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분석 대상
2.분석 TEXT 제시
3.담화 구성
3.1.화자와 청자
3.2.상황
4.담화 원리
4.1.음운론적 원리
4.2.형태론적 원리
4.3.통사론적 원리
4.4.전략의 원리
4.5.체면의 원리
4.6.공손의 원리
5.화용 양상
5.1.접속어 양상
5.2.지시어 양상
5.3.대용어 양상
6.마치며
2.분석 TEXT 제시
3.담화 구성
3.1.화자와 청자
3.2.상황
4.담화 원리
4.1.음운론적 원리
4.2.형태론적 원리
4.3.통사론적 원리
4.4.전략의 원리
4.5.체면의 원리
4.6.공손의 원리
5.화용 양상
5.1.접속어 양상
5.2.지시어 양상
5.3.대용어 양상
6.마치며
본문내용
9.현수짜쳐 보인다고 임마~!
10.인구이 새끼 아침부터 뭐 시비걸라고 오라 그랬냐 어?
11.현수좋은 말 할 때, 계약서 돌려줘라.
12.인구 못 주겠다. 이 새끼야.. 날씨 좋다.
야, 뒷박친 게 누군데. 백사장 왜 숨겼냐. 대창건설 반반씩 먹기로 했잖아.
13.현수 막판에 어? 백사장 꼬득여 가지고 통째로 먹으려 한 게. 그. 그게 누군데,
니 네 회장 아니야? 어? 나이 먹어서 그게 무슨 꼴이냐?
14.인구이 새끼가 이게 눈에 보이는 게 없나.
야 너 내 앞에서 회장님 욕 하지 말라 그랬지.
잠시 말을 잇지 못하는 현수.
15.현수... 알았다, 알았다. 밥이나 먹자.
16.인구씨발 놈, 할 말 없으면 밥 먹자 그러고...
현수 앞서서 가면,
인구, 담배를 집어 던지고 따라가며,
17.인구밥은 니가 사 새끼야, 오늘은
나란히 고장집 식당으로 걸어가는 두 사람.
식당
인구와 현수는 마주 앉아 순대를 먹고 있다.
18.인구음. 기가 막히다. 기가막혀. 응. 야, 오래간만에 먹어서 그런지 진짜 맛 있다. 응.
19.현수맛있지? 난 가끔. 자주. 먹잖아. 이거.
순대국밥을 갖다 주는 할머니.
20.할머니니네는 고향에서부터 맨날 치고 박고 싸우더니,
어떻게 그렇게 평생 붙어 다니냐?
21.인구싸우긴 뭘 싸워. 애도 아니고, 앤 내 동생이야, 동생.
22.할머니이런 화상들.
순대 좀 더 갖다줄게
23.인구많이 주세요. 많이
하며, 할머니 부엌으로 들어가면
24.인구야.. 너 할머니딸 이름 뭐였지? 그 이쁘장하게 생긴.
25.현수그만해라.
26.인구정숙인가?
너 걔 좋아해서 고향에서 맨날 순대만 먹고 그랬는데 응?
27.현수그만하라니까.
28.인구근데 그 뭐냐? 우체국 직원하고 결혼해서.. 너 울고 불고 응?
기억나지? 응? 히히.
현수, 열이 받는지 물을 인구에게 확- 뿌린다.
인구, 황당하게 현수를 쳐다보다,
29.인구이 새끼가.
하며 자기도 현수에게 물을 확- 뿌린다.
현수, 잽싸게 피하고, 다시 물을 확- 뿌리면, 인구도 피한다.
물통을 통째로 들고 인구에게 물을 붓는 현수.
30.현수(물을 뿌리며) 함 해보자, 함 해보자!
물통을 통째로 들고 계속해서 물을 뿌리는 현수.
물에 홀딱 젖은 인구,
현수, 물 뿌리는 걸 잠시 멈추고 인구 옷을 보더니...
31.현수너, 집에 어떻게 갈라고.... (다시 물을 확- 뿌리며) 괜찮냐, 괜찮냐!
32.인구(현수에게 달려들며) 에잇!
방 쪽으로 현수를 눕히고 물을 뿌리는 인구.
서로 뒤엉켜 장난치는 모습이 천진난만 하다.
이때, 할머니 부엌에서 나와서는
33.할머니또. 또 싸운다. 또.
34.인구(현수에게 헤드락 건채로) 이모, 현수가.. 정숙이 보고싶대- 보고싶냐. 큭큭...
낄낄대는 둘.
식당 앞
물에 젖은 둘, 햇빛을 즐기는 듯 식당앞 평상위에 앉아서 사이좋게 담배를 피운다.
