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비전 (Television)의 등장, 역사, 위력, 만들어지는 방법, 문제점 및 대안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텔레비전 (Television)의 등장, 역사, 위력, 만들어지는 방법, 문제점 및 대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텔레비전의 등장

II. 한국의 텔레비전 역사

III. 미국의 텔레비전 네트워크

IV. 텔레비전의 강력한 위력

V. 문화예술 매체로서의 텔레비전

VI. 뉴스 보도 매체로서의 텔레비전

VII.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VIII.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들 - PD

IX. 방송산업의 경제학

X. 시청률이란 무엇인가

XI.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대안

본문내용

에 필요한 기자재를 준비, 점검(카메라와 조명분야는 독자적인 준비)
스튜디오와 녹화기, 투시기 등을 사용할 시간 정함
- 연 기 자 : 극중인물 분석(나이, 직업, 성격적 특성, 가족관계, 용모, 신체적 특징 등)
* ‘녹화실 준비완료’, ‘영사실 준비완료’, 각 파트의 보고와 함께 연출자가 녹화실을 불러 녹화기 작동시간을 지시 -> 최종녹화에 들어가 작품 완성.
VIII.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들 - PD
☆ PD - Producer-Director의 머리 글자 딴 것(한 사람이 프로듀싱과 디렉팅을 겸함)
☆ 전국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제작할 경우
1. 연출 스태프
- 기획자(Producer) : 방송제작에 궁극적인 책임을 지는 사람.
- 연출자(Director) : 우리가 흔히 말하는 PD. 기획자의 개념을 실제 프로그램 속에서 해석
하고 형상화하는 일을 맡음. 영상과 소리 책임자. 출연자의 연기,
스태프들의 기기작동을 감독.
- 조연출자(Assistant Director) : 연출자가 프로그램 연출에 전념할 수 있도록 모든
준비를 돕는 사람. 예산집행 등 각종 행정처리와 무대나 야외현장 촬영 시 무대감독 혹은 현장감독의 역할.
본 반송 사전편집, 예고 프로그램 제작 등.
- FD(Floor Director) : 연출보조. 연출자와 조연출자를 돕는 사람.
- 작가 : 프로그램의 방향, 프로그램의 내용 등을 연출자와 함께 협의하여 프로그램 제작을
돕는 역할.
- 자료조사원 : 프로그램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참고문헌, 영상자료, 음향자료 등)를 찾고
정리하는 일.
2. 제작 스태프
- 기술감독(Technical Director, Switcher) : 기술적인 모든 것을 책임. 음향, 조명, 카메라
등의 기술 스태프들은 기술감독의 지휘통제를
받게 되며, 프로그램의 기술적인 질에 대한
책임을 짐.
- 카메라감독(Camera Director) : 텔레비전 카메라를 다룸. 야외에서 녹화를 하는 ENG(Electronic News Gathering) 카메라의 경우,
카메라의 역할이 더욱 커짐.
- 음향감독(Audio Director) : 방송제작의 음향을 책임. 쇼프로그램 제작의 경우 스튜디오의 마이크, 테이프 레코더, CD플레이어, 테이프 등 여러 가지 오디오 재료를 혼합하는 음향 콘솔의 자리.
- 조명감독(Light Director) : 프로그램 컨셉트에 맞는 조명계획을 짜고, 그 계획을 맞추어
조명을 배치하고 작동시킴.
- 비디오맨(Video Man) : 카메라 영상의 기술적 질에 책임. 화면밝기, 콘트라스트, 색채균형 등의 변조들을 조정.
- 세트디자이너(Set Designer) : 프로그램의 무대 및 무대장치를 고안하는 사람.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디자인 구상과 설치과정을 연출자와 조명감독과
긴밀히 상의하고, 스튜디오에 무대장치를 만드는 대도구
요원과 무대작동 담당자들을 감독.
- 특수효과담당 : 불꽃기둥, 눈, 비, 와이어 액션(Wire Action), 전식, 네온 등의 전기효과
등 특수효과.
- 소품담당 : 화면에 등장하는 소품이 작품의 디테일을 완성하는 역할을 하는 만큼
생각보다 중요.
- 편집감독(Editing Director) : 녹화된 원본 프로그램을 편집하는 총 책임자.
- 음향효과, 음악효과 : 프로그램 타이틀이나 엔딩, 그리고 본방시 극적효과나 감정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BGM(Background Misic)을 사용.
- 문자발생 요원: PD가 작성한 자막원고를 화면에 띄우거나, 자막의 색깔이나 형태뿐만
아니라 움직이는 동선을 정하는 역할.
☆ 구체적으로 PD란?
방송국이란 복잡한 조직에서 구체적인 프로그램제작을 담당하는 사람이다. 요즘은 방송국 숫자가 늘고 다양한 매체가 생겨서 PD도 늘고 담당업무도 다양하다. 웹PD나 정보통신분야의 PD를 제외하고라도 일반적인 방송국에만 교양, 예능, 드라마PD 등의 TV제작 PD가 있고 편성PD, 라디오 PD, 스포츠PD, 뉴스PD 도 있다. 요즘은 점점 더 분화되고 있는 편이다
☆ TV 제작국 PD의 구분
<교양 PD>
교양PD는 다큐와 정보 프로그램을 담당한다. 자연다큐, 휴먼다큐, 아침정보프로, 연예정보 프로, 행복 찾기 등의 주부대상프로, VJ프로, 시사고발, 시사정보 프로 등이 담당이다. 사회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과 한 가지를 집중적으로 파헤치는 능력이 요구된다.
<드라마 PD>
드라마를 연출한다. 일일, 미니, 아침, 단막극, 주말 드라마를 담당한다. 기획, 예산, 작가 및 연기자 섭외, 촬영 및 편집을 담당한다. 좋은 영상을 만드는 감각과 좋은 작품을 선택하는 눈이 중요하다.
<예능 PD>
크게 쇼(음악쇼)와 코미디를 맡는다. 요즘은 대개 버라이어티 쇼라는 형식으로 방송된다. 토크쇼, 퀴즈쇼 등도 포함된다. 시트콤은 기본이 콩트 코미디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코미디의 경험이 많은 예능국 PD들이 맡는다. 연기자의 섭외능력과 아이디어를 영상으로 옮기는 감각이 필수적이다.
IX. 방송산업의 경제학
1. 방송매체가 경제적 이윤을 얻는 4가지 방법
가. 프로그램과 같은 매체상품의 직접 판매나 그에 따른 가입료 징수.
나. 정보나 프로그램의 내용을 보거나 들음으로써 지급하는 시청료와 같은 사용료 징수.
다. 광고와 같은 상업적 재원에 의존하는 방법.
라. 정부보조나 법인, 기관의 후원에 의존하는 방식.
- 일반적인 주 수입원은 예산. 수신료. 광고료가 대부분이다.
2. 수신료 문제
- 공영방송의 경우 수신료는 주된 수입원이다.
- KBS - 광고 : 수신료 = 4:6
세계적인 공영방송의 비율은 6:4. 우리나라에서는 9,500원의 추가비용 요구됨
참고 : 시청료 거부 운동
- MBC나 SBS는 광고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
3. 지상파 방송사와 광고 매출
가. 2005년 방송 3사 광고 수주액은? (TV 광고 기준)
MBC : 7천 9백 47억원 (2004년 8천 4백 79억원에 비해 6.3% 감소)
- 연말 PD수첩 광고중단 사태로 큰 영향
SBS : 5천 1백 4억원 (2004년 5천 1백 66억원에 비해 1.2% 감소)
KBS : 6천 2백 28억원 (6
  • 가격2,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8.10.0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27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