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태백산맥」에 나타난 전남방언의 범위와 특징
(1) 음운체계
(2) 음운론적 특징
(3) 문법적 특징
2. 「태백산맥」에 나타난 전라남도 방언의 어휘와 의미
3. 「태백산맥」에 나타난 언어적 형태
4. 「태백산맥」 속에서 나타난 방언의 효과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태백산맥」에 나타난 전남방언의 범위와 특징
(1) 음운체계
(2) 음운론적 특징
(3) 문법적 특징
2. 「태백산맥」에 나타난 전라남도 방언의 어휘와 의미
3. 「태백산맥」에 나타난 언어적 형태
4. 「태백산맥」 속에서 나타난 방언의 효과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오늘날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 즉 표준화의 권세는 그 어느 때보다도 높다고 할 수 있다. 대중매체의 발달, 교육의 보편화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표준어의 보급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러한 상황에 기대어 앞으로 우리의 말이 완전 표준어 일색으로 통일되리라고 예측하는 사람이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오산이 될 가능성이 크다. 언어는 본래 이질성과 다양성을 그 본질로 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 방언이란 것이 그렇게 하루아침에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릴 수 있는 존대도 아니기 때문이다.
“뭐 할라고 그랬냐?”라고 묻는 그 순간들로, “오매, 깜박 잊어부렀다.”라고 놀라는 그 순간들로 우리들의 일상은 채워진다. 이처럼 우리의 일상생활은 물론이거니와 시, 소설, 수필. 속에서도 우리의 방언들은 생생하게 살아 숨쉬고 있다.
그럼 우리의 생활에서, 우리의 글에서 살아 숨쉬고 있는 방언 중, 80년대 이후 한국 소설문학의 최고봉의 자리를 지키고 있는 조정래의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전남방언의 특징에 관하여 연구해 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태백산맥」에 나타난 전남방언의 범위와 특징
전라남도 방언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어떻게 방언권이 형성되었는지는 매우 궁금한 일이다. 이러한 문제는 전라남도가 마한의 옛터였고 백제가 마한을 통합할 때까지 약 4세기동안 마한과 백제가 공존관계였다는 점, 백제의 전, 중기 지역이 중부지역이었다는 점, 그 후 마한은 백제에 통합되어 약 3세기 동안 지내다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자 신라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는 점, 중세국어의 형성이 다른 지역어를 상층으로 가지면서도 신라어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논의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만을 고려하여 전라남도 방언의 경계선을 결정짓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한 방언과 다른 방언과의 명확한 경계가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방언의 경계가 인위적인 행정구획과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방언적 특질의 경계선을 등어선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등어선을 엄격하게 따지면 각기 그 방향이 다른 것임은 분명하나, 어떠한 등어선은 그 몇 가지가 대체로 비슷한 방향을 향해 달리는 일이 있다. 그러므로 이번 시간에는 이러한 등어선의 묶음을 토대로 음운, 문법, 어휘. 어법 등의 언어의 구조적 차이를 면밀히 조사하여 「태백산맥」이라는 작품을 통하여 전남방언의 범위와 특징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음운체계
1) 모음체계 : 전남의 동부지역 - 10모음체계(/i, e, , , , , , , u, o/)
전남의 서부지역 - 9모음체계(/i, E, , , , , , u, o/)
2) 자음체계 : 표준어와 마찬가지로 19개의 자음체계
구분
양순음
치경음
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파열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
3)운소체계 : 자음과 모음의 대립에 의해서 단어의 의미가 변절되기도 하지만, 소리의 길고 짧음(음의 장단 : 음장)이나 높낮이(음의 고정 : 성조)에 따라서 단어의 의미가 구별되기도 한다. 대개 전남방언은 경기, 충청 방언등과 함께 음의 장단이 단어의 의미를 달라지게 하는 변별적 기능을 수행한다.
(2) 음운론적 특징
1) 모음조화
전남지역에서 일음절 어간에 어미가 결합되었을 때에 모음조화의 양상을 보여준다. 전남지역에서 어휘에 따라 모음조화의 실현양상이 상당히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삶-’의 경우 전남 전 지역에서 ‘아’를 선택하지만, ‘살-, 알-, 감-, 닦-’의 경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주로 서부전남지역에서 ‘어’가 선택된다.