35.인구아.. 밥 한 그릇 먹으니까 좋네.
36.현수인구야, 일 더 커지기 전에 계약서 돌려주고 수습하자.
37.인구왜 그래, 다 끝난 걸 가지고.
38.현수애들 생각해야지. 재수씨 하고. 너 다치면 누가 먹여 살리냐?
39.인구나 겁주는 거야, 어?
40.현수응.
41.인구밥 잘 먹었다.
담배를 끄며 일어나 가는 인구.
차문을 열고 차에 하면,
42.현수인구야, 마음 바뀌면 전화해라. 빠르면 빠를수록 좋아.
하고 외치는 현수.
인구, 차에 타며 보기 좋게 손가락으로 뻑큐를 날리고 간다.
43.현수저 새끼가.
※발화만을 대상으로 분석한다.
※번호는 발화순으로 한다.
3.담화 구성
3.1.화자와 청자
위의 Text는 ‘인구’와 ‘현수’의 대화로 이루어진다.
화자와 청자가 나뉘지 않으며 화자-청자 상호작용(사적 대화)가 이루어진다.
3.2.상황
비공식적인 자리(informal setting)의 ‘친구사이’의 담화이다.
대화는 구어체로 진행되며 ‘현수’는 강요, ‘인구’는 거절하는 상황이다.
‘현수’의 강요
11.현수좋은 말 할 때, 계약서 돌려줘라.
36.현수인구야, 일 더 커지기 전에 계약서 돌려주고 수습하자.
42.현수인구야, 마음 바뀌면 전화해라. 빠르면 빠를수록 좋아.
‘인구’의 거절
12.인구 못 주겠다. 이 새끼야.. 날씨 좋다.
37.인구왜 그래, 다 끝난 걸 가지고.
41.인구밥 잘 먹었다.
4.담화 원리
4.1.음운론적 원리
4.1.1.연음법칙
일어나자 → [이러나자]
꼬득여 → [꼬드겨]
오늘은 → [오느른]
먹어서 → [머거서]
먹으니까 → [머그니까]
꼴이냐 → [꼬리냐]
4.1.2.경음화
죽겠네 → [주
10.인구이 새끼 아침부터 뭐 시비걸라고 오라 그랬냐 어?
11.현수좋은 말 할 때, 계약서 돌려줘라.
12.인구 못 주겠다. 이 새끼야.. 날씨 좋다.
야, 뒷박친 게 누군데. 백사장 왜 숨겼냐. 대창건설 반반씩 먹기로 했잖아.
13.현수 막판에 어? 백사장 꼬득여 가지고 통째로 먹으려 한 게. 그. 그게 누군데,
니 네 회장 아니야? 어? 나이 먹어서 그게 무슨 꼴이냐?
14.인구이 새끼가 이게 눈에 보이는 게 없나.
야 너 내 앞에서 회장님 욕 하지 말라 그랬지.
잠시 말을 잇지 못하는 현수.
15.현수... 알았다, 알았다. 밥이나 먹자.
16.인구씨발 놈, 할 말 없으면 밥 먹자 그러고...
현수 앞서서 가면,
인구, 담배를 집어 던지고 따라가며,
17.인구밥은 니가 사 새끼야, 오늘은
나란히 고장집 식당으로 걸어가는 두 사람.
식당
인구와 현수는 마주 앉아 순대를 먹고 있다.
18.인구음. 기가 막히다. 기가막혀. 응. 야, 오래간만에 먹어서 그런지 진짜 맛 있다. 응.
19.현수맛있지? 난 가끔. 자주. 먹잖아. 이거.
순대국밥을 갖다 주는 할머니.
20.할머니니네는 고향에서부터 맨날 치고 박고 싸우더니,
어떻게 그렇게 평생 붙어 다니냐?
21.인구싸우긴 뭘 싸워. 애도 아니고, 앤 내 동생이야, 동생.
22.할머니이런 화상들.
순대 좀 더 갖다줄게
23.인구많이 주세요. 많이
하며, 할머니 부엌으로 들어가면
24.인구야.. 너 할머니딸 이름 뭐였지? 그 이쁘장하게 생긴.
25.현수그만해라.
26.인구정숙인가?
너 걔 좋아해서 고향에서 맨날 순대만 먹고 그랬는데 응?
27.현수그만하라니까.
28.인구근데 그 뭐냐? 우체국 직원하고 결혼해서.. 너 울고 불고 응?
기억나지? 응? 히히.
현수, 열이 받는지 물을 인구에게 확- 뿌린다.
인구, 황당하게 현수를 쳐다보다,
29.인구이 새끼가.
하며 자기도 현수에게 물을 확- 뿌린다.
