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록
1. 초, 중, 고등학교
⑴ 초등학교(Primary School)
⑵ 중 · 고등학교(Secondary School)
⑶ 영어연수(ELICOS)
2. TAFE(Technical and Further Education) College
3. 대학준비과정(Foundation Studies)
4. 종합대학(University)
⑴ 학사 학위(Bachelor's Degree)
⑵ 준 석사 수료(Graduate Certificates)
⑶ 준 석사 학위(Graduate Diploma/Postgraduate Diploma)
⑷ 석사 과정(Master Degree)
⑸ 박사 과정(Doctoral Awards)
1. 초, 중, 고등학교
⑴ 초등학교(Primary School)
⑵ 중 · 고등학교(Secondary School)
⑶ 영어연수(ELICOS)
2. TAFE(Technical and Further Education) College
3. 대학준비과정(Foundation Studies)
4. 종합대학(University)
⑴ 학사 학위(Bachelor's Degree)
⑵ 준 석사 수료(Graduate Certificates)
⑶ 준 석사 학위(Graduate Diploma/Postgraduate Diploma)
⑷ 석사 과정(Master Degree)
⑸ 박사 과정(Doctoral Awards)
본문내용
School)
대략 만 5~6세 정도면 초등학교에 입학을 한다.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에는 1년 기간의 유치원 또는 Pre-School이 있지만 의무교육은 아니다. 초등학교 과정은 한 선생님이 모든 과목을 가르치며 예술 과목은 특별 강사에게 지도를 받는다. 유학생들은 사립학교에 입학할 수 있지만 공립학교는 현재 캔버라 공립학교에서만 입학이 허용되고 있다.
⑵ 중 · 고등학교(Secondary School)
주에 따라 7학년 또는 8학년부터 중, 고등학교 과정이 시작된다. 6년제 초등교육을 하고 있는 주 / NSW, VIC, TAS, ACT
7년제 초등교육을 하고 있는 주 / SA, NT, QLD, WA
사립학교들은 대부분 종교재단에 의해 설립되어 있지만 입학을 하는 데는 학생의 종교 여부를 문제 삼지 않는다. 공립학교는 남녀 공학의 비율이 높은 반면, 사립학교는 남학교와 여학교로 분리되어 잇는 편이다. 교과과정이나 학습방법 등은 별 다른 차이가 없다.
호주는 중 · 고등학교의 경우, 공립과 사립 모두 유학생의 입학을 허용하고 있다. 10학년까지는 영어, 수학, 과학, 체육, 인문 사회 과학 등의 주요 과목 외에 외국어, 예술, 컴퓨터 등의 선택과목을 포함하여 한 학기에 5~6개의 과목을 공부하고 11~12학년의 학생들은 상급 학교에서의 희망 전공 분야에 따라 관련 과목을 선택하는데 영어와 수학은 필수 과목이다. 수업은 교사 중심이 아니라 학생들의 직접 참여를 유도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탐구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가르친다.
중 · 고등학교는 초등학교와는 달리 한 교사가 한 과목만을 가르치며 학생들이 교실을
대략 만 5~6세 정도면 초등학교에 입학을 한다.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에는 1년 기간의 유치원 또는 Pre-School이 있지만 의무교육은 아니다. 초등학교 과정은 한 선생님이 모든 과목을 가르치며 예술 과목은 특별 강사에게 지도를 받는다. 유학생들은 사립학교에 입학할 수 있지만 공립학교는 현재 캔버라 공립학교에서만 입학이 허용되고 있다.
⑵ 중 · 고등학교(Secondary School)
주에 따라 7학년 또는 8학년부터 중, 고등학교 과정이 시작된다. 6년제 초등교육을 하고 있는 주 / NSW, VIC, TAS, ACT
7년제 초등교육을 하고 있는 주 / SA, NT, QLD, WA
사립학교들은 대부분 종교재단에 의해 설립되어 있지만 입학을 하는 데는 학생의 종교 여부를 문제 삼지 않는다. 공립학교는 남녀 공학의 비율이 높은 반면, 사립학교는 남학교와 여학교로 분리되어 잇는 편이다. 교과과정이나 학습방법 등은 별 다른 차이가 없다.
호주는 중 · 고등학교의 경우, 공립과 사립 모두 유학생의 입학을 허용하고 있다. 10학년까지는 영어, 수학, 과학, 체육, 인문 사회 과학 등의 주요 과목 외에 외국어, 예술, 컴퓨터 등의 선택과목을 포함하여 한 학기에 5~6개의 과목을 공부하고 11~12학년의 학생들은 상급 학교에서의 희망 전공 분야에 따라 관련 과목을 선택하는데 영어와 수학은 필수 과목이다. 수업은 교사 중심이 아니라 학생들의 직접 참여를 유도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탐구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가르친다.
중 · 고등학교는 초등학교와는 달리 한 교사가 한 과목만을 가르치며 학생들이 교실을
키워드
추천자료
국어과 교육의 운용체계 - 국어과 교육과정, 국어과 교재, 국어 교수 학습 체제
공업계 교사 교육의 체제 및 새로운 기술혁신과 공업계 교사 교육
온라인수업의 문제점과 질관리 개선방안에 대해 논하시오(평생학습체제에서의 원격교육과 평...
[교육행정 및 경영 공통]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계론’, ‘체제이론’ 등 ...
교육행정敎育行政및경영4공통)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리론’,...
(교육행정및경영)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계론,체제이론등 세 가지 이론의 주요 내용과 특성을...
[교육행정및경영 공통]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리론’, ‘인간...
[교육행정 및 경영 공통]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
유아교육개론 B형 유아교육기관의 체제와 종류에 대하여 논하고,
교육행정및경영2017)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계...
[교육행정 및 경영 공통]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
(방통대 교육학 교육행정및경영4공통)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