「찍소리 말고 팍팍 삶아뿌러!」-381
「아니, 그리 약조가 되았다고, 말만 전허면 정 사장이 다 알어서 헐 것이라고 핀지에씨였었소.」-854
그리고 다음절어간의 일음절 모음이 ‘아’와 ‘애’인 경우에 대부분의 지역에서 ‘아’와 ‘애’가 양성모음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참말로, 배왔다는 사람이 워째 이리 말귀럴 못 알아 묵고 벽창호까?」-2061
2) 구개음화
구개음화는 구개음이 아닌 ‘ㄷ, ㄱ, ㅎ’이 ‘이’모음 앞에서 ‘ㅈ, ㅅ’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이다. ‘ㄷ’이 ‘ㅈ’으로 바뀌는 소리의 변화를 ‘ㄷ’-구개음화라고 하는데, 이러한 소리의 변화는 평안방언(평안남북도)을 제외한 모든 방언에서 일어난다. ‘ㄱ’이 ‘ㅈ’으로 바뀌는 소리의 변화는 ‘ㄱ’-구개음화이며, ‘ㅎ’이 ‘ㅅ’으로 바뀌는 것은 ‘ㅎ’-구개음화이다.
‘ㄱ’구개음화 : 「으쩌요, 닭지름은 다 장만혔소?」-2506
‘ㄷ’구개음화 : 「다 숭악허고 징헌 도적눔덜이여.」-1150
‘ㅎ’구개음화 : 「아이고메 성님, 숨 잠깐 들이고 헙시다.」-1161
3) 어두경음화 현상
말의 첫머리에서 아무런 조건 없이 ‘ㅅ, ㅈ, ㅂ, ㄷ, ㄱ’가 경음으로 실현되는 음운현상을 어두경음화라고 한다. 이러한 어두경음화는 일찍부터 경상남도와 호남방언에서 나타나는 한 특징으로 주목을 받아왔다. 호남방언에서도 지역에 따라서 실현 어휘나 그 실현빈도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으나 활발하게 실현되는 음운현상 중의 하나이다.
「요것 까시제라.」-1856
「누나 넌 지집앤게 그런 말 허는 겨. 나넌 꼬치 달린 사내새씨여!」-1612
4) 자음군 단순화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이나 용언(동사, 형용사)의 겹받침들은 자음으로 시작되는 조사나 어미와 결합할 때, 혹은 단독형으로 쓰이는 경우 세 개의 자음 중에서 반드시 자음 하나는 탈락하기 마련이다(흑도(흙도), 닥도(닭도)등). 전남방언에서는 ‘닭, 칡, 흙, 삯, 넋’등은 ‘ㄹ’이나 ‘ㅅ’이 탈락하여 받침으로 ‘ㄱ’만 가지는 단어로 재구조화된다.
용언(형용사)나 동사의 경우에는 ‘없다, 읽다, 늙다, 굶다, 젊다,
오늘날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 즉 표준화의 권세는 그 어느 때보다도 높다고 할 수 있다. 대중매체의 발달, 교육의 보편화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표준어의 보급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러한 상황에 기대어 앞으로 우리의 말이 완전 표준어 일색으로 통일되리라고 예측하는 사람이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오산이 될 가능성이 크다. 언어는 본래 이질성과 다양성을 그 본질로 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 방언이란 것이 그렇게 하루아침에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릴 수 있는 존대도 아니기 때문이다.
“뭐 할라고 그랬냐?”라고 묻는 그 순간들로, “오매, 깜박 잊어부렀다.”라고 놀라는 그 순간들로 우리들의 일상은 채워진다. 이처럼 우리의 일상생활은 물론이거니와 시, 소설, 수필. 속에서도 우리의 방언들은 생생하게 살아 숨쉬고 있다.
그럼 우리의 생활에서, 우리의 글에서 살아 숨쉬고 있는 방언 중, 80년대 이후 한국 소설문학의 최고봉의 자리를 지키고 있는 조정래의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전남방언의 특징에 관하여 연구해 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태백산맥」에 나타난 전남방언의 범위와 특징
전라남도 방언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어떻게 방언권이 형성되었는지는 매우 궁금한 일이다. 이러한 문제는 전라남도가 마한의 옛터였고 백제가 마한을 통합할 때까지 약 4세기동안 마한과 백제가 공존관계였다는 점, 백제의 전, 중기 지역이 중부지역이었다는 점, 그 후 마한은 백제에 통합되어 약 3세기 동안 지내다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자 신라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는 점, 중세국어의 형성이 다른 지역어를 상층으로 가지면서도 신라어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논의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만을 고려하여 전라남도 방언의 경계선을 결정짓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한 방언과 다른 방언과의 명확한 경계가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방언의 경계가 인위적인 행정구획과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방언적 특질의 경계선을 등어선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등어선을 엄격하게 따지면 각기 그 방향이 다른 것임은 분명하나, 어떠한 등어선은 그 몇 가지가 대체로 비슷한 방향을 향해 달리는 일이 있다. 그러므로 이번 시간에는 이러한 등어선의 묶음을 토대로 음운, 문법, 어휘. 어법 등의 언어의 구조적 차이를 면밀히 조사하여 「태백산맥」이라는 작품을 통하여 전남방언의 범위와 특징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음운체계
1) 모음체계 : 전남의 동부지역 - 10모음체계(/i, e, , , , , , , u, o/)
전남의 서부지역 - 9모음체계(/i, E, , , , , , u, o/)
2) 자음체계 : 표준어와 마찬가지로 19개의 자음체계
구분
양순음
치경음
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파열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
3)운소체계 : 자음과 모음의 대립에 의해서 단어의 의미가 변절되기도 하지만, 소리의 길고 짧음(음의 장단 : 음장)이나 높낮이(음의 고정 : 성조)에 따라서 단어의 의미가 구별되기도 한다. 대개 전남방언은 경기, 충청 방언등과 함께 음의 장단이 단어의 의미를 달라지게 하는 변별적 기능을 수행한다.
