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기 전에
2. 광고에 나타나는 고정적인 여성상과 여성언어
(1) 대표적 여성 언어
(2) 광고에 나타나는 고정적인 여성상과 여성언어
(3) 광고에 나타난 고정적 남성상과 남성언어
3. 광고 속에서 변화한 여성상과 여성언어
4. 마치면서
5. 참고 문헌
2. 광고에 나타나는 고정적인 여성상과 여성언어
(1) 대표적 여성 언어
(2) 광고에 나타나는 고정적인 여성상과 여성언어
(3) 광고에 나타난 고정적 남성상과 남성언어
3. 광고 속에서 변화한 여성상과 여성언어
4. 마치면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실정이다. 잡지광고에 나타난 여성 고정관념에 대한 연구 2005 하지영
하지만 광고가 점점 변화해 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요즘은 남성 모델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자동차 광고를 여성 모델이 맡기도 하고 여성 모델만이 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화장품 광고를 남성 모델이 맡기도 한다. 이러한 광고 속에서는 성별에 따른 어휘 선택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편이다.
예를 들어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① 현대 <투싼> 광고- 이효리 편
상대 높임법을 사용하지 않는 당당한 여성을 나타낸 예이효리의 노래 <톡톡톡>이 배경음악으로 깔린다.
그리고 영상에 따라 자막이 뜬다.
모험- 이 사랑을 먼저 시작한 것은 나였다.
위험- 밀어낼수록 강해지는 건 사랑이다.
실험- 성공도 그도 내 마음에 가둬두겠다.
사랑한다면 이들처럼 투싼
이효리 나레이션: 내 안의 자유 본능 투싼!
여태까지의 자동차 광고는 오로지 남성들에 의해 인식되고 상업화되었다. 또한 명백히 남성적 동경에 부응하는 대상이었다. 외부를 향한 분출, 힘의 표현, 동력화와 기계와 속도에 대한 남성의 취향에 부응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일부 사회적인 성공과 고급차를 연합시키면서, 문화적으로 소위 ‘남성적인’ 가치들이 자동차를 지배하던 때에는 ‘마초’의 특성이 자동차 광고를 지배했다. 여성언어로써의 자동차 광고 표현 연구 2005 박혜진
위에 예시로 든 GM대우 윈스톰 익스트림 광고가 ‘마초’적 특성을 가진 광고의 대표라 할 수 있겠다. ‘마초’적이기 때문에 남성이 모델로 기용되고 남성적 발화를 하곤 했다.
그에 반해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한 투싼 광고는 여성성과 남성성을 동시에 지닌다. <사랑>이라는 여성적 어휘표현과 <성공>, <자유>, <본능> 등의 남성적 어휘표현을 함께 사용했으며 일반적인 여성 광고에서 사용하는 상대높임법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당당한 여성상을 나타냈다.
②-1 SK 광고 -인순이 편
여성이 남성성을 나타내는 어휘 표현 사용한 예
자신의 노래 <거위의 꿈>을 틀어놓고 따라 부르며 차를 모는 인순이
음악은 계속 흘러나오고 인순이가 주유소에 들어선다. 주유소 직원이 뛰어나오며
주유소 직원: 어서오세요~ 언니 팬이에요!
인순이: 이 노래 부를 줄 알아요?
주유소 직원: 그럼요~ 그래요~난~ 난 꿈이 있어요~
인순이 나레이션: 늘 지켜봐주는 사람들이 있어 힘이 납니다.
남성 목소리 나레이션: 내가 살아가는 힘 SK!
<힘>이라는 단어는 보통 남성성을 나타낸다. 이 광고에서는 <힘>이라는 단어를 여성인 인순이가 내뱉음으로서 요즘 현실의 여성의 모습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이 광고에서는 자아 성취의 여성 즉, 자신의 사는 보람을 사회 속에서 찾으려는 여성, 또한 ‘보다 정신적으로 풍요로운 생활’을 추구하는 사회적인 활동을 하는 여성 인간으로서의 여성광고 표현 연구 2003 백원선
을 보여주기 위해 <힘>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위의 예와는 반대로 남성이 여성성을 나타내는 어휘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한 예이다.
②-2 더 페이스
하지만 광고가 점점 변화해 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요즘은 남성 모델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자동차 광고를 여성 모델이 맡기도 하고 여성 모델만이 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화장품 광고를 남성 모델이 맡기도 한다. 이러한 광고 속에서는 성별에 따른 어휘 선택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편이다.
예를 들어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① 현대 <투싼> 광고- 이효리 편
상대 높임법을 사용하지 않는 당당한 여성을 나타낸 예이효리의 노래 <톡톡톡>이 배경음악으로 깔린다.
그리고 영상에 따라 자막이 뜬다.
모험- 이 사랑을 먼저 시작한 것은 나였다.
위험- 밀어낼수록 강해지는 건 사랑이다.
실험- 성공도 그도 내 마음에 가둬두겠다.
사랑한다면 이들처럼 투싼
이효리 나레이션: 내 안의 자유 본능 투싼!
여태까지의 자동차 광고는 오로지 남성들에 의해 인식되고 상업화되었다. 또한 명백히 남성적 동경에 부응하는 대상이었다. 외부를 향한 분출, 힘의 표현, 동력화와 기계와 속도에 대한 남성의 취향에 부응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일부 사회적인 성공과 고급차를 연합시키면서, 문화적으로 소위 ‘남성적인’ 가치들이 자동차를 지배하던 때에는 ‘마초’의 특성이 자동차 광고를 지배했다. 여성언어로써의 자동차 광고 표현 연구 2005 박혜진
위에 예시로 든 GM대우 윈스톰 익스트림 광고가 ‘마초’적 특성을 가진 광고의 대표라 할 수 있겠다. ‘마초’적이기 때문에 남성이 모델로 기용되고 남성적 발화를 하곤 했다.
그에 반해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한 투싼 광고는 여성성과 남성성을 동시에 지닌다. <사랑>이라는 여성적 어휘표현과 <성공>, <자유>, <본능> 등의 남성적 어휘표현을 함께 사용했으며 일반적인 여성 광고에서 사용하는 상대높임법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당당한 여성상을 나타냈다.
②-1 SK
여성이 남성성을 나타내는 어휘 표현 사용한 예
자신의 노래 <거위의 꿈>을 틀어놓고 따라 부르며 차를 모는 인순이
음악은 계속 흘러나오고 인순이가 주유소에 들어선다. 주유소 직원이 뛰어나오며
주유소 직원: 어서오세요~ 언니 팬이에요!
인순이: 이 노래 부를 줄 알아요?
주유소 직원: 그럼요~ 그래요~난~ 난 꿈이 있어요~
인순이 나레이션: 늘 지켜봐주는 사람들이 있어 힘이 납니다.
남성 목소리 나레이션: 내가 살아가는 힘 SK!
<힘>이라는 단어는 보통 남성성을 나타낸다. 이 광고에서는 <힘>이라는 단어를 여성인 인순이가 내뱉음으로서 요즘 현실의 여성의 모습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이 광고에서는 자아 성취의 여성 즉, 자신의 사는 보람을 사회 속에서 찾으려는 여성, 또한 ‘보다 정신적으로 풍요로운 생활’을 추구하는 사회적인 활동을 하는 여성 인간으로서의 여성광고 표현 연구 2003 백원선
을 보여주기 위해 <힘>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위의 예와는 반대로 남성이 여성성을 나타내는 어휘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한 예이다.
②-2 더 페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