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원론]업계1위 청정원 '순창고추장' 마케팅전략 및 성공요인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케팅원론]업계1위 청정원 '순창고추장' 마케팅전략 및 성공요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상 주식회사와 청정원
가. 대상 주식회사
나. 기업 연혁
다. 경영 이념
라. 비전과 경영 전략
마. 청정원 브랜드

2. 기업 선정 이유
가. 순창 고추장 소개
나. 순창 고추장 선정의 이유

3. 순창 고추장과 한국인의 정서
가. 순창 고추장 광고 소개
나. 순창 고추장에서 보이는 한국적 정서
다. 매운맛에 대한 한국인의 정서

4. 순창 고추장 광고에서 쓰이는 마케팅 전략
가. 고추장 산업의 환경 분석
나. 순창 고추장에 쓰인 4P 전략
다. 순창 고추장에 쓰인 SWOT
라. 순창 고추장의 STP 전략

본문내용

2년 한국산업 브랜드파워 1위 (한국능률협회)
· 99 ~ 01년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 1위 (한국능률협회)
· 제4 회 대한민국 디자인&브랜드 경영 대상 대통령상 (2002년/산업자원부)
· 03년 대한민국 마케팅대상 수상 (한국능률협회)
· 03년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 1위 (한국능률협회)
· ‘Korea Brand Conference 2006’ 브랜드 올림픽에서 고추장 부문에서 3년 연속 (2004~2006) 1위(Super Brand)에 선정.
- 또한 순창 고추장은 아래 그림과 같이 업계에서 시장 점유율 42%~44%를 다투며 경쟁
제품인 태양초 고추장과 항상 경쟁을 벌이고 있고, 올해 청정원 순창고추장은 2006년 3~4월 RI(소매점 지표조사) 자료에서 경쟁사와 점유율 격차를 벌이면서 압도적인 고추장 시장 1위 자리를 지켰다.
이들을 종합하여 생각해 보면 제품과 품질의 우수성, 순창 고추장 이라는 강한 소비자 브랜드 인식, 경쟁사와 대비하여 특별한 차이점이 없음으로 시장 선도가 어렵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 우리는 차별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등을 많이 파악 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어 대상 기업의 청정원 순창 고추장을 선택하게 되었다.
3. 고추장과 한국인의 정서
-고추장의 역사
우리나라 장류의 기원은 확실치 않으나 역사적 기록으로는 통일신라시대 초기인 약 1,200년 전에 유사한 장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대두류의 등장을 참조한다면 장류의 기원도 1,200년 전보다 훨씬 앞선 삼국시대 초기인 약 2,000년 전이 될 것으로 짐작된다. 그 후 조선초기에 이르기까지 장류 제조법에 대한 기록이 없어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으나 추측컨대 간장, 된장이 따로 따로 만들어졌고 간장의 경우는 진감장(陣甘醬)위주의 질척한 간장 ,된장이 혼합된 형태의 장류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명종조에 이르러 발간된 구황찰요(球荒撮要)의 내용으로 보아서 세종대왕 전후에 이미 장 만드는 기술이 다양하게 발달된 듯하며 콩 위주 아닌 콩과 진맥(眞麥)을 원료로 한 메주 따위로 만들어진 된장류들이 등장하고 취청장법(取淸醬法)의 기술발달로 된장, 간장류가 따로따로 만들어 졌다고 할 수 있다.
그 후 장 만드는 기술은 계속 발전하여 효종조에 이르러서는 추측컨대 장 만드는 것이 연례행사였고 즙장(汁醬), 포장(泡醬)등의 새로운 장 만드는 법이 보편화되었으며, 조선중엽에 들어서서 산림경제(山林經濟,1715년)등에는 45종에 달하는 장류 제조법이 분류 정리되어 있는데 현재 농촌이나 도시의 가정에서 만들고 있는 재래식 메주 제조방법은 이것에서 유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고추장의 역사는 된장만큼 오래 되지는 않았지만 날이 갈수록 그 쓰임새는 더 광범위해지고 있다. 임진왜란(1592년)무렵에 우리나라에 고추가 처음 들어왔고, 일반적으로 널리 재배된 것은 17세기 후반 무렵이다. 고춧가루를 언제부터 장에 넣기 시작했는지 확실치 않으나 아마 17세기 후반이었을 것으로 본다. 이즈음에 김치에 고춧가루와 젓갈을 함께 쓰게 되었다고 한다.
