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 예수의 가르침.
2.발생특징
- A. D 40~65년 사이에 팔레스타인지역에서 갈릴리적 관점을 가지고 시작.
3.내용특징
1)수난사 미포함.
2)의도적 구성
3)일종의 예언서
4)유대교와 연관되어있고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마지막 기회를 부여.
3.지역교회들의 전승: 수난사와 공관복음 묵시록
1.수난사
1)40~50년경 예루살렘에서 형성.
2)사건자체의 보도와 사건해석을 을 동시에 가짐.
2.공관복음 묵시 - 마가복음 13장
1)출산의 고통으로서의 전쟁과 지진.
2)수수께끼처럼 표현된 사건.
3)인자의 출현.
4.일반대중의 전승: 기적 이야기들
- 기적이야기 안의 특징: 치유의 능력이 사람들 스스로에게 있음.
1.소문으로 대중에게 전달된 전승의 문자화 단계
1)방랑 카리스마티커들의 전승은 로기온 자료로 고착.
2)교회와 대중전승은 마가복음에서 70년경 문자화.
3)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서 하나로 만남.(80~110년)
4.다소의 바울
1.등장의 역사적 배경
- 공격적 추종자 스데반 순교 - 팔레스타인 헬라지역과 시리아 안디옥으로 추종자 도망 - 이방 사람들에게 그리스도교 신앙 전파 - 안디옥에서 바나바에 의해 등장.
2.인물로서의 바울
- 길리기아 다소 출신 디아스포라 유대인으로 예루살렘에서 수학한 유대교 근본주의자 - 다메섹 도상의 현현 예수와의 만남으로 새로운 신앙 생성 이후 신학으로 정립 후 이방인들을 위한 유대교의 개방에 적극적 대표자가 됨.
3.바울 신학의 근거 - 부활현현 예수와의 만남. - 십자가 및 부활 신앙의 근거.
4.바울의 연대기 추정.
- 46~48년 사도회의에서 이방 그리스고인의 할례 포기 관철 - 49년 정결법 포기를 관철시킬수 없자 안디옥과 결별 독립적 선교 시작 - 49~50년 갈라디아 선교. 데살로니가 교회 세움 - 50~52년 고린도교회 세움. 50~51년 데살로니가전서 기술 - 52~55년 에베소교회 세움. 고린도 전·후서, 빌립보서와 빌레몬서(옥중서신-추정), 갈라디아서 기술 - 55~56년 고린도교회 방문. 로마서 기술 - 56~58년 예루살렘 방문 체포 투옥(2년간) - 58~60년 로마 투옥. 빌립보서와 빌레몬서(옥중서신-추정) 기술. 순교.
5.첫 교회에서의 서신 문학의 시작: 바울 서신들
- 서신문학: 어떤 위기로 인해 발생된 것.
1.상황에 따른 서신으로서의 데살로니가전서
1.배경 - 이방인에 대한 정결법 포기 문제로 안디옥과 결별을 선언하고 갈라디아를 거쳐 데살로니가 교회를 세우고 고린도로 이동 후 기술. - 유대회당의 유대인들이 신생 그리스도교로 옴겨가자 기존 유대인들이 바울을 고소함(고소이유: 로마에서처럼 소요 방지를 목적) - 신생교회이ㅡ 실제적 대적자가 이방인들임에도 불구하고 이방선교를 금하는 유대인들과 논쟁 - 클라디우스의 종교 정책 거부와 살아있는 왕위 계승자로서의 예수 선포 - 재정 횡령 비난에 변명.
2.이유 - 고소장 접수를 고린도로 이동 - 다른 그리스도인들이 그의 행위에 대해 법정 책임을 져야하는 배경의 자책감.
3.내용
1)수신자와 좋은 관계 확언. 중보기도 확언.
2)그리스도교 정체성에 대한 권고 - 믿음, 소망, 사랑.
3)그리스도인의 거룩함을 주변 세계에 대한 특장으로 강조.
4)그리스도 부활처럼 동일한 것이 일어날 것이라는 소망이 결정적 내용.
4.특징 - 보존된 첫 교회 서신 - 구술적 의사소통을 대신 - 공적 서신.
2.반유대주의적 서신들: 갈라디아서와 빌립보서
1.갈라디아서
1.배경 - 클라디우스 칙령으로 인해 반바울적 선교사들은 그리스도 교회의 유대교안으로의 재편입을 목표로 함 - 사도회의롤 통해 할례의 이행 여부는 개인의 자유의사에 맡겨졌으나 반바울 유대인들은 할례가 그리스도교의 완성이라고 말하며 그리스도교의 유대교화를 유도 - 바울은 자신의 의도가 왜곡되자 갈라디아인들에게 호소 - 새로운 선교사와 교회 사이에 쐐기를 박음.
1)반바울 선교사와 바울의 율법대한 입장비교
- 반바울 선교사:할례-믿음의 완성
바울: 율법을 받아들이는 것은 이방세계로의 되돌아가는 것. 율법: 사랑의 법으로 요약.
