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택트 렌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콘택트 렌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소프트 렌즈
1) 근시용 렌즈
2) 원시용 렌즈
3)난시용 렌즈
4)치료용 렌즈
2. 산소투과성(RGP) 하드렌즈
3. 미용 컬러렌즈
4. 일회용 렌즈
5. 색맹/색약 보정 렌즈

본문내용

것이 곤란하다.
5. 색맹/색약 보정 렌즈
- 크로마젠
<크로마젠>렌즈는 눈으로 들어가는 빛을 조절하는 파장필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명확한 작용기전을 알 수 없으며, 색감인지를 포함하는 시각체계와 마찬가지로 아직 신비의 사실로 남아 있습니다. 정확한 렌즈의 선택은 각종 색깔과 필터의 밀도에 따라 사전의 정밀검사를 거쳐서 이루어집니다.
- 사용자
색맹/색약자는 누구에게나 적합합니다. 크로마젠 렌즈는 단순 유전성 색맹뿐만 아니라 보다 복합적 색맹의 경우에도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렌즈는 색의 감각을 극적은 수준으로 높여줌으로써 매우 밝고 황홀한 새로운 색의 세계를 볼 수 있게 해줍니다.
============================================================
<콘택트 렌즈의 변천>

<콘택트 렌즈의 역사>
콘텍트렌즈가 실용화 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부터였지만 그 이론적인 배경은16세기 초부터 시작되었다.
실제로 1508년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안경으로 교정할 수 없는 부정난시와 같은 각막의 불균형은 물을 담은 큰 용기를 눈앞에 놓음으로써 교정할 수 있으리라는 추측을 하였다. (그림 1) 또한 1636년 \'시력을 완벽하게 하는 길\'이라는 데카르트의 논문에서 눈의 굴절이상을 교정하기 위해 물이 담 긴 용기를 직접 눈에 접촉시킨다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그림 2)
그림1
콘택트렌즈가 실용화를 보인 것은 1884년 마취제의 도입이 시작되면서부터이다. 이때 개발된 렌즈는 눈의 흰 자위까지 완전히 덮는 렌즈로서 재질이 유리인 관계로 너무 무겁고 각막의 생리적인 면에 있어서 장시 간 착용은 힘들었다. 1930년 공막렌즈가 나옴과 동시에 눈 표면(각막과 공막)과 공막렌즈의 일치를 확일 할 수 있는 검사용 염료 인 플루오레스세인(fluores-cein)의 개발로 공막렌즈의 실질적인 사용을 가능케 했다. 점차 이러한 기술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1947년경 비로소 각막 콘택트렌즈가 만들어져 현재의 콘택트 렌즈와 같은 모양으로 발전하면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 및 산소(기체)투과가 용이한 재질의 개발 로 콘택트 렌즈의 장시간 착용은 물론 각막부종 등의 문제들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림2
*목차
1. 소프트 렌즈
1) 근시용 렌즈
2) 원시용 렌즈
3)난시용 렌즈
4)치료용 렌즈
2. 산소투과성(RGP) 하드렌즈
3. 미용 컬러렌즈
4. 일회용 렌즈
5. 색맹/색약 보정 렌즈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9.30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19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