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개발의 찬성과반대그리고 나의 의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토개발의 찬성과반대그리고 나의 의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국토개발의 의의

2.국토개발의 찬성측의견

3.국토개발의 반대측의견

4.국토개발의 대한 나의 의견

본문내용

일이면 족하다.
<나의 의견>
인간은 나약했다. 가뭄이나 홍수에 속수무책으로 두려워하며 하늘의 노여움을 풀기 위해 기도했다. 그러다 천재지변으로 인한 기근, 질병,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나고자 자연에 인위성을 가하기 시작했다. 인간이 국토개발을 하기 시작한 것이다. 수로를 정비하고, 둑을 쌓고 저수지를 만들었다. 이런 처음의 개발들은 방어용이었다. 다른 어떤 목적이 있어서가 아니라 자신을 보호하고자 개발을 시작한 것이다. 그러자 성난 자연 앞에서 한 없이 초라하던 인간이 자연을 다스릴 수 있을 것처럼 보였다. 방어용이었던 개발을 경제적 이윤을 창출하기 위한 적극적인 개발로 전환한 것이다. 인간은 인간 자신이 위대하다고 생각했다.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고 자연은 하나의 이용 도구에 불과했다. 동물을 무차별적으로 포획하고, 숲의 나무를 베어냈다. 산도 깎아내리고 바다도 메웠다.
자. 이 결과 우리의 현재 상황은 어떠한가? 이런 상황에서 대운하가 타당한 것일까?
대운하를 건설하게 되면 수로 굴착으로 수위가 낮아져 습지가 파괴된다. 이것은 많은 동식물의 보금자리가 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낙동강의 철새 도래지도 사라져 버린다. 수로는 고여 있는 물이다. 물의 정체 시간이 늘어나 부영향화로 인해 결국 어떤 생명체도 살 수 없는 썩은 물이 될 것이다.
경제성도 없고 식수오염 가능성이라는 위험에도 불구하고 대운하 건설을 해야하는 타당한 근거가 무엇인지 알고 싶을 따름이다.
자연은 우리 후손들에게서 빌린 것이라는 말이 생각난다. 어떤 대한민국을 우리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하는지 우리 모두 곰곰이 생각해 보아야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9.16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94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