요즘은 사람들의 입맛이 점점 자극적인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 시중에서 파는 음식 맛이 전에 비해 많이 매워지고 있다. 고춧가루나 고추장이 들어가지 않은 음식이 드물 정도다. 이는 고추장이 단지 간을 맞추거나 맛을 내는 조미료 역할만이 아니라 다른 장이 갖지 않은 독특한 매운 맛을 지니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처럼 장류는 오랜 역사를 거쳐오는 동안 그 제법이 변화 발전되었으며 일반가정에 와서는 단순화되면서 오늘날에는 된장, 간장, 고추장 등이 주가 되고 그 외의 장류는 식도락의 일부로 사용되고 있다
-고추장의 맛
흔희들 고추장하면 매운맛 만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고추장은 단순히 매운맛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콩단백질의 분해로 아미노산의 구수한맛, 전분 분해로 생성된 당분의 단맛, 소금의 짠맛과 여기에 고춧가루의 매운맛이 잘어우러진 맛이 고추장의 참맛이다.
또한 고추장은 영양학적인 면으로도 뛰어나다.
고추장도 된장이나 간장 못지않게 영양이 풍부하다. 고추장에는 단백질 지방 비타민 b비타민 c 카로틴 등과 같은 우리몸에 유익한 영양성분이 많다.
또한 여러 실험결과에서 강한 항암작용을 하는것으로도 알려져있다.
이는 고추장이 생리 활성화와 항산화 물질등을 함유하고 있는 메주와 찹쌀 고춧가루 등의 기본 원료가 발료했기때문이다.
고추장은 비만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매운맛을 내는 캡사이신 성분이 체지방을 감소시킬뿐 아니라. 고춧가루 외에도 고추장 재료인 메주나 숙성때 생긴 성분이 체지방을 태우기 때문이다.
-고추장은 왜 순창인가?
영조 때 이표가 쓴 <수문사설(松聞事說)>(1740년) 중 식치방에 \'순창 고추장 조법\'에는 곡창지대인 순창지방의 유명한 고추장 담금법으로 전복·큰 새우·홍합·생강 등을 첨가하여 다른 지방과 특이한 방법으로 담갔는데,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순창 고추장은 옛부터 나라 임금님께 진상(進上)하였다고 하는데, 순창 고추장의 맛과 향기는, 순창에서 사용하는 똑같은 재료를 가지고 똑같은 사람과 똑같은 방법으로 타지방에 가서 담궈도 순창 고추장의 맛이 나지 않는다. 아마도 순창 고추장의 맛은 오염되는 않은 순창의 물맛과 순창의 기후와의 조화(調和)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매운맛
생리학상으로는 통각(痛覺)과 온도감각이 복합된 피부감각에 속한다. 매운맛을 내는 성분이 들어 있는 것을 향신료(香辛料)라고 한다. 매운맛을 느끼게 하는 식품의 성분에는 각종 화합물이 있어, 매운맛의 강약이나 방향(芳香) 등에 따라,
① 무취성 성분:캡사이신(함유식품은 고추)·산초올(산초)·채비신(후추)
② 자극취성 성분:아릴겨자유(油:겨자·고추냉이)·황화아릴(파)
③ 방향성 성분:계피알데히드[肉桂]·생강올(생강)·유제놀(올스파이스) 등으로 분류한다.
매운맛은 음식의 맛을 조정하여 식욕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소화를 돕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모든 요리에는 재료에 적합한 매운맛 성분을 함유하는 향신료를 이용하고 있다
매운것은 \"맛\"이 아니라 감각이다 그러니까 맵게 먹는것은 맛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09.28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15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