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좋아하는 카메라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내가 좋아하는 카메라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Ⅰ. 카메라 전반
1.사진의 역사
2.카메라의 원리와 구조
1.)카메라 기본구조와 명칭
2.)카메라의 종류와 형태

Ⅱ.왜 미놀타인가?
1.미놀타........ 그 탁월한 선택
1)최고의카메라...a707si
2)미놀타 연보

Ⅲ.카메라 사용기
1. 내가 a-707si를 고집하는 이유
2. a 707si 사용기
3. 렌즈와 필터

Ⅳ.결론

*참고도서

본문내용

위해 있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이런 필터 중, 정말 필터다운 것으로는 U.V., P.L. 정도로 몇 가지밖에 되지 않는다. 그런데 왜 이 모든 것에 대해 필터라는 이름이 붙어 있는지 모르겠거니와 새롭게 무어라고 불러야 적절할 지도 생각나지 않는다.
필터란?
촬영용 필터는 피사체에 도달한 광선 중, 일부의 필요없는 광을 제거하거나 또는 증강하여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모양은 보통의 원형 유리제품과 角形의 두가지가 있고, 재질은 유리뿐 아니라 플라스틱, 얇은 젤라틴, 金屬網등으로 다양한 편으로 사용자가 준비한 모든 것이 필터가 될 수 있다. 원형 유리 필터는 렌즈의 앞이나 뒷부분에 나사식으로 돌려서 끼우게 되어 있으나 각형 필터는 전용 홀더를 이용하여 렌즈의 앞에 장착하도록 되어있다.
자외선을 제거하여 깔끔한 화질을 얻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U.V. 필터는 거의 무색투명하고 색재현에도 영향이 없어, 렌즈를 보호할 목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하는 또 하나의 필터로는 Skylight도 있다. 여기에는 약간의 마젠타성의 색이 들어있는데(kenko의 경우) 이는 색재현에 영향을 주는 수도 있다. 본인의 확인 결과, 약간의 마젠타-의 정도는 코닥 젤라틴 필터 CC025M과 색상과 농도가 거의 일치한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이 정도의 마젠타라면 보색인 녹색뿐 아니라 다른 모든 색상에도 영향을 주어 색재현에 미묘한 변화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 당연하나 이것이 반드시 나쁜 것만은 아니다.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 이외의 필터는 현재 발매되고 있는 카메라와 칼라 네가필름을 사용하는 정도의 일반적인 촬영에서는 반드시 준비해야 하는 필수 항목까지는 되지 않는다.
그러나 흑백용에 대하여는 보다 시각의 인상에 가까운 色彩明度를 얻으려 할 때에 황색계, 녹색계의 보정 필터를, 하늘의 구름을 보다 선명하게 나타내길 원한다면 등색, 적색계의 강조 필터를 사용하여 보다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칼라 리버슬(슬라이드)필름을 사용하여 촬영한다면, 필름의 특성과 피사체의 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 필터와 이의 적절한 사용을 위한 상식은 필수이다. 이 외에도 필터면에 특수한 처리를 하여 화상의 全面, 혹은 일부를 생략, 강조, 변환, 염색이 가능한 특수필터도 계속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특수 필터는 作畵의도와 취향에 따라 선택하게 되나 경제적인 여건이나 그 밖의 다른 이유로 모든 필터를 구비하는 것은 힘들며, 또한 의미도 약하다. 일반적으로 흑백용으로는 보호 필터 이외에 등색 또는 적색의 2매 정도, 칼라 리버슬필름에는 P.L., W, C 정도의 3매이면 기본적인 준비로는 그만이다.
일반용 필터
-흑백용 필터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흑백필름은 全可視域의 색광에 반응하는 팬크로매틱으로, 육안으로 느끼는 색광의 명도에 거의 가까운 濃淡으로 흑백의 톤으로 재현된다. 그러나 정확히는 청색은 조금 밝게, 황색과 녹색은 조금 어둡게 묘사된다. 그것을 보정하는데는 담황색의 필터가 사용된다. 결국 整色用이다. 또, 특정의 색을 강조하여, 명암차를 과장하기 위해서는 짙은 황색, 등색, 적색 등의 필터가 사용된다. 이것을 콘트라스트 필터라 한다.
필터의 특성으로서 광의 흡수, 투과를 알기 쉽게 말한다면, 흡수한다고 하는 것은 色帶를 필름 면까지 이어서 어둡게 묘사하는 것이고, 투과는 반대로 밝게 묘사하는 것이다.흑백용 필터의 기호는 1호, 2호 등 이외에, L-39이나 Y-48과 같이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일본제 필터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JIS(일본공업규격) 기호이며 필터의 흡수파장을 나노미터로 표시한 것이다. 주로 일본 내수용 제품이 이런 식으로 표시되어 있고 수출용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나 회사마다 모두 그런 것은 아니다.다층막 코팅-멀티코팅이라고도 한다.- 은 표면에 특수한 반사방지처리를 한 필터이다. 광의 투과성을 높이면서도 플레어나 고스트를 일으키는 자외선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다.
흑백용 필터의 효과
U V ; 자외선을 흡수하는 Sharp cut filter 이고 먼거리의 풍경을 다소 선명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거의 무색투명하여 노출배수에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보통 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황색계 ; Y기호로 표시하며 농도의 차에 따라 1~3호로 나눈다. 효과가 약한 1호는 색을 정리하는(고르게 하는) 整色用이며, 농도가 강한 것은 콘트라스트 강조용으로 사용된다.
등색계 (橙色系) ; YA 또는 O 기호로 표시하며 강한 콘트라스트 효과가 있고, 노출 배수는 2~4배가 필요하다. 먼거리 풍경의 克明한 묘사, 구름, 남성적인 터프한 皮膚感의 묘사 등에 쓰인다.
적색계 ; R 기호로 표시. 노출배수는 8배나 要한다. 자외선부터 등색의 일부까지 흡수하고 강한 콘트라스트 효과가 있어 약간 자연미가 모자라는 장면에서의 사용은 피하는 것이 좋다. 적외선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수품이다.
녹색계 ; PO, YG 기호로 표시. 0번은 황색, 1번은 녹색으로 둘 다 정색용이다. 여성 클로즈 업 사진에서 입술의 색을 조금 떨어뜨리기도 하고, 신록풍경을 촬영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흑백용 필터의 기호비교
JIS 기호 색 켄 코 도시바 B+W
L-39 - U V U V 010
Y-48 황색 Y 2 Y 2 021<022<023<040
O-56 황적 YA3 O 2 041
R-56 적색 R 1 R 2 090<091
황녹 PO 0 Y G 060
녹색 PO 1 - 061
칼라용 필터의 분류와 효과
칼라용 필터는 색온도 변환계(lite balansing filter=LB)와 색보정계(color confansation filter=CC)로 나눌 수 있다.
색온도 변환계 필터는 晝光용(day lite) 필름을 사용하여 텅스텐 조명에서 사용한다던지, 름이 짙게 낀 날 촬영하는 것처럼 필름 고유의 색온도와 피사체를 조명하는 광의 색온도 차를 보정한다.
색보정 필터는 Yellow, Mazenta, Cian을 기조로 하여 Blue, Green, Red의 6색을 사용하도록 나누어 칼라 발란스의 변환, 광원의 분광 특성의 부족을 보충하는 데 있다. 중부 경찰서 맞은편 골목의 코닥 프로
  • 가격1,9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8.12.12
  • 저작시기200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42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