현수, 잽싸게 피하고, 다시 물을 확- 뿌리면, 인구도 피한다.
물통을 통째로 들고 인구에게 물을 붓는 현수.
30.현수(물을 뿌리며) 함 해보자, 함 해보자!
물통을 통째로 들고 계속해서 물을 뿌리는 현수.
물에 홀딱 젖은 인구,
현수, 물 뿌리는 걸 잠시 멈추고 인구 옷을 보더니...
31.현수너, 집에 어떻게 갈라고.... (다시 물을 확- 뿌리며) 괜찮냐, 괜찮냐!
32.인구(현수에게 달려들며) 에잇!
방 쪽으로 현수를 눕히고 물을 뿌리는 인구.
서로 뒤엉켜 장난치는 모습이 천진난만 하다.
이때, 할머니 부엌에서 나와서는
33.할머니또. 또 싸운다. 또.
34.인구(현수에게 헤드락 건채로) 이모, 현수가.. 정숙이 보고싶대- 보고싶냐. 큭큭...
낄낄대는 둘.
식당 앞
물에 젖은 둘, 햇빛을 즐기는 듯 식당앞 평상위에 앉아서 사이좋게 담배를 피운다.
35.인구아.. 밥 한 그릇 먹으니까 좋네.
36.현수인구야, 일 더 커지기 전에 계약서 돌려주고 수습하자.
37.인구왜 그래, 다 끝난 걸 가지고.
38.현수애들 생각해야지. 재수씨 하고. 너 다치면 누가 먹여 살리냐?
39.인구나 겁주는 거야, 어?
40.현수응.
41.인구밥 잘 먹었다.
담배를 끄며 일어나 가는 인구.
차문을 열고 차에 하면,
42.현수인구야, 마음 바뀌면 전화해라. 빠르면 빠를수록 좋아.
하고 외치는 현수.
인구, 차에 타며 보기 좋게 손가락으로 뻑큐를 날리고 간다.
43.현수저 새끼가.
※발화만을 대상으로 분석한다.
※번호는 발화순으로 한다.
3.담화 구성
3.1.화자와 청자
위의 Text는 ‘인구’와 ‘현수’의 대화로 이루어진다.
화자와 청자가 나뉘지 않으며 화자-청자 상호작용(사적 대화)가 이루어진다.
3.2.상황
비공식적인 자리(informal setting)의 ‘친구사이’의 담화이다.
대화는 구어체로 진행되며 ‘현수’는 강요, ‘인구’는 거절하는 상황이다.
‘현수’의 강요
11.현수좋은 말 할 때, 계약서 돌려줘라.
36.현수인구야, 일 더 커지기 전에 계약서 돌려주고 수습하자.
42.현수인구야, 마음 바뀌면 전화해라. 빠르면 빠를수록 좋아.
‘인구’의 거절
12.인구 못 주겠다. 이 새끼야.. 날씨 좋다.
37.인구왜 그래, 다 끝난 걸 가지고.
41.인구밥 잘 먹었다.
4.담화 원리
4.1.음운론적 원리
4.1.1.연음법칙
일어나자 → [이러나자]
꼬득여 → [꼬드겨]
오늘은 → [오느른]
먹어서 → [머거서]
먹으니까 → [머그니까]
꼴이냐 → [꼬리냐]
4.1.2.경음화
죽겠네 → [주
추천자료
냉장고의 원리(냉장원리)
2D-PAGE의 원리와 Protocol : 단백질을 전하와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방법인 2D-PAGE의 원리...
부식과 방식의 원리 : 부식과 방식의 원리를 이해하여 실제적인 현장에서의 부식과 방식을 적...
분쇄기粉碎機의 종류와 원리, 입도분석기의 종류와 원리
영유아의 언어지도의 기본원리에 관하여 논하시오 - 기본원리
[인간의 발달원리] 인간발달의 원리
보육내용 조직의 원리 3가지와 각 원리의 내용을 설명.
아동발달의 개념과 원리 - 아동발달의 개념정의 및 발달요인(유전과 환경), 아동발달원리
사회복지의 보편주의 원리와 선별주의 원리가 갖는 각각의 장단점은 무엇일지 논의
보육내용 조직의 원리 3가지와 각 원리의 내용을 설명하시오.
교육행정의 규범적 원리,교육행정의 이념,교육행정의 원리,교수-학습,교육의 다양성,교육 선택권
영유아 교수방법의 원리 중 영유아의 발달적 특성 및 사회적 변화를 고려할 때 생각되는 원리...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최저생활보장의 원리를 국가책임의 원리와 비교하여 논하시오.
아동발달의 이해 아동발달의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보육교사가 되었을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
소개글