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1학기 3단원, 우리 몸의 생김새 - 초등과학 교육방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6학년 1학기 3단원, 우리 몸의 생김새 - 초등과학 교육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모의수업 구성안
1. 학습 단원
2. 전체 학습 목표
3. 세부계획
4. 약안
5. 교사로서 알아야 할 과학 개념(약안 별)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행동을 판단하여 결정한다.
- 척수 : 신경의 통로로서 자극을 전달하고, 급할 때에는 자극이 뇌까지 전달되기 전에 행동을 판단하기도 한다.
◈ 학습 활동 3 [자극의 전달 과정 구성하기]
지금까지 배운 감각기관이 하는 일 , 뇌와 척수가 하는 일을 바탕으로 자극의 전달 과정을 모둠별로 구성해 본다.
각 모둠에서 활동판을 하나씩 가져가도록 한다.
각 모둠장이 나와서 블랙박스에서 상황 편지를 하나씩 꺼내어 모둠으로 가져간다.
상황편지를 읽고, 활동판에 붙여져 있는 여러 가지 감각기관 중 상황에 맞는 감각기관을 선택한다.
순서 없이 제시된 감각기관, 뇌, 척수를 자극의 전달 과정을 모둠원끼리 토의하여 기관을 순서대로 나열한다.
감각기관, 뇌, 척수, 운동기관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기관에서 어떤 명령어를 전달할 수 있을지 생각해서 글을 써본다.
각 모둠별로 발표한다.
5‘
5‘
20‘
★PPT
★PPT (뇌와 척수 사진)
☞아동들이 조사한 내용을 자유롭게 발표할 수 있도록 한다.
★활동판, 블랙박스
☞모둠원이 협동하여 활동판을 완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른 모둠에서 발표할 때 귀기울여 듣도록 지도한다.
정리 및
차시예고
◈ 자극의 전달 과정 회상하기
자극의 전달과정을 반 전체 아동이 다 함께 이야기 해본다.
- 감각기관, 뇌, 척수, 운동기관 순으로 자극이 전달된다.
우리 몸에서는 이런 자극의 전달과정이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상황에서 반응할 수 있음을 말한다.
◈ 과제 및 다음 차시 예고하기
모둠별 과제 알려주기
- 각 모둠별로 지금까지 배운 기관을 1개씩 정해서, 그 기관과 관련된 질병을 대표적인 것 2~3개만 골라 질병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예방방법을 조사해 옵니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기
3‘
2‘
◎ 형성평가
감각기관이 하는 일을 설명할 수 있는가?
뇌와 척수가 하는 일을 설명할 수 있는가?
자극이 전달되어 행동하기까지의 과정을 순서대로 말할 수 있는가?
8) 8차시
단원명
3. 우리 몸의 생김새
학년
6
장소
교실
학습주제
건강 유지하기
학습 형태
협동 학습
차시
8/10
학습목표
1) 몸의 여러 기관과 관련된 질병의 종류를 알고 예방 방법을 알 수 있다.
2) 자신의 생활 습관을 되돌아보고 건강에 좋은 습관을 알 수 있다.
3)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계획을 세워 실천할 수 있다.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자료 및 유의점
도입
◈ 전 차시 학습 상기
인체탐사선을 보면서 1차시부터 7차시까지 어떤 기관을 배웠는지 상기한다. 우리는 신체의 주요 기관을 다 돌아보았기 때문에 오늘은 배운 것을 토대로 신체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볼 것이라고 간단히 말한다.
◈ 동기유발
몸이 아팠던 경험 이야기하기
- 몸의 어떤 기관이 어떻게 아팠으며 어떤 점이 불편했는지 발표한다.
병에 걸리는 것과 자신의 생활습관과 관련이 있음 알기.
- 만약 병에 걸렸던 경험이 있었다면 그 병에 왜 걸렸었는지 이야기를 나누어 본다.(예를 들어, 겨울에 차가운 음식을 많이 먹어서 감기가 걸렸다.)
- 병에 걸렸을 때 조심해야 했던 점에 대해 이야기한다.(예를 들면, 감기 걸리면 아이스크림을 먹으면 안 된다.)
병에 걸리는 것과 생활습관이 관련이 있으므로 오늘은 자신의 생활습관을 되돌아보고 바른 생활습관을 갖기 위해 질병의 종류와 그 예방방법을 알아보도록 한다.
학습목표 확인
3′
☞ 학생들이 병에 걸렸던 경험을 잘 정리하여 병에 걸리는 것과 생활 습관 사이의 관계가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도록 돕는다.
몸의 여러 기관과 관련된 질병의 종류를 알고 예방 방법을 알 수 있다.
자신의 생활 습관을 되돌아보고 건강에 좋은 습관을 알 수 있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계획을 세워 실천할 수 있다.
전개
◈ 학습 활동 1 [생활습관표 작성하기]
자신의 생활 습관이 어떤지 되돌아보기 위해 활동지를 작성한다.
- 일어나는 시간과 잠자는 시간을 적는다.
- 취미시간에는 무엇을 하는지 적는다.
- 하루에 운동을 얼마나 하는지 적는다.
- 자신이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 안 먹는 음식이 있으면 적는다.
- 식사 시간과 음식 먹는 습관에 대해 적는다.
- 앉아 있는 자세가 어떤지 적는다.
◈ 학습 활동 2 [모의 병원 차리기]
모둠을 6개 구성한다.
- 모둠별로 하나의 기관을 맡는다.
- 각 기관과 관련된 대표적인 질병 2~3개를 조사한다.(숙제)
- 질병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방법을 조사한다.
- 그리고 예방방법도 조사하는데 조사한 것을 토대로 초등학생들이 실제로 실천할 수 있도록 재구성해오게 한다.
교실 전체가 종합 병원이 되고 각 모둠은 자신이 맡은 기관에 해당하는 부서가 된다.
- 모둠원을 반으로 나누어 반은 병원을 돌아다니며 진찰을 받고 10분이 지나면 나머지 반이 병원을 돌아다니며 진찰을 받는다.
학생들은 먼저 자신의 신체 기관 중에 약하다고 생각하는 곳에 가서 진찰을 받는다.
- 자신의 증상을 말하면 병원에서는 자신들이 가진 자료를 토대로 진찰을 한다.
- 만약 병이 맞으면 치료 방법을 조언해준다. 이때 학생들이 미리 작성해둔 생활습관표를 보면서 진단을 내린다. 안 좋은 습관이 무엇인지 지적하고 어떻게 고치면 좋은지 조언해준다.
- 병이 아니더라도 생활습관표를 보면서 안 좋은 습관이 있으면 고칠 수 있도록 조언을 해주어 건강한 생활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 학습 활동 3 [건강 유지 계획 세우기]
모의병원에서 진찰 받은 것을 토대로 안 좋은 생활습관을 찾아본다.
안 좋은 생활습관을 어떻게 고쳐야 하는지 목표를 세운다.
목표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다. 계획은 자신이 지킬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어야 한다.
서로 서로 계획 세운 것을 지지해주기 위해 게시판에 붙이고 계획을 잘 지킬 수 있도록 도와주기로 한다.
5′
25′
5′
★ 활동지(생활 습관표)
☞ 시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꼭 진찰해보고 싶은 기관을 1~2개 정해서 먼저 돌아보고 시간이 더 남으면 다른 곳도 가보라고 말한다.
★ 활동지(계획서)
정리 및
차시예고
◈ 학습활동 정리
포스트
  • 가격2,500
  • 페이지수50페이지
  • 등록일2008.09.23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07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