2.내용
1)서론 - 원시 그리스도교의 역사와 이신칭의론을 요약
2)본론 - 첫 논증: 그리스도만이 아브라함의 후손 - 그리스도인들의 사회적 차이 극복.
두 번째 논증: 유대교와 그리스도교 분할 - 아브라함의 자녀권은 해결되지 않음.
3)결론 - 심판 말씀에 속하지 않는 권고.
3.특징
1)변론을 통한 전통적인 서신형태를 깨뜨림. - 풍자화
2)법적 효력 - 직접 서명
3)수사학적 기법 사용.
2.빌립보서
1.배경 - 에베소(추정)감옥에서 물질적 후원자였던 빌립보 교회에 우정서신으로 쓰여졌고, 로마 총독 앞의 재판과 빌립보 교회에 유대주의 선교사들의 등장으로 인해 쓰게 된다.
2.내용
1)데살로니가 전서와는 달리 자신이 처형이후 그리스도 옆에 있을 것이라 씀.
2)3장은 다른 편지의 일부분으로 이곳의 우정서신과 엮어졌다는 추측이 발생. - 기존 특권이 예수 그리스도를 앎으로써 퇴색되고 쓸모없이 되었음을 밝힘.
3)4장에서 그리스도교 신앙과 삶의 근본적 문제들을 성공적으로 논함.
3.빌레몬서
1.배경 - 빌레몬의 종 오네시모의 중재 요청(어떤 문제) -오네시모을 그리스도교 신앙으로 회심시켰고 외교적 서신과 함께 돌려 보냄. - 교회의 테두리 안에서 해결하기를 기대함.
2.내용
1)자신의 방문을 예고.
2)오네시모를 사랑받는 형제, 선교적 동역자로 인정받기를 원함.
3.특징 - 교회가 개인 집안 문제를 중재 하는 것에 대한 문서자료.
3.반열광주의적 서신: 고린도전서·고린도후서
- 고린도도 전서(세상과의 결별), 교회 교정, 눈물의 편지, 고린도후서(교정서신과 눈물 서신의 첨가)
1.바울과 고린도교회
1.배경 - 고린도에서 선교의 시작은 아굴라와 브리스길라의 만남으로 시작 - 유대회당으로부터의 분리 - 갈리오 앞에서의 재판 - 교회안의 경쟁자 아폴로를 갖게됨 - 분리서신 기술 - 교회로부터 교회 서신을 받고 그에 응답(고린도 전서) - 추천 서신을 가진 새로운 경쟁 선교사들 등장 - 중간 방문(한 교인에게서 모욕을 받음) - 에베소에서 눈물의 편지 기술 - 에베소에서의 투옥, 고린도교회와의 화해
2.발생특징
- A. D 40~65년 사이에 팔레스타인지역에서 갈릴리적 관점을 가지고 시작.
3.내용특징
1)수난사 미포함.
2)의도적 구성
3)일종의 예언서
4)유대교와 연관되어있고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마지막 기회를 부여.
3.지역교회들의 전승: 수난사와 공관복음 묵시록
1.수난사
1)40~50년경 예루살렘에서 형성.
2)사건자체의 보도와 사건해석을 을 동시에 가짐.
2.공관복음 묵시 - 마가복음 13장
1)출산의 고통으로서의 전쟁과 지진.
2)수수께끼처럼 표현된 사건.
3)인자의 출현.
4.일반대중의 전승: 기적 이야기들
- 기적이야기 안의 특징: 치유의 능력이 사람들 스스로에게 있음.
1.소문으로 대중에게 전달된 전승의 문자화 단계
1)방랑 카리스마티커들의 전승은 로기온 자료로 고착.
2)교회와 대중전승은 마가복음에서 70년경 문자화.
3)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서 하나로 만남.(80~110년)
4.다소의 바울
1.등장의 역사적 배경
- 공격적 추종자 스데반 순교 - 팔레스타인 헬라지역과 시리아 안디옥으로 추종자 도망 - 이방 사람들에게 그리스도교 신앙 전파 - 안디옥에서 바나바에 의해 등장.
2.인물로서의 바울
- 길리기아 다소 출신 디아스포라 유대인으로 예루살렘에서 수학한 유대교 근본주의자 - 다메섹 도상의 현현 예수와의 만남으로 새로운 신앙 생성 이후 신학으로 정립 후 이방인들을 위한 유대교의 개방에 적극적 대표자가 됨.
3.바울 신학의 근거 - 부활현현 예수와의 만남. - 십자가 및 부활 신앙의 근거.
4.바울의 연대기 추정.
- 46~48년 사도회의에서 이방 그리스고인의 할례 포기 관철 - 49년 정결법 포기를 관철시킬수 없자 안디옥과 결별 독립적 선교 시작 - 49~50년 갈라디아 선교. 데살로니가 교회 세움 - 50~52년 고린도교회 세움. 50~51년 데살로니가전서 기술 - 52~55년 에베소교회 세움. 고린도 전·후서, 빌립보서와 빌레몬서(옥중서신-추정), 갈라디아서 기술 - 55~56년 고린도교회 방문. 로마서 기술 - 56~58년 예루살렘 방문 체포 투옥(2년간) - 58~60년 로마 투옥. 빌립보서와 빌레몬서(옥중서신-추정) 기술. 순교.