(2) 음운론적 특징
1) 모음조화
전남지역에서 일음절 어간에 어미가 결합되었을 때에 모음조화의 양상을 보여준다. 전남지역에서 어휘에 따라 모음조화의 실현양상이 상당히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삶-’의 경우 전남 전 지역에서 ‘아’를 선택하지만, ‘살-, 알-, 감-, 닦-’의 경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주로 서부전남지역에서 ‘어’가 선택된다.
「찍소리 말고 팍팍 삶아뿌러!」-381
「아니, 그리 약조가 되았다고, 말만 전허면 정 사장이 다 알어서 헐 것이라고 핀지에씨였었소.」-854
그리고 다음절어간의 일음절 모음이 ‘아’와 ‘애’인 경우에 대부분의 지역에서 ‘아’와 ‘애’가 양성모음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참말로, 배왔다는 사람이 워째 이리 말귀럴 못 알아 묵고 벽창호까?」-2061
2) 구개음화
구개음화는 구개음이 아닌 ‘ㄷ, ㄱ, ㅎ’이 ‘이’모음 앞에서 ‘ㅈ, ㅅ’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이다. ‘ㄷ’이 ‘ㅈ’으로 바뀌는 소리의 변화를 ‘ㄷ’-구개음화라고 하는데, 이러한 소리의 변화는 평안방언(평안남북도)을 제외한 모든 방언에서 일어난다. ‘ㄱ’이 ‘ㅈ’으로 바뀌는 소리의 변화는 ‘ㄱ’-구개음화이며, ‘ㅎ’이 ‘ㅅ’으로 바뀌는 것은 ‘ㅎ’-구개음화이다.
‘ㄱ’구개음화 : 「으쩌요, 닭지름은 다 장만혔소?」-2506
‘ㄷ’구개음화 : 「다 숭악허고 징헌 도적눔덜이여.」-1150
‘ㅎ’구개음화 : 「아이고메 성님, 숨 잠깐 들이고 헙시다.」-1161
3) 어두경음화 현상
말의 첫머리에서 아무런 조건 없이 ‘ㅅ, ㅈ, ㅂ, ㄷ, ㄱ’가 경음으로 실현되는 음운현상을 어두경음화라고 한다. 이러한 어두경음화는 일찍부터 경상남도와 호남방언에서 나타나는 한 특징으로 주목을 받아왔다. 호남방언에서도 지역에 따라서 실현 어휘나 그 실현빈도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으나 활발하게 실현되는 음운현상 중의 하나이다.
「요것 까시제라.」-1856
「누나 넌 지집앤게 그런 말 허는 겨. 나넌 꼬치 달린 사내새씨여!」-1612
4) 자음군 단순화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이나 용언(동사, 형용사)의 겹받침들은 자음으로 시작되는 조사나 어미와 결합할 때, 혹은 단독형으로 쓰이는 경우 세 개의 자음 중에서 반드시 자음 하나는 탈락하기 마련이다(흑도(흙도), 닥도(닭도)등). 전남방언에서는 ‘닭, 칡, 흙, 삯, 넋’등은 ‘ㄹ’이나 ‘ㅅ’이 탈락하여 받침으로 ‘ㄱ’만 가지는 단어로 재구조화된다.
용언(형용사)나 동사의 경우에는 ‘없다, 읽다, 늙다, 굶다, 젊다,
추천자료
백석의 시 세계
김현승의 시세계의 특성과 시기별 작품분석 - 3기로 나눈 작품예제와 분석
김현승 시의 주제의식이 변모·발전되어가는 양상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중간 2단원 중심내용 파악하기 예상문제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중간 2단원 중심내용 파악하기 예상문제(교사용)
[과외]고등 일반사회 1학기 기말 예상문제 04
[과외]고등 일반사회 1학기 기말 예상문제 08
작가 김승옥에 대해서
레포트_미술(한국현대50년대미술앵포르멜운동)
독일의 사회언어학
김승옥 작품 읽기.. <환상수첩>,<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역사>,<무진기행>,<서울 1964년 ...
조용기목사의 선교신학과 교회성장에 대해서
[시인 김현승][세계관][작품세계][자화상][플라타너스]시인 김현승의 세계관, 시인 김현승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