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종이접기의 특징에 대한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종이접기의 특징에 대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기원성
2.1.1. 종이접기의 유래와 역사
2.1.2. 종이에 담긴 사상
2.2. 다량성

3. 결론

4. 참고문헌

5. 그림

본문내용

온바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일본의 종이접기의 영향을 받기 이전인 1900년 전의 것을 대상으로 했다.
16세기에 멋진 냅킨을 접는 방법이 실용화되었는데, 이러한 접기는 현재 종이접기의 한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다. 유럽에서는 이러한 냅킨과 그 밖의 천을 접는 것이 종이 접기에 대한 아이디어에 좋은 기본적인 바탕을 이루고 있다. 캘롭은 다빈치(\'da Vinci)가 코덱스 아틀란티커스(\'Codex Atlanticus\')에서 보여준 기하학적 종이 접기 작품들에 대해서 언급했으며, 루이스 캐롤(Lewis Caroll)과 쉘리(Shelley)는 종이접기의 열렬한 추종자라고 묘사하고 있다. 요시자와는 작가 빅토르 휴고(Victor Hugo)역시 종이접기 애호가의 한사람으로 언급했다. 그 후 유럽의 종이접기는 일본의 영향을 받아 발전해 갔으며, 1965년에 시드니 프렌치는 영국에서 그의 포토폴리오 그룹을 발족시켰고 1967년에 영국 종이 접기 협회(British Origami Society)가 설립되었다. 이 협회는 현재 세계에서 종이 접기에 대해 가장 중요 한 도서관 중에서 하나이며 그 회원은 세계적인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종이접기 외에 종이감기 그림<2>
라는 또 다른 종이공예가 유럽에서 유행했다. 종이 띠를 바늘같이 생긴 도구에 빙 돌려 감는 이 종이 공예는 수도원의 수녀들의 취미활동으로 시작되어 500여 년 동안 인기를 끌어왔다. 꼬불꼬불 얽힌 종이 소용돌이 장식으로 꾸며진 납골 상자를 유럽의 박물관에서 아직 볼 수 있다. 18세기말과 19세기 초가 되자 종이가 더욱 널리 보급되었고 그 가격도 훨씬 저렴해지자 장식을 하는 공예품에 종이를 상요 하는 방법이 싹트기 시작했다. 그 당시 영국 에서는 종이감기 공예가 패션 감각이 있는 여성들에게 어울리는 취미활동으로 여겨졌다. 따라서 상류층과 중류층의 많은 여성들이 종이감기 공예의 전문가가 되었다. 적어도 여성 잡지 중의 하나는 종이감기 공예에 대한 상세한 기사를 실었으며 다른 잡지들도 견본에 대한 기사를 실었다. 엘리자베스 공주도 종이 감기 공예로 만든 가리개를 자신의 의사에게 선물한 적이 있었는데 지금 그것은 빅토리아&앨버트 박물관 (Victoria & Albert museum)에 소장되어 있다. 심지어 소설가 제인오스틴(Jane Austen)도 자신의 작품 [감각과 감성(1811)]
에서 \"종이공예\" 바구니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바구니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차를 넣는 차 상자, 접시, 방화용 가리개, 가구등과 같은 다른 일상 생활용품들도 종이감기공예 작품으로 정교하게 꾸며졌다.
3. 종이접기의 역사에서 들어나는 차이점
이와 같이 동, 서양의 종이접기 문화는 그 유래에서 큰 차이가 난다. 동양, 특히 한국의 종이접기가 그 유래부터 기원적(祈願)인 의미가 담긴 제기(祭器)로부터 시작하여 소원을 담은 고갈 모자 등 의례적인 의미의 종이접기가 계속 발전해 온데 반해 유럽의 종이접기는 그 초기부터 취미활동의 하나로 시작되었다. 때문에 주로 생활용품을 꾸미는 장식용으로 이용된 경우가 많았다. 이는 종이가 전래된 과정과 종이에 대한 생각에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을 것 같다. 문화적 종주국이었던 중국으로부터 종이가 전래된 한국 한편으로는 닥종이를 물로 뭉친 것 같은 물질이 발견됨으로써 중국보다 앞선 우리 특유의 제지술이 존재하지 않았을까 하고 추측되고 있다.
과 상당히 이질적인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아랍인과의 전쟁에서 아랍인 포로를 통해 종이가 전래된 유럽은 종이의 전래과정에서부터 종이에 대한 생각에 차이가 생겼을 것이다. 더욱이 유럽은 1336년에 독일 뉘렌베르그에 제지공장을 탄생하였고, 14세기와 15세기에 걸쳐 오스트리아, 벨기에, 영국 등에 제지공장이 속속 생겨났다. 1450년 구텐베르크가 발명한 활자 인쇄기술은 급속하게 유럽전역에 퍼져 16세기에는 유럽각국에 200여개의 인쇄소가 생겨나고 종이의 수요도 자연히 증가하였다. 때문에 종이의 공급이 충분하였고 종이가 전달의 매체 이상의 의미를 가지기 힘들었다. 그러나 한국은 일본의 침략이 시작된 19세기 후반에야 근대적인 양지시설과 제지기술이 보급되었고 그 전의 종이제조는 나라에서 독정되어 왔으므로 공급이 부족했다. 때문에 종이의 가치는 매우 높게 평가받았고 때문에 종이접기가 제기(祭器)등에서 의례적인 의미를 가지고 사용될 수 있었던 것이다.
2.1.2 종이에 담긴 사상 이선원홍창호김한영김정환, “종이에서 조형까지”, 한국 한지 작가 10년 논문집, 문예진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0.05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29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