5.첫 교회에서의 서신 문학의 시작: 바울 서신들
- 서신문학: 어떤 위기로 인해 발생된 것.
1.상황에 따른 서신으로서의 데살로니가전서
1.배경 - 이방인에 대한 정결법 포기 문제로 안디옥과 결별을 선언하고 갈라디아를 거쳐 데살로니가 교회를 세우고 고린도로 이동 후 기술. - 유대회당의 유대인들이 신생 그리스도교로 옴겨가자 기존 유대인들이 바울을 고소함(고소이유: 로마에서처럼 소요 방지를 목적) - 신생교회이ㅡ 실제적 대적자가 이방인들임에도 불구하고 이방선교를 금하는 유대인들과 논쟁 - 클라디우스의 종교 정책 거부와 살아있는 왕위 계승자로서의 예수 선포 - 재정 횡령 비난에 변명.
2.이유 - 고소장 접수를 고린도로 이동 - 다른 그리스도인들이 그의 행위에 대해 법정 책임을 져야하는 배경의 자책감.
3.내용
1)수신자와 좋은 관계 확언. 중보기도 확언.
2)그리스도교 정체성에 대한 권고 - 믿음, 소망, 사랑.
3)그리스도인의 거룩함을 주변 세계에 대한 특장으로 강조.
4)그리스도 부활처럼 동일한 것이 일어날 것이라는 소망이 결정적 내용.
4.특징 - 보존된 첫 교회 서신 - 구술적 의사소통을 대신 - 공적 서신.
2.반유대주의적 서신들: 갈라디아서와 빌립보서
1.갈라디아서
1.배경 - 클라디우스 칙령으로 인해 반바울적 선교사들은 그리스도 교회의 유대교안으로의 재편입을 목표로 함 - 사도회의롤 통해 할례의 이행 여부는 개인의 자유의사에 맡겨졌으나 반바울 유대인들은 할례가 그리스도교의 완성이라고 말하며 그리스도교의 유대교화를 유도 - 바울은 자신의 의도가 왜곡되자 갈라디아인들에게 호소 - 새로운 선교사와 교회 사이에 쐐기를 박음.
1)반바울 선교사와 바울의 율법대한 입장비교
- 반바울 선교사:할례-믿음의 완성
바울: 율법을 받아들이는 것은 이방세계로의 되돌아가는 것. 율법: 사랑의 법으로 요약.
2.내용
1)서론 - 원시 그리스도교의 역사와 이신칭의론을 요약
2)본론 - 첫 논증: 그리스도만이 아브라함의 후손 - 그리스도인들의 사회적 차이 극복.
두 번째 논증: 유대교와 그리스도교 분할 - 아브라함의 자녀권은 해결되지 않음.
3)결론 - 심판 말씀에 속하지 않는 권고.
3.특징
1)변론을 통한 전통적인 서신형태를 깨뜨림. - 풍자화
2)법적 효력 - 직접 서명
3)수사학적 기법 사용.
2.빌립보서
1.배경 - 에베소(추정)감옥에서 물질적 후원자였던 빌립보 교회에 우정서신으로 쓰여졌고, 로마 총독 앞의 재판과 빌립보 교회에 유대주의 선교사들의 등장으로 인해 쓰게 된다.
2.내용
1)데살로니가 전서와는 달리 자신이 처형이후 그리스도 옆에 있을 것이라 씀.
2)3장은 다른 편지의 일부분으로 이곳의 우정서신과 엮어졌다는 추측이 발생. - 기존 특권이 예수 그리스도를 앎으로써 퇴색되고 쓸모없이 되었음을 밝힘.
3)4장에서 그리스도교 신앙과 삶의 근본적 문제들을 성공적으로 논함.
3.빌레몬서
1.배경 - 빌레몬의 종 오네시모의 중재 요청(어떤 문제) -오네시모을 그리스도교 신앙으로 회심시켰고 외교적 서신과 함께 돌려 보냄. - 교회의 테두리 안에서 해결하기를 기대함.
2.내용
1)자신의 방문을 예고.
2)오네시모를 사랑받는 형제, 선교적 동역자로 인정받기를 원함.
3.특징 - 교회가 개인 집안 문제를 중재 하는 것에 대한 문서자료.
3.반열광주의적 서신: 고린도전서·고린도후서
- 고린도도 전서(세상과의 결별), 교회 교정, 눈물의 편지, 고린도후서(교정서신과 눈물 서신의 첨가)
1.바울과 고린도교회
1.배경 - 고린도에서 선교의 시작은 아굴라와 브리스길라의 만남으로 시작 - 유대회당으로부터의 분리 - 갈리오 앞에서의 재판 - 교회안의 경쟁자 아폴로를 갖게됨 - 분리서신 기술 - 교회로부터 교회 서신을 받고 그에 응답(고린도 전서) - 추천 서신을 가진 새로운 경쟁 선교사들 등장 - 중간 방문(한 교인에게서 모욕을 받음) - 에베소에서 눈물의 편지 기술 - 에베소에서의 투옥, 고린도교회와의 화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