 원이 겹치는 곳에는 공통점을 기록한다. ③ 원이 겹치지 않는 곳에는 독특한 특성을 기록한다.
5) 책 개요표(Book Charts)
책 개요표는 책들을 비교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학생들을 ‘편협한 독서’에서 벗어나게 해 준다. 이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은 문학 유형을 발견하고, 문학 갈래의 관습을 알게 되고, 특정 주제의 보편성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독자의 역할이 ‘한 특정 텍스트의 한계’를 넘어서 확장되는 것이다. 학생들은 인물의 경험과 그 경험에 대한 반응을 비교할 수 있고, 구성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할 수 있으며, 공통의 주제를 전개하는 작가들의 전략을 비교, 검토할 수 있다.
6) 테이블 대화(Table Talk)
테이블 대화는 학생들이 인물에 대하여 반추하고 관련 작품을 탐색하도록 돕는 활동이다. 두 권 이상의 책을 읽은 뒤에, 학생들로 하여금 책 속의 몇몇 인물을 초대하는 저녁 파티를 준비하게 한다. 인물들의 자리를 정하고, 그 인물들을 선택한 준거를 제시한다. 그리고 인물들이 나눌 수 있는 화제를 결정한다. 학생들은 공책이나 칠판의 중앙에 사각형 테이블을 그리고 개인별, 소집단별, 대집단별로 활동을 할 수 있다.
추천자료
[초등지도안] 초등 3학년 읽기지도안 (4단원 우리들의 꿈 - 한 걸음 더)
도서종류별 읽기지도
체육전담교사와 담임교사의 체육수업 지도과정 분석
[초등학교 바른생활교과]바른생활 교과의 목표, 바른생활 교과의 지도중점, 바른생활 교과의 ...
초등학교 독서교육(독서지도)의 실태와 문제점, 초등학교 독서교육(독서지도)의 지도과정, 초...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단계형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단계별학...
초등학교1학년 바른생활 교과의 성취기준, 초등학교1학년 바른생활 교과의 내용체계, 초등학...
초등학교6학년 실과교과(실과교육) 목표와 실태, 초등학교6학년 실과교과(실과교육) 내용체계...
초등학교 고학년의 문제해결력과 사고력,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급운영, 초등학교 고학년의 독...
영어과(교육, 수업) 게임학습지도, 영어과(교육, 수업) 듣기학습지도, 영어과(교육, 수업) 읽...
[학습전략][교육전략][수업전략][교수학습전략]국어과교육 학습전략, 영어과교육 학습전략, ...
[아동의 언어발달] 아동의 언어발달 (말하기 지도, 듣기지도, 읽기지도, 쓰지지도 방법)
엠엠씨-언어지도-표준보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의사소통영역의 목표와 수준별 내용
읽기지도방법 중 (책옹알이, 그림으로 발현적 읽기 시작하기, 이야기 재현하기, 짝지어 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