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 선정 이유
2. 조사 대상 및 목적
3. 현상 개괄
티베트족(藏族)
⑴ 개요
(2) 중국과의 갈등
위구르족(維吾爾族)
⑴ 개요
(2) 중국과의 갈등
4. 소결
참고문헌
2. 조사 대상 및 목적
3. 현상 개괄
티베트족(藏族)
⑴ 개요
(2) 중국과의 갈등
위구르족(維吾爾族)
⑴ 개요
(2) 중국과의 갈등
4. 소결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주제 선정 이유
얼마 전 티베트에서는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독립을 주장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이를 탄압하는 과정에서 유혈사태가 빚어졌는데 이러한 티베트와 중국 공산당간의 갈등에는 서로 다른 종교문화에서 비롯된 종교적 이질감이 주된 원인이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티베트뿐만 아니라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도 이전부터 잦은 독립요구시위와 최근 중국으로부터 독립해 이슬람 공화국을 세우려는 동투르키스탄 이슬람운동(ETIM) 단체의 남방항공 납치사건 등 종교문화의 차이가 갈등을 야기시키는 주된 원인이라 생각되었다.
2. 조사 대상 및 목적
⑴ 조사 대상
한족을 제외한 중국의 55개 소수민족 중 중국공산당정부 혹은 한족과의 잦은 갈등과 최근 독립요구가 거세지고 있는 티베트족(藏族)과 위구르족(維吾爾族)을 선정하여 각 민족의 종교 및 풍속문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갈등을 빚을 수밖에 없었던 중국 정부의 문화탄압 정책이나 조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여기서 중국정부의 정책이나 실행은 당 내부의 핵심지위를 차지하고 정책을 제시하는 99% 한족들에 의한 것이므로 ‘한족=공산당정부’ 라 보아도 무리가 없다고 할 수 있겠다.
이번 티베트 유혈 사태와 관련하여 대다수 한국에 거주하는 한족 중국 사람들이 생각하는 입장 및 소수민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인하대학교 유학생과 일반 중국인들에게 설문을 의뢰하였다.
⑵ 조사 목적
각 민족의 종교나 종교적 풍속습관을 살펴봄으로써 왜 그들이 한족과 쉽게 융화되지 못하고 또 독립을 요구하는지 그 이유를 찾고자 한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중국 학생들은 이러한 갈등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어떠한 견해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에 대해 알고자 한다.
3. 현상 개괄
티베트족(藏族)
⑴ 개요
① 인구: 약 723만 명.
② 분포: 거의 전국 각 지역에 골고루 분포돼 있음. 주로 한족과 혼거하고 있고 비교적 많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은 서북쪽 닝
얼마 전 티베트에서는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독립을 주장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이를 탄압하는 과정에서 유혈사태가 빚어졌는데 이러한 티베트와 중국 공산당간의 갈등에는 서로 다른 종교문화에서 비롯된 종교적 이질감이 주된 원인이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티베트뿐만 아니라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도 이전부터 잦은 독립요구시위와 최근 중국으로부터 독립해 이슬람 공화국을 세우려는 동투르키스탄 이슬람운동(ETIM) 단체의 남방항공 납치사건 등 종교문화의 차이가 갈등을 야기시키는 주된 원인이라 생각되었다.
2. 조사 대상 및 목적
⑴ 조사 대상
한족을 제외한 중국의 55개 소수민족 중 중국공산당정부 혹은 한족과의 잦은 갈등과 최근 독립요구가 거세지고 있는 티베트족(藏族)과 위구르족(維吾爾族)을 선정하여 각 민족의 종교 및 풍속문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갈등을 빚을 수밖에 없었던 중국 정부의 문화탄압 정책이나 조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여기서 중국정부의 정책이나 실행은 당 내부의 핵심지위를 차지하고 정책을 제시하는 99% 한족들에 의한 것이므로 ‘한족=공산당정부’ 라 보아도 무리가 없다고 할 수 있겠다.
이번 티베트 유혈 사태와 관련하여 대다수 한국에 거주하는 한족 중국 사람들이 생각하는 입장 및 소수민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인하대학교 유학생과 일반 중국인들에게 설문을 의뢰하였다.
⑵ 조사 목적
각 민족의 종교나 종교적 풍속습관을 살펴봄으로써 왜 그들이 한족과 쉽게 융화되지 못하고 또 독립을 요구하는지 그 이유를 찾고자 한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중국 학생들은 이러한 갈등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어떠한 견해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에 대해 알고자 한다.
3. 현상 개괄
티베트족(藏族)
⑴ 개요
① 인구: 약 723만 명.
② 분포: 거의 전국 각 지역에 골고루 분포돼 있음. 주로 한족과 혼거하고 있고 비교적 많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은 서북쪽 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