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오락프로그램의 막말방송에 대한 내용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V오락프로그램의 막말방송에 대한 내용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 제기

2. 연구문제

3. 연구방법
가. 분석대상의 선택
나. 분석대상의 정의
(1)오락프로그램
(2)탈 공손 언어, 자막
(3)탈 공손 행동
다. 분석단위의 선정
라. 분석유목표
마. 분석결과보고

4. 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들을 불쾌하게 하여 시청률을 떨어뜨리는 것이 아닌 오락의 요소로서 활용되고 있다는 결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것이 탈 공손행위의 수가 높을수록 시청률이 높다는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다. 다만 탈 공손행위에 대한 수용자의 거부감이 심하지 않다는 결과는 증명가능하다.
<표10>시청률 순위와 분당횟수 순위
순위
시청률
분당 횟수
1
무한도전
무한도전
2
황금어장
해피선데이
3
해피투게더
라인업
4
해피선데이
황금어장
5
야심만만
해피투게더
6
라인업
야심만만
무한도전의 경우 탈 공손행위의 효과가 시청률에 적극 반영되었다. 그러나 다른 프로그램들은 그 관계가 모호하다. 더군다나 프로그램의 인지도 혹은 게스트, 출연진이 일으키는 효과도 존재하기 때문에 본 자료만으로는 시청률과의 관계를 증명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탈 공손행위와 시청률의 상관성은 증명하기 힘들다. 오히려 이 자료는 탈 공손행위와 시청률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다고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다.
4. 맺음말
지금까지 내용분석을 통하여 TV오락프로그램의 탈 공손행위를 분석해보았다. 분석결과, TV오락프로그램의 탈 공손행위의 절대적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출연진들의 말 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활자로 나타나는 자막의 탈 공손성 정도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막은 출연진의 멘트를 그래도 활자를 옮기는 경우도 있지만, 제작자의 의도가 들어가 원래의 말보다 자극적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분석결과에서 나타나듯이 말에 의한 탈 공손 수치보다, 자막으로 인한 탈 공손 수치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점은 단순히 출연진의 자질문제로 탈 공손문제를 한정할 수 없다는 점을 나타낸다. 출연진의 자질도 문제의 원인이기는 하지만, 프로그램 제작자들이 의도적으로 탈 공손행위를 부추긴다는 것을 내용분석 결과를 통해 유추할 수 있다.
연출자들이 더욱 자극적인 탈 공손행위를 부추기는 것에 대해 다양한 해석이 나올 수 있다. 최근에 많은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인기 개그맨의 행동이 탈 공손적이라는 설명도 가능하고, 가장 시청률이 높은 프로그램이 탈 공손행위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비슷한 포맷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려는 제작진의 의도로 인하여 탈 공손행위가 증가했다는 것도 타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부분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자세한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이번 내용분석에 내용에 들어난 것처럼 탈 공손행위의 증가가 시청률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물론 분당 탈 공손행위가 가장 높았던 프로그램이 예능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였지만, 그 다음으로 높았던 프로그램은 분석대상인 6개의 프로그램 중에서 4위를 기록하였다. 그 외 다른 프로그램들도 시청률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분명한 것은 이번 내용분석을 통해 드러난 것처럼 TV오락프로그램의 탈 공손수치가 3개 방송사를 불문하고 높은 수준을 나타낸다는 점이다. 오히려 공영방송인 KBS와 MBC는 민영방송인 SBS보다 훨씬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공익성을 우선으로 고려해야하는 공영방송의 역할에 비추어볼 때 이는 심각한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공영방송과 민영방송의 차이가 이런 논의의 정도를 결정짓는 것은 아니지만 공영방송에겐 기업의 이익보다는 공익을 위한 방송으로서의 자각이 필요하다고 본다.
탈 공손행위의 방지를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의 방송윤리위원회에서 행하고 있는 징계는 강력하지 못할 뿐더러 제재로서의 본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여러 TV오락프로그램이 사과명령을 받았지만, 시청자들이 잘 인식하지 못하는 짧은 시간에 사과문을 내보내기만 할 뿐, 다음 편에서도 똑같은 잘못이 표현된 프로그램을 방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탈 공손행위의 수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더욱 강력한 제재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제재조치 외에도 프로그램 제작자들의 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강력한 제재가 마련된다 하더라도 제작진의 자정의 노력이 없다면 제도적인 보완은 그 한계를 드러낼 것이다. 더욱이 과도한 제재는 프로그램 제작자들의 반발을 일으킬 가능성이 클 뿐더러, 각 방송사의 이익다툼의 도구로 비춰질 위험성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제작진들이 프로그램제작에 있어서 더욱 신중한 자세로 건전한 프로그램을 만들겠다는 의지가 필요하다.
이와 함께 탈 공손행위에 대한 연구도 더욱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아직 탈 공손행위에 대한 학자들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고, 어느 정도 까지가 사회적으로 용인될 수 있는 수준인지, 탈 공손행위는 어느 범위까지 정의해야하는지에 대한 합의가 도출되지 않고 있다. 본 내용분석도 탈 공손행위를 수치화하여 막연히 빈도수가 높다는 것을 알려줄 뿐, 정확히 현재의 심각성이 어느 수준인지를 알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탈 공손행위에 관한 연구가 먼저 선행되어야 윤리강령 제정, 징계 결정 등을 기준에 맞게 행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연구는 현재 TV오락프로그램의 탈 공손행위를 분석하여 현재의 실태를 설명하고 이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이 그 의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강길호. 1992a. 커뮤니케이션 목표와 체면 목표. 한국언론학보, 제27호.
1994.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공손전략. 한국언론학보, 제32호.
강연임. 2007. 오락프로그램 자막언어의 유형과 기능. 한국언어문학회. 제62권
김영용. 1999. 방송과 언어 : 오락 프로그램의 언어문제와 개선방안. 한국방송학회
오미영. 2006. 방송 언어의 탈 공손경향에 대한 분석.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전규찬. 2004. 텔레비전 오락의 문화정치학. 한울아카데미.
차인태. 2002. 방송언어 관계자(제작자, 출연자, 작가 등)의 언어자질 향상 방안연구. 방송 언어 사용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방송위원회.
*목차
1. 문제 제기
2. 연구문제
3. 연구방법
가. 분석대상의 선택
나. 분석대상의 정의
(1)오락프로그램
(2)탈 공손 언어, 자막
(3)탈 공손 행동
다. 분석단위의 선정
라. 분석유목표
마. 분석결과보고
4. 맺음말
* 참고문헌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9